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4/05/09 00:01:04
Name 베라히
File #1 7008660993_486263_bc362d107d836edcbefb984b8b67bf01.png (329.1 KB), Download : 608
File #2 7008660993_486263_146abd9f3f0cb0dbc9df3e766300494b.png (220.6 KB), Download : 607
출처 에펨코리아
Subject [기타] 2023년 주요국 GDP 대비 국방비 지출 (수정됨)




출처는 SIPRI Fact Sheet April 2024

TRENDS IN WORLD MILITARY EXPENDITURE, 2023


한국은 빨간색으로 표시했고

3%가 넘는 국가들은 파란색으로 표시함


그리고 GDP 대비 국방비 지출을 읽으면서 주의할 점들은 

[ ]= 예측한 수치(estimated figure).

덴마크 = 1.95%지만 여기서는 2%로 반올림(rounded)

------------

우크라이나는 진짜 영혼을 갈아넣고 있는 수준이고
중국이 생각보다 GDP 대비 국방비 지출이 낮은 편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로투
24/05/09 00:08
수정 아이콘
중국이 과도한 국방비 투자 때문에 무너진다는 것도 기우였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4/05/09 00: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공식적 국방비보단 비공식이 많다는 이야기는 있긴합니다
그리고 공식국방비도 2000년부터 20년까지 12배이상 늘린 페이스니까 엄청 급격히 늘린것도 맞고요...
차라리꽉눌러붙을
24/05/09 00:19
수정 아이콘
북조선은 어디에...
서귀포스포츠클럽
24/05/09 00:30
수정 아이콘
러시아는 전쟁중인데 뭐죠?
미드웨이
24/05/09 00:44
수정 아이콘
미국 경제력의 7할 정도 왔는데 군사력은 아직 어림도 없다는거 생각하면 국방비 지출이 낮은건 당연한거죠.
24/05/09 00:56
수정 아이콘
사우디는 작년에 7% 올해는 11%인데 언제나 약해빠진것도 신박
24/05/09 01:58
수정 아이콘
축구를 대입해보면...
꿈트리
24/05/09 09:19
수정 아이콘
군인을 외국인쓰니 답이 있을리가 없죠.
VictoryFood
24/05/09 01:23
수정 아이콘
한국이랑 일본이 국방비 차이가 거의 없네요.
No.99 AaronJudge
24/05/09 01:52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체급이 차이가 크다보니

일본이 작정하고 국방비 박으면 더욱 강한 군대 만들 수 있겠..긴 한데, 뭐 노인 연금도 줘야 하고, 자위대 입대하는 사람도 그리 많진 않고..20년쯤 뒤 우리를 보는 것 같더라구요
꿈트리
24/05/09 09:22
수정 아이콘
정부예산의 1/4을 국채상환비용에 쓰니 답이 없을겁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4/05/09 11: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아마 이제 증액한다해서 차이가 벌어질거다 하던게 뉴스에 나온적 있...이미 24년에도 전년보다 16.3퍼인가 올리는지라 격차는 더 커지죠
27년까지 지디피 2퍼대로 늘린다했기때문에...이쯤되면 미중 다음정도 되는 예산일겁니다
24/05/09 02:00
수정 아이콘
한국은 저 액수에서 인건비 비중이 꽤 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결국은 장비 싸움일텐데...
호리호리
24/05/09 02:22
수정 아이콘
오히려 상위다른나라들보다 인건비 비중이 압도적으로 적죠
일본 자위대 병력이 한국의 반도 안되지만 인건비는 같거나 많아요
키르히아이스
24/05/09 02:22
수정 아이콘
그건 미군도 마찬가지긴합니다.
24/05/09 09:01
수정 아이콘
사실 장비도 사람이 운용하는 거라서 장비가 아무리 좋아도 숙련인력이 뒷받침 되냐 안되냐가 더 중요하죠
한국화약주식회사
24/05/09 13:10
수정 아이콘
장비가 좋아도 인력이 안되면 운용을 못합니다. 미군이 철수하면서 자국 장비 대부분 물려준 이라크 군이 ISIS 와의 전투 초반에 압도적인 패전을 기록하고 장비를 빼앗겼죠. (물론 그 빼앗아간 장비도 ISIS가 운용 못해서 전시용으로나 썼지만...) 그리고 한국은 경제 규모와 군 규모 대비 인건비가 오히려 저렴한 편에 속하죠.
nm막장
24/05/09 13:21
수정 아이콘
육군(+포)위주의 편제 + 점령전 + 험지방어(산악)를 고려한다면 장비도 많이 필요하겠지만 인건비도 많이 들수 밖에 없을 듯 해요
성야무인
24/05/09 02:21
수정 아이콘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치루면서 창고에 있는 무기와

인건비도 범죄자들을 이용하고 용병으로 자국민 대신해서 전쟁에 투입해

상대적으로 전쟁 자본의 효율화를 이루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우크라이나는 그럴 여력이 없구요.
울리히케슬러
24/05/09 07:02
수정 아이콘
독일이랑 일본이 부럽네요 얼마 안쓰네
24/05/09 15:11
수정 아이콘
독일의 무모할정도의 군축이 결국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스노우볼이 굴러간거라 부러워할건 아니죠. 폴란드가 방위사업 파트너를 한국으로 갈아타버리는 등 잃은것도 많고...
울리히케슬러
24/05/10 03:46
수정 아이콘
그만큼 복지로 썼을꺼 아니에요 솔직히 러시아랑 땅이 붙어있지않아서 알바노이고
24/05/10 07:00
수정 아이콘
그거 다 푸틴이 전쟁 일으키면서 난방비와 물가 상승으로 되돌아왔죠. 독일뿐 아니라 전세계까지 스플뎀 먹이면서 그거 주도한 메르켈이 국내외 가리지 않고 평가 수직낙하했고.
베라히
24/05/10 17:58
수정 아이콘
소련붕괴 이후 독일은
천문학적인 통일비용 때문에
냉전시절때처럼 막대한 국방비를
지출하기가 어려웠을거라고 생각합니다.
퀀텀리프
24/05/09 07:57
수정 아이콘
방위산업으로 국방 투자를 회수하기 시작한 케이국 . .
5위도 가시권에 들어옴.
조만간 흑자 될듯.
주모~ 막걸리 한통~
닉네임을바꾸다
24/05/09 11:33
수정 아이콘
무기 수출이 수입 역전했다라던거같긴한데...
엘든링
24/05/09 10:24
수정 아이콘
SIPRI는 미 에너지부, 국무부 일부 프로그램을 국방 예산에 포함해서 집계하고 있긴 합니다
안군시대
24/05/09 11:12
수정 아이콘
중국 전에 GDP가 워낙 높으니 1.7% 만 해도 어마어마한 돈이긴 한데,
미국은 도덕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86789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29692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31469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16975
500792 [기타] 의외로 내 그래픽카드 문제가 아니었던 것.jpg [21] This-Plus4795 24/05/31 4795
500790 [기타] 남녀 소득에 따른 혼인율 [50] Leeka6929 24/05/31 6929
500786 [기타] 엔비디아 잼민이(?) 시절... [19] 우주전쟁4457 24/05/31 4457
500784 [기타] 자영업의 현실 [64] 퀀텀리프9532 24/05/31 9532
500781 [기타] 대량 고민중독 (태연 윤하 윈터 아이유) [24] 묻고 더블로 가!5567 24/05/31 5567
500777 [기타] 오랜만에 뜬 평식이형 9점 영화 [33] 김유라7411 24/05/31 7411
500776 [기타] 트윕 서비스 종료 [15] 길갈4220 24/05/31 4220
500774 [기타] "40억 왜 안 갚아" 강남 아파트서 채무자 살해하고 아들까지 다치게 한 80대 [86] 아롬8126 24/05/31 8126
500773 [기타] msi프로젝트 제로 풀세트 실 조립예 [6] Lord Be Goja2444 24/05/31 2444
500770 [기타] 요즘 ASUS에서 밀고 있는 차세대(?) 메인보드 [16] EnergyFlow3076 24/05/31 3076
500769 [기타] 애플, 오픈 ai와 딜 체결 [11] Lord Be Goja3734 24/05/31 3734
500761 [기타] 부모님이 자식 키울때 제일 행복하고 보람느낀다는 것 [12] 승승장구10276 24/05/31 10276
500756 [기타] 고객님 성함이 어떻게 되신다고요? [25] 쎌라비9172 24/05/30 9172
500751 [기타] 직장생활 하면서 절대 하면 안되는 짓 [10] 닉넴길이제한8자8869 24/05/30 8869
500750 [기타] 우리동네 제2차 커피전쟁(?)... [22] 우주전쟁7207 24/05/30 7207
500749 [기타] 한때 엔비디아를 앞섰던 회사 [25] 닉넴길이제한8자6577 24/05/30 6577
500748 [기타] 오늘 2번의 대패를 한 회사 [41] 쎌라비9235 24/05/30 9235
500747 [기타] 20년전 아부지 맞춰드렸던 작업용 컴퓨터 가격[컴덕계층] [19] Lord Be Goja3932 24/05/30 3932
500746 [기타] 생각보다 무지막지했던 삼국지 1 가격 [37] 쎌라비5359 24/05/30 53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