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4/09 21:02:42
Name grrrill
File #1 KakaoTalk_20240409_205649866.png (163.2 KB), Download : 1012
File #2 KakaoTalk_20240409_205707104.png (24.3 KB), Download : 1010
Subject [질문] 둘 중에 어떤 노트북이 더 좋은 노트북인가요??




안녕하세요

둘 중에 어떤 노트북이 더 좋은 노트북인가요??

1번째 제품은 대기업이라서 AS 걱정이 없고 윈도우 포함입니다!

2번째 제품은 중소기업이고, 윈도우는 미포함입니다!

저는 당연히 특정 제품이 더 좋다고 생각했는데

아니라고 생각하는 분도 있으셔서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건지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4/09 21:04
수정 아이콘
2번
허저비
24/04/09 21:24
수정 아이콘
https://www.topcpu.net/ko/cpu-c/intel-celeron-6305-vs-amd-ryzen-5-5600u
CPU 성능 차이가 보다시피 넘사벽이고
램은 2배차이 SSD는 4배차이

윈도우고 나발이고 개인적으로는 비교 대상조차 아니라고 봅니다.
24/04/09 21:26
수정 아이콘
그래서 몇번이라는 말씀이실까요?ㅜ
제가 일종의 내기협박 상태여서..
허저비
24/04/09 21:28
수정 아이콘
2번이요
人在江湖身不由己
24/04/09 21:25
수정 아이콘
1번에 무게가 없다는 건 잘 알겠습니다...
24/04/09 21:29
수정 아이콘
앗.. 1번 무게는 1.8kg 라고 합니다
메피스토
24/04/09 21:31
수정 아이콘
가격까지 넣어서 가성비로 따진다거나 무슨 용도에서 더 좋을필요 없다 뭐 그런식의 내기라면 모를까 그냥 2번같네요.
24/04/09 21:37
수정 아이콘
무적권 2번이요
Blooming
24/04/09 21: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1. 삼성 2. 한성 이런 식이면 AS 고려하면 한성 꺼 사기 싫을 수 있습니다.
근데 그래도 1번이 CPU 성능이 너무 떨어지긴 하네요.
24/04/09 22: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압도적 2번이요. 어떤 느낌이냐면 되팔이 불가 조건하에서 1번은 시세 절반가라도 안살거같습니다.
마감은 지키자
24/04/09 22:15
수정 아이콘
1번이 더 무겁기까지 하면 1번을 살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1번은 윈도우 포함이고 AS고 뭐고, 저 사양이면 사용할 때 애로사항이 좀 있을 것 같아서...
Lord Be Goja
24/04/09 22:26
수정 아이콘
인텔 셀.. 보고 거릅니다

인텔의 최하급 모바일 시피유는 언제나 7년전 최저가형 데탑 성능을 맛보려면 믿음직한 선택지였죠.
분쇄기
24/04/09 22:36
수정 아이콘
압도적 2번이죠.
나이스후니
24/04/09 23:13
수정 아이콘
무조건 2번이요.
첫번째는 리마스터전 스타를 해야하고, 두번째는 리마스터 스타를 할수 있습니다. 아무리 삼성제품이라 해도 급차이가 너무 납니다.
Jedi Woon
24/04/09 23:56
수정 아이콘
CPU,RAM,SSD 만 따져도 2번 선택 하겠습니다.
그리고 좀 더 가벼우면 가격 차이 크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골라야죠.
24/04/10 01:10
수정 아이콘
청개구리 같이 1번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는 컴퓨터 아예 모르는 사람에게 컴퓨터 고쳐 줄 의무까지 있을때만 1번을 추천합니다.
아침노을
24/04/10 01:41
수정 아이콘
어이쿠 셀러론.. 오랜만에 들어보네요. 이게 아직도 탑재되고 있군요..
시무룩
24/04/10 06:28
수정 아이콘
이 정도 차이면 대기업 제품이어도 2번입니다
회전목마
24/04/10 08:27
수정 아이콘
예 2번입니다
cruithne
24/04/10 11:14
수정 아이콘
2번이 압도적이죠...가격차이가 한 세베 이러지 않는 이상 1번은 비교대상에 끼기도 힘들어보이는데
R.Oswalt
24/04/10 12:15
수정 아이콘
제품 비교 자체가 성립이 안 되는 차이고, 삼성이라고 해봐야 저런 싸구려 노트북은 as 의미 없습니다. 어차피 고장나면 패널이나 보드 갈아야 되는데, 저런 건 부품도 없어요.
24/04/10 12:19
수정 아이콘
어떤 이유에서 1번이 후보에 올랐는지 궁금하네요.. 아닌 말로 줘도 안쓸만한 사양이라고 말할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24/04/10 13:44
수정 아이콘
삼성(1번)은 믿지만 제 말(2번, 한성을 사주었음)은 믿지 않는 와이프의 픽입니다..
회전목마
24/04/10 15:01
수정 아이콘
1번은 사신담에 쓰레기같은 성능을 느껴보라고 하시죠
뭐 용도에 따라 구린 성능을 못체감할수도 있습니다만
24/04/10 15:37
수정 아이콘
대충 어떤 느낌인지 알겠습니다. 아 모르겠고 노트북 문제생기면 어케해, 그리고 내가 겜하는것도 아니고 고사양 필요 없어 스팩은 너네들이나 신경쓰는거지.. 이런거 저도 가족이나 친구들 컴종류 추천할때 많이 듣는 이야기네요. 비슷한 맥락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하셨듯 저정도의 성능의 노트북에서 삼성의 압도적 AS 편의성을 크게 체감할까? 라는 의문도 생길뿐더러 삼성의 값어치에 비해 더 큰 성능차가 존재한다 라고 보여집니다.
근데, 한성이요? 저는 한성 AS를 경험하고나서는 치가 떨려서 둘 중에 하나라면 걍 1번 하거나 안 살 듯
페르세포네
24/04/10 13:01
수정 아이콘
셸러론인거에서 일단 탈락
24/04/10 23: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질문의 모델중에는 윗댓글처럼 닥후고 굳이 인텔 저전력을 선호한다면 최소 n100, n200, n305 혹은 팬티엄8505 이나 i3 12세대 달린거라도 가져와야지 굳이 6305를 쓸 이유가 없습니다. 5600u야 얘도 예전에 나오긴 했지만 저가라인을 워낙 재탕을해서 이름만 7로 시작하고 5600이랑 차이도 없는얘들도 천지고 가성비 자체가 좋기도 해서 살만하긴 하고요. 그리고 as도 비싼 제품일때 의미가 있지 저런건 무상기간 1년 지나고 나면 유상수리 받느니 새로 사는게 나아서 큰 의미가 없습니다.
interconnect
24/04/11 00:43
수정 아이콘
정품 윈도우 포함이니 가격도 궁금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142 [질문] 컴퓨터 파워 질문 입니다. [7] 키토1528 24/05/09 1528
176141 [질문] 부모님 쓰실 무선청소기 구매 조언 부탁드립니다. [7] 사람되고싶다1658 24/05/09 1658
176140 [질문] 변액연금 만기질문 [5] 李昇玗1440 24/05/09 1440
176139 [질문] 게이밍노트북 살때 확인할 사항이 뭐가 있을까요? [7] 목캔디1514 24/05/09 1514
176138 [삭제예정] 이런것도 해고 사유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7] 삭제됨2200 24/05/09 2200
176137 [질문] 연금보험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4] 장마의이름2004 24/05/08 2004
176136 [질문] 그래픽 카드 소음 질문(아래 질문글 보고 저도 질문드립니다) [4] 아지노스1723 24/05/08 1723
176135 [질문] 네이버가 라인재팬 지분을 쿠팡과 교환하면 득일까요? 실일까요? [8] VictoryFood2617 24/05/08 2617
176134 [질문] 올해 소멸예정인 항공사 마일리지는 어디 쓰는게 이득인가요? [4] 같이걸을까1995 24/05/08 1995
176132 [질문] 해외 여행시, 카드가 낫나요? 환전해가는게 낫나요? [10] LG의심장박용택2226 24/05/08 2226
176131 [질문] 발치 치아교정 질문드립니다 [17] 이오르다체1830 24/05/08 1830
176130 [질문] 단톡방에 바람 피는거 올리는 심리는 뭘까요? [40] 박수5148 24/05/08 5148
176129 [질문] 태블릿을 보조모니터로 쓰면 성능나쁠까요? [12] 스물다섯대째뺨2225 24/05/08 2225
176128 [질문] 핼로우톡 언어교환 해보신분에게 질문 [5] 유지태.1757 24/05/08 1757
176127 [질문] 인도-태평양 지역에 유럽의 해군력 투사가 가능한가요? [4] Garnett212013 24/05/08 2013
176126 [질문] 여러분들이 지금껏 본 최고의 반전 작품이 무엇인가요? [49] 라리3561 24/05/08 3561
176125 [질문] FC24 게임 질문(위닝 마스터리그 같은 플레이모드가 있는지) [6] Everlas1643 24/05/08 1643
176124 [질문] [헬스] 스쿼트, 데드 중량에 대한 질문 [18] 시무룩1493 24/05/08 1493
176123 [질문] 최근 기브온 많이 듣고 있습니다. [1] 임작가1308 24/05/08 1308
176122 [질문] 살림 선배님들 건조기 고민입니다 [10] 골드쉽2352 24/05/08 2352
176121 [질문] 너무 짙은 전면유리 썬팅 제거해야 할까요? [25] VictoryFood2338 24/05/08 2338
176119 [질문] 어버이날 시즌에 양가 모두 방문하시나요? [14] 합격기원2398 24/05/07 2398
176118 [질문] 컴퓨터 본체 팬 소음 때문에 조언을 구합니다. [18] 보로미어1786 24/05/07 178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