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03/16 14:25:41
Name 굿바이레이캬
Subject (10)문선공(文選工)을 아시나요?
문선공을 아시나요?

지금은 없어진 직업 중에 하나지만 과거에는 정말 몇 안 되는 직업 중의 하나가 문선공이였습니다. 네이버 사전 검색을 시전 해 보면 문선공의 정의가 나옵니다.

문선공 : 인쇄소에서 원고대로 활자를 골라 뽑는 사람

지금이야 컴퓨터로 거의 모든 활자 매체가 완성되지만 과거에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일일이 사람이 원고를 보고 글자 하나하나의 활자를 찾아서 조합을 이루어 만들어냈으니까요.

신문이라는 매체에서 문선공의 위치는 아주 높았습니다. 일단 아무나 할 수 없었는데, 수 많은 경험과 노하우가 있어야 진정한 신문사의 문선공이 될 수 있었으니까요. 거의 매일 발행되는 신문에 활자를 찾아 단어를 만들고 단어를 조합해 기사 하나를 완성하며, 그 기사들을 모아 드디어 신문이 탄생하는 것인데, 그 시간이 굉장히 빨라야 했습니다.

신문사에는 베테랑급 문선공이 한, 두명에 조수가 있을 뿐 입니다. 이들의 손 빠르기는 프로게이머 APM 500때를 육박할 정도로 굉장합니다. 거짓말 조금 보태면 손이 안 보일 정도라고 합니다. 기자가 써 온 원고를 좌측에 두고 우측 어깨에 판을 대고 오른손으로 그 판을 받친 후 눈은 원고에 고정된 채, 왼손은 활자를 찾아 내는 것입니다. 찾은 활자는 우측 어깨에 받쳐진 판에 던져집니다. (조수는 그 판에 던져진 활자를 조립 합니다)

상상 해 보면, 문선공의 눈은 원고에 고정되고 오른손은 마치 바이올린을 켜듯 판을 어깨에 대고 왼손은 활자를 원고에 나온 글자대로 뽑아 냅니다. 프로게이머의 키보드 치는 속도와 버금가는 속도로 어깨에 올려진 판에는 활자가 우루루루 쏟아집니다.

10년 정도의 경력으로는 이 속도를 내기 힘들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베테랑급 문선공은 우리나라에 몇 안됐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조간, 석간으로 신문이 나왔기에 이들의 업무량은 빡빡했고, 그 만큼 대우도 좋았습니다. 그러나 이들도 시대의 흐름을 극복할 수는 없었습니다.

80년대에 접어들면서 텔레타이프가 등장했고 서서히 문선공의 입지는 좁아졌고, 결국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직업이 되었습니다.

이들이 대단한 점은 단순히 손이 빠르다는 데만 있는 건 아닙니다. 흔히 기자들은 악필이라는 말을 많이 하는데, 그 당시 모든 기사는 손으로 썼고, 마감에 쫓기는 일이 허다해 문선공이 보는 원고라는 것은 실로 ‘이것이 과연 글자인가?’ 라는 말을 할 정도로 보기 어려웠습니다. 단순히 기자의 필체도 악필이지만, 기자가 1차 완성한 기사를 선배 기자(데스크)가 다시 수정, 보완을 하는데, 이 과정에 악필의 원고는 한단계 업그레이드가 됩니다.



200자 원고지를 기준으로 기사 하나를 완성하려면 보통 원고지 30-50장은 기본입니다. 경력이 적은 기자일수록 기사 원고의 수정은 복잡합니다. 위 그림은 굉장히 보기 쉽게 정리한 수준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16절지 만한 원고지가 금세 3, 4장이 동서남북 방향으로 붙습니다. 사이즈가 작다 보니 수정할 부분을 적을 공간이 부족하기에 좌우, 상하방향에 원고지를 또 붙여 거기에 적어 넣는 것입니다.

데스크를 보는 기자 또한 악필 중의 악필이며, 마감에 쫓기기 시작하면 글은 어느새 실을 풀어놓은 듯한 형상으로 변신하게 됩니다. 차마 눈뜨고 볼 수 없을 정도의 원고가 탄생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문선공은 이런 원고의 모든 글을 정확하게 알아냅니다. 글자 하나 안 틀리고 활자를 집어내고, 조합을 이룹니다. 그리고 조판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며칠 전 아버지가 문선공 출신이고, 당신은 문선공 조수 역할을 했던 사람을 만난 적이 있습니다. 이분은 벌써 60이 가까워진 노청년이었습니다. 이 노청년은 이런 말을 했습니다.

“그땐 기사 하나 쓰려면 원고지 수십장은 찢어졌을걸? 티비보면 소설가가 글 쓰다 막 신경질부리며 원고지를 찢어서 옆에 쌓아 두잖어? 그게 소설가만 그런게 아니야. 기자들도 그랬어. 단어를 만들고, 조사를 찾아 그 단어를 서로 연결하며 문장을 만들어내지만, 그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니였어. 그들이 그렇게 스트레스 받아가며 처절하게 원고지를 찢은 건 사명감이 있었기 때문이야. 그걸 요새 사람들은 프라이드라고 하나? 아마도 집에 가서 원고를 채우려면 담배 2, 3갑은 필수였지. 찢어진 원고지 1장에 담배 한 가치는 물물교환 상대였어. 그들의 이빨을 보면 누렇지 못해 금니를 한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킬 정도였지. 난 그래서 그들의 원고가 얼마나 소중하고, 그것이 끝없는 처절함의 산물인지 알거든. 아마도 우리 아버지는 나보다 더 잘 알고 있었겠지?”

기사가 넘쳐 그 중에 골라 쓰는 것이 요즘입니다. 예전에 비해 기사는 쉽게 지우고, 쉽게 다시 쓸 수 있고, 쉽게 고칠 수 있었습니다. 과거 수북이 쌓여 있던 찢어진 원고지는 퇴고의 산물이었지만, 지금은 ‘Delete’ 키 하나에 퇴고의 산물은 존재조차 못한 처지가 되었습니다.

문선공이라는 직업을 통해 그 시대의 처절한 무언가가 있었음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만. 지금은 그렇지가 못하네요. 쉽게 쓰여진다는 느낌을 지울래야 지울 수 없는 게 요즘인 것 같습니다.
* OrBef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1-11-16 00:09)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풍류랑
10/03/16 14:34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요즘 자질이 많이 떨어지는 듯한 기자들이 쓴 기사들을 읽으며 불편해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그 기자들이 이 글을 보면서 뭔가를 좀 느꼈으면 좋겠네요. (물론 가능성은 0에 수렴하겠습니다만...)
10/03/16 14:36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요즘 기사는 정말... 그런 기사를 쓰고도 자신을 기자라고 할 수 있는지 물어보고 싶은 게 너무 많습니다.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CoralEyez
10/03/16 15:09
수정 아이콘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튼튼한 나무
10/03/16 15:15
수정 아이콘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10/03/16 15:26
수정 아이콘
잘 읽고 갑니다.
껀후이
10/03/16 15:34
수정 아이콘
쉽게 쓰여진다는 느낌을 지울래야 지울 수 없는 게 요즘인 것 같습니다.

간단하게 표현하신 말이지만 그 안에 담긴 뜻은
마음에 와닿는군요.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친절한 박군
10/03/16 15:44
수정 아이콘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무말랭이
10/03/16 15:53
수정 아이콘
감명깊은 글이라 로그인했습니다.
저는 제가 사는 동네 작은 인쇄소에서 90년대 중,후반까지도 저거 하시는 분을 본 적이 있는데 정말 빠르시더라구요. 조그만 활자판을 완전히 휙휙 던지듯이 갖다 붙이는데...정말 글대로 손이 안 보이더군요. 동네 인쇄소 분이 그 정도인데 메이저 일간지에서 일하시는 분은 얼마나 대단하시겠어요?;; 요즘 워드 프로그램으로 글을 쓰다보면 어릴 때 지우개로 지워가며, 교정부호 빽빽하게 써가며 글쓰던 때가 새삼 기억납니다. 그때는 많이 생각하고 또 생각해서 글을 썼는데 요즘은 마우스로 간단히 지우고 복사해서 붙이고 하다보니 덜 생각하게 되더라구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10/03/16 16:01
수정 아이콘
괜히 "매체가 메세지다"라는 말이 나온게 아니지요.
매체 변화를 실감하는 나이가 되니 맥루한이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지
깨닫게 되더군요.
태바리
10/03/16 16:57
수정 아이콘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글이네요.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나두미키
10/03/16 17:00
수정 아이콘
좋은글 감사합니다....
10/03/16 17:10
수정 아이콘
컴퓨터로 논문을 찍어내기 시작하면서 생각하고 글을 쓰는것에서 생각하면서 글을 "싸지르게" 되어
인문학계에서 좋은논문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라는 국문학과 교수님의 말씀이 떠오르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최연발
10/03/16 19:26
수정 아이콘
너무 적절한 미괄식이네요.

발로 쓰는 기자분들한테 이 글 좀 보여주고 싶습니다.
큐리스
10/03/16 21:15
수정 아이콘
글 잘 읽었습니다.

라는 형식적인 댓글 뒤에 붙는 사족입니다...
저는 식자공이라는 직업이 이런 일을 하는 건 줄 알고 있었는데요.
이 글을 읽고나서 검색해보니 식자공과 문선공은 다른 직업이었군요.
갑자기 문선공과 식자공은 어느 쪽이 더 대우를 받았는지도 궁금해지네요.
도시의미학
10/03/17 00:25
수정 아이콘
혹시나 싶어 글쓴이 검색을 해보았는데(제가 닉을 잘 못 외우는 편이라), 역시나 제가 최근에 피지알에서 읽은 글 다운 글을 쓰신 분이시네요. 거기다 플러스로 전혀 모르고 있던(문선공이라는 이름을 처음 봤을 때는 조선시대 관직인 줄 알았습니다^^;;;) 옛 직업에 관한 이야기도 읽고, 미괄식으로 써진 최근 가벼운 인터넷 뉴스에 대한 이야기도 읽게 되고.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91 교통 정체를 해결할 교통수단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9] Lilliput10363 11/11/18 10363
1190 11-12 프로리그 판도 예상 [25] 본좌9699 11/11/12 9699
1188 (10)검사와 스폰서 이야기. [27] ipa10149 10/04/22 10149
1187 (10)스막을 위한 나라는 없다. [21] becker9574 10/05/17 9574
1186 (10)승부조작설에 관한 관계자분들의 입장을 듣고 싶습니다. [132] becker18112 10/04/12 18112
1185 왕자의 난 - (완) 아버지와 아들 [11] 눈시BBver.28805 11/11/16 8805
1184 삼만, 하고도 일천, 하고도 칠백여일의 여정. [20] nickyo7061 11/11/15 7061
1183 여러분이라면 어떠겠어요? [63] 승리의기쁨이10383 11/11/15 10383
1182 수많은 이들을 떠나보내며 [8] VKRKO 8484 11/11/10 8484
1181 (10)'추노' 의지가 희망을 그리다... [35] forgotteness9789 10/03/26 9789
1180 (10)문선공(文選工)을 아시나요? [15] 굿바이레이캬10664 10/03/16 10664
1179 (10)게시판 글쓸때 도움이 될만한 html태그들... [28] ThinkD4renT7697 10/03/15 7697
1178 다단계 피해 예방 혹은 ‘Anti’를 위한 글(+링크 모음) 本(본) 편 : 사업Ⅲ [6] 르웰린견습생6845 11/11/15 6845
1177 왕자의 난 - (6) 공정왕의 시대 [18] 눈시BBver.27742 11/11/14 7742
1176 최초의 한류전도사 홍종우을 아십니까? [8] 카랑카8578 11/11/14 8578
1175 (10)Enjoy Your Game [29] fd테란10687 10/03/11 10687
1174 (10)아이들에게 급식은 그저 밥이 아닙니다. [76] 날아라김드론9755 10/03/11 9755
1173 (10)다이어트의 최대의 적은 다이어트이다. [42] 석양속으로9844 10/03/06 9844
1172 연변인이 왜 중국인인 가에 대해서... [39] sungsik9329 11/11/14 9329
1171 생활툰 : PGR 에피소드... [39] 본호라이즌9489 11/11/13 9489
1170 (10)그들은 반란을 꿈꾸었을까? [26] happyend10339 10/03/06 10339
1169 (10)[링크수정] 연아의 경기는 왜 예술적인가? [33] ThinkD4renT10530 10/03/03 10530
1168 밀리언달러베이비 [21] madtree8643 11/11/12 86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