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2/02/09 00:37:33
Name Apatheia
Subject [대회후기] 온게임넷 왕중왕전 4주차 후기
역시나 한번 날리고 허접하게 때운, 겜벅스 다비버전.



이것이 인-_-생이다.
오늘의 컨셉이자 테마이다. --;


왕중왕전 마지막주차...
어지간하면 오늘 쯤에 결승진출자가 가려졌더라면
선수고 관객이고 스텝이고...
좀 더 편하게 설 연휴를 즐길 수 있었겠지만
불행히도, 한사람밖에 가려지질 못했다. -_-;
이것이 인-_-생이다. --;
1경기.
뻔한 맵 로스트 템플,
뻔한 경기 테란 대 프로토스...
그러나 전혀 뻔하지 않았던 근 40분 간의 명 경기.
센터 및 멀티 포인트 마다마다에서 밀고 밀리는 백병전을 반복하던 두 선수
결국 자원의 열세로 김정민 선수가 GG...
잘한 사람, 그러나 그보다 더 잘한 사람.
이것이 인-_-생이다. --;
2경기.
조금은 허무하다싶게 빨리 끝난 경기...
카메라도 채 빠지기 전에 눈물이 글썽이는 장진남 선수는 안타까웠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더욱 강하고 멋진 저그로 다시 태어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것이 인-_-생이다. --;
3경기.
오늘의 컨셉인, 이것이 인생이다 라는 말이 등장했던 경기.
유리했지만 이기지 못했고
익숙했지만 생각한 대로 흘러가 주지 않았다...
GG를 치며 조정현 선수도 아마 이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이것이 인-_-생이다. --;


이로서...
결승 진출이 확정된 홍진호 선수를 제외하고
또 아예 다음 기회를 노려야만 할 두 선수를 제외한 나머지 세 선수는
즐거운 설 연휴를 스타크래프트와 함께-_- 모드에 돌입하게 되었지만
어쩌겠는가. 이것이 인-_-생이다. --;
...무언가를 믿을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하다.
그들이 거기에 있어 최고의 게임이 다시 한 번 태어날 수 있음을 믿을 수 있는 우리는
아주 행복한 사람임에 분명하다.


-Apatheia, the Stable Spirit,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는날고싶다
02/02/09 00:50
수정 아이콘
누님 수고 하셨습니다..^^/
스타크래프트와 함께 모드라.....홍진호 선수도 띵가띵가 놀지는 않겠죠 뭐^^ 어쩌겠습니까? 이것이 인-_-생인데^^
마요네즈
02/02/09 03:54
수정 아이콘
조정현선수 정말 엄청 긴장했던데요 --; 부담이 엄청 된듯 싶네요.. 얼굴이 창백해져서.. 실수를 연발하고.. 참 이것이 인생이네요..^^
마요네즈
02/02/09 03:56
수정 아이콘
그리고 다시한번 느낀건데 김동수 선수 프로토스 정말 잘하더군요 --;
김정민선수...... 평소보다 병력이 안나오더군요. 팩토리를 너무 빨리 늘렸나? 그리고, 2,3번째 멀티가 너무 늦었습니다. 서로 팽팽하던 순간에 이젠 2시 멀티가 돌아가겠지...라고 생각했더니, 아직도 없고....어쨌든, 병력이 좀 적었던 듯 합니다. 임요환선수는 bbs한-방-러-쉬...... 헉.....ㅡ,.ㅡ 아마도 대각선이 아닌 2/3 확률에 걸었던 듯. 조정현 선수는 완전히 말리고..... 차라리 2스타 레이스를 했다면 어땠을까 합니다. 근데, 테란이 1배럭이면, 저그가 3해쳐리 아무데나 지어도 막을 수 있었나?
수시아
02/02/09 10:21
수정 아이콘
bbs테란 아니구 서플짓구 2배럭인 듯 한데염 ? 장진남 선수가 넘 안일하게 대처하지 않았나여 -_-?
임요환 선수가 자기 카페에 올린 글 보니까 bbs했다고 써있네여.
BBS 맞습니다. 장진남선수가 정찰했을때 상황이 바락 두개 완성되가고 있었고 서플이 아직 완성이 안된상황이었습니다. 당연히 이 상황은 BBS입니다.
[귀여운소년]
근데 1차전은 솔직히 테란 대 프로토스의 가장 전형적인 경기였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여?
괴팍한시선
글쎄요..어떠한 측면에서 전형성을 추출하셨는지 모르겠는데....중앙쟁탈전이나 유닛간 대결..그것만 보면 어쩌면 전형적이라고도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하지만 아마추어 입장에서 테플전의 두가지 공식아닌 공식이 깨어졌습니다....(어쩌면 넓게 보면 하나겠군요..)1.중앙을 탄탄하게 먹은 테란이 어느 정도 그 골간을 유지하면 플토는 결국 아사한다...2.플토는 테란보다 최소한 멀티 하나이상은 더 먹어야 한다...
궁극에는 자원전 양상이 되어 버렸지만....중반까지 이 공식안에서 게임이 이루어진 걸 보면 이 부분....정말 비전형적인 겜이었지요...이것이 인-_-생인감....
[귀여운소년]
플토가 테란보다 최소한 멀티 하나이상은 더 먹어야 된다... 이것은 초중반의 이야기입니다. 후반으로 가게 되면 테란이 프로토스에게 힘들어진다는 게 공식이겠죠. 멀티상황이 비등비등한 상황일지라도, 아니 오히려 테란이 그 순간의 멀티상황이 더 좋더라도, 캐리어가 나오게 되면, 캐리어+지상군의 유닛조합이 테란에게는 상대하기가 꽤나 까다롭져... 그리고 당시의 멀티상황이 비슷하다고 해도, 일단 캐리어가 나오게 되면 테란은 토스의 조합에 맞춰서 골리앗과 탱크, 벌쳐의 비율을 알맞게 배합해야 한다는 점도 테란이 힘든 점이고, 프로토스의 갖가지 겐세이(캐리어나 템플러)로 테란의 자원채취에 극심한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언덕지형을 이용해 캐리어로 테란의 멀티지역을 파괴시킬 수도 있져... 또 캐리어가 그런 식의 겐세이를 펼칠 때, 골리앗만 따로 이동해서 공격을 저지시키려 하다가는 후방에 있는 드라군에 골리앗이 공격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테란의 유닛들은 항상 조합해서 다녀야 하져... 또, 프로토스의 캐리어+질럿+드라군+a 의 조합을 벌쳐+탱크+골리앗+베슬이 이기기가 상당히 어렵져.... 그 이유란 프로토스는 캐리어+질럿+드라군+a 중의 한 종류의 유닛이 다 죽어도 싸울 수 있지만, 테란의 경우에는 탱크가 전멸당하면 드라군에 대한 피해가 클 수 있고, 골리앗이 전멸당하면, 캐리어에 다른 유닛들은 뺄 수 밖에 없기 때문이져... 캐리어가 후방에서 지원하고 골리앗 수만 줄여 놓더라도, 나머지 유닛들은 캐리어로 잡으면 되니까여....
제가 테란유저기 때문에, 테란입장에서 편중해서 글을 쓰고 있기는 하지만, 다 잡았다고 생각하는 경기를 이런 식으로 꽤 많이 져 봤습니다. 그리고 이런 식으로 지는 리플레이나 방송경기도 꽤 많이 봤구여... 그렇기 때문에 전형적인 경기의 하나라고 한 것이지여. 글구, 님이 위에 말씀하신 공식은 틀린 것 같네여... 아니, 맞는 말일 수도 있는데, 해석하기에 따라서 달라지기 땜에, 뭐라고 말씀을 못 드리겠네여.
다시 한번 말씀드리자면, 이 경기는 테란이 유리한 경기를, 토스의 캐리어+지상군에 역전당하는 전형적인 경기 중의 하나였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판단은 주관적인 거니까, 저에게 뭐라하지 마세여~
괴팍한시선
옙..저는 리플레이에서도 중앙내주고 역전하는 플토를 본 일이 없어서....어쩌면 님의 말씀대로 역전경기의 전형이라면 공감이 가는 걸요....암튼 대단한 경기였슴돠...
항즐이
02/02/09 19:44
수정 아이콘
전형적인 경기는 아니라고 봅니다. -_-a 프로토스가 그렇게 뒤집을수 있는 요인이 여러가지 있었고, 그걸 김동수 선수가 그야말로 100%활용한 결과라고 보여지네요. 두드러진 점은 템의 사이오닉이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는 거죠. 그만큼 자원을 빡빡하게 쓰면서 경기를 운영해 나갔다는 것이고, 동시에 여러 유닛의 전 맵에 걸친 컨트롤을 위해서 컨트롤이 많이 들어가는 템의 사용을 줄였다는 의미도 됩니다. 분명 몇몇 기지의 멀티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면서 1-2분의 딜레이를 주었다면 테란이 어떤 상황이 되었을지는 알수 없을것 같습니다. 질럿과 드라군의 적절한 러쉬로 인해 중앙이 번번히 깨어졌죠. 결국 프로토스의 유닛들이 이곳저곳으로 러쉬를 다닐 여지가 생긴 점에서 속도가 느린 테란의 어려움이 가중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항즐이
02/02/09 19:46
수정 아이콘
그리고 3차전의경기는 본의 아니게 홍선수가 그 전략을 연습하는 모습을 미리 봐 버려서-0- 이길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어느 정도 긴장이 풀어진...-_-;;; 3해처리를 늦게 알아채면 본진에 2탱 드랍을 간다 해도 저그는 그다지 피해가 크지 않거든요 .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76 온게임넷 왕중왕전.. 지금 경기한다면? [3] $$new ice hunter$$3335 03/08/27 3335
11863 [잡담] 양대방송사 왕중왕들이 벌이는 통합전을 주최하면 어떨까요? [34] 초보랜덤2431 03/08/13 2431
8952 온게임넷스타리그 왕중왕전 올해도 할까요? [4] Korea United1606 02/12/19 1606
8605 기대되는 왕중왕전 과 위너스챔피언쉽 [7] 허풍저그2431 02/11/29 2431
7366 스타크래프트올시즌 왕중왕전 정말 기대됩니다. [1] 박정규1550 02/10/13 1550
6858 역대 스타리그 결승전 관련 기록(왕중왕전 제외) [7] Altair~★1982 02/09/29 1982
5542 연말에 왕중왕전을 하는 것도 재밌지만... [6] 안정민1304 02/08/30 1304
3971 수시아님께서 요청하신 왕중왕전, 위너스 제외한 2002 A매치 전적 [4] Dabeeforever1568 02/07/08 1568
2172 왕중왕전 출신 4인방.즉 시드배정자 4인방 오늘 전패.. [2] 마린스1174 02/04/12 1174
1643 [온게임넷 시드결정전] 홍진호 선수 왕중왕 등극... [3] 목마른땅1321 02/03/15 1321
1355 조정현-홍진호 왕중왕전 뒤늦게 보구.. [4] nowjojo1611 02/02/24 1611
1332 왕중왕전다녀온후기.... [11] 아이리스1439 02/02/23 1439
1325 왕중왕전 결승 소감....... [6] kama1836 02/02/22 1836
1230 [펌]김정민,김동수님의 재경기 후기 및 조정현님 지난주 왕중왕전 후기... [5] canoppy1694 02/02/16 1694
1229 허접한 왕중왕전 재경기 후기 [5] Dabeeforever1883 02/02/16 1883
1150 [대회후기] 온게임넷 왕중왕전 4주차 후기 [14] Apatheia1371 02/02/09 1371
1068 [예상]보다 긴박감 넘치는 KT왕중왕전 결승전이되려면... [13] 머털도사1205 02/02/02 1205
1067 [후기] 왕중왕전 3주차. [4] Apatheia1408 02/02/02 1408
1063 왕중왕전... [6] [귀여운소년]1412 02/02/01 1412
1060 방금 끝난 왕중왕전 결과 [8] 랜덤테란1119 02/02/01 1119
1007 왕중왕전 이야기 나오니까, 하는 말인데요. [5] 요정테란마린1135 02/01/30 1135
1005 솔직히 왕중왕전 맘에 안든다. [16] wook981834 02/01/30 1834
992 왕중왕전 임요환대 김동수겜에서.. [6] 루키1212 02/01/29 12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