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5/22 22:10:23
Name 김연우
Subject 프로리그의, 승점 분석법
프로리그 방식에서는
세개의 SET를 이기면 승리하고,
세개의 SET를 지면 패배합니다.(당연하죠?)

그런데 이 특징에 승점을 결합시키면 꽤나 흥미있는 값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 승리한 KOR의 전적을 봅시다.

3위 KOR 3승 1패(승점 +7: 11승 4패-개인전 8승 3패/팀플전 3승 1패)
[승vs한빛[3:1],삼성[3:0],르까프[3:0]/패vsMBC Hero[2:3]/남은경기vsSKT T1,E-Nature,KTF,P&E,STX,CJ]

11/4의 SET점수로 3/1의 팀점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1) SET승리 11승 중, 9승은 팀승리 동안 기록한 SET승리입니다. 3SET를 승리해야 팀승리를하니, 3x3해서 9승인거죠.
그러므로 11-9=2, 즉 2승은 팀 패배시에 거둔 승리입니다.

2) SET패배 4패 중, 3패는 팀패배 동안 기록한 SET패배입니다. SET 세번을 패배해야 팀패배를 하니까요.
그러므로 4-3=1, 즉 1패는 팀승리시에 거둔 패배입니다.

3) 즉, 승패와 상관 없는 승점 경기로, 2승 1패를 거두었습니다.






즉, KOR은

팀승리시, 평균적으로  3승 0.333패를 기록했고
        => 승리는 당연히 3승이고, 패배는 2)에서 계산했듯 승리하는동안 1패를 했는데, 총 3승을 했으니 1/3=0.333인 것입니다.

팀패배시, 평균적으로  2승 3패를 기록했습니다. (MBC와의 1전밖에 없으니 평균이 저렇게 되는 것은 당연하지만-_-)
        => 패배는 당연히 3패이고, 승리는 1)에서 계산했듯 패배하는동안 2패를 했는데, 총 1패를 했으니 2/1=2인 것입니다.



즉 KOR은
승리시 3승 0.333패로, 압도적으로 승리했으며,
패배시 2승 3패로, 아깝게 패배했으며,
승점 SET를 총 3회, 평균 3/4회 치뤘습니다.


승리시 거둔 평균 SET패배를 압도력,
패배시 거둔 평균 SET승리를 분전력이라 하면






이런 공식을 다른 팀에게도 적용시켜 보면

이름        승리        패배        승점        SET승리        SET패배        압도력        분전력        이전투구력
MBC        4        0        5        12        7        1.75        X        X
CJ        3        0        7        9        2        0.67        X        X
KOR        3        1        7        11        4        0.33        2.00        1.67
Enature        2        2        -1        8        9        1.50        1.00        -0.50
SKT        2        1        2        8        6        1.50        2.00        0.50
팬택        2        2        1        9        8        1.00        1.50        0.50
KTF        2        2        -1        9        10        2.00        1.50        -0.50
오즈        1        3        -3        7        10        1.00        1.33        0.33
삼성        1        3        -5        6        11        2.00        1.00        -1.00
한빛        0        3        -6        3        9        X        1.00        X
STX        0        3        -6        3        9        X        1.00        X
가 됩니다.






(한빛,STX 승 없음)
KOR- CJ - P&E , 르카프 - SKT - MBC - KTF, 삼성KHAN
의 순으로 경기를 압도적으로 이겼고,


(MBC, CJ 패 없음)
KOR, SKT - P&E, KTF - 르카프 - E-Nature, 삼성KHAN, 한빛 Stars, STX SOUL
의 순으로 패배임에도 분전했다는 뜻입니다.





압도력, 분전력이란 명칭 자체는 상당히 마음에 안들긴 하지만,

질때도 3:0, 이길때도 3:0이었던 SK T1의 아스트랄함과
이겨도 3:2, 져도 3:2였던 KTF의 조마조마함이 생각나서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ps 사실 SET스코어랑 팀승리,팀패배로 계산할 필요 없이, 승리한 경기 따로 모아 평균 계산하고, 패배한 경기 따로 모아 평균 계산해도 위 수치가 나오지만, 위의 계산법을 쓰는게 엑셀로 계산하기 편리할 것 같아 만들었습니다.



*현재는 초반이라 전적이 적어 별로 볼게 없는데,
2005 프로리그에 적용했을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이름        승리        패배        승점        SET승리        SET패배        압도력        분전력        이전투구력
KTF        22        6        26        74        48        1.36        1.33        -0.03
SKT        21        7        35        74        39        0.86        1.57        0.71
GO        18        10        14        63        49        1.06        0.90        -0.16
삼성        16        12        14        64        50        0.88        1.33        0.46
팬택        15        13        8        63        55        1.07        1.38        0.32
POS        13        15        1        61        60        1.15        1.47        0.31
KOR        12        16        -8        52        60        1.00        1.00        0.00
PLUS        11        17        -6        53        59        0.73        1.18        0.45
한빛        9        19        -24        43        67        1.11        0.84        -0.27
SOUL        7        21        -41        33        74        1.57        0.57        -1.00
Enature        1        9        -19        9        28        1.00        0.67        -0.33



압도력으로 분석하자면

PLUS - SKT - 삼성 - KOR - Enature - GO - 팬택 - 한빛 - POS - KTF - SOUl

순으로 압도적으로 이겼으며



분전력으로 분석하자면

SKT - POS - 팬택 - 삼성 - KTF - PLUS - KOR - GO - 한빛 - eNature - SOUL

순으로 패배시에도 분전했으며



이전투구력으로 분석하자면

SKT - 삼성 - 팬택 - POS - KOR - KTF - GO - 한빛 - Enature - SOUl

순으로 경기력이 좋았다는 뜻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XoltCounteR
06/05/22 23:09
수정 아이콘
늘 느끼지만 연우님의 글은 흥미롭군요...+_+
06/05/22 23:21
수정 아이콘
방송에서 바로 사용해도 무리가 없을것 같습니다.
각 팀들이 보여주고 있는 기세나 분위기를 알기 쉽게 나타내는 수치같네요.
홍승식
06/05/22 23:33
수정 아이콘
이전투구력은 어떻게 표현되는 수치인가요?
숫자를 보니 분전력에서 압도력을 뺀 값인것 같습니다.
이길때는 압도적으로 이기고 질때는 아슬아슬하게 지는, 즉 상대에게 실질적으로 위협이되는 능력이 되겠군요.
흥미로운 숫자들이네요.
물빛은어
06/05/22 23:41
수정 아이콘
좋네요.
방송에서 이렇게 나와주면 원츄!!!
06/05/22 23:52
수정 아이콘
그런 의미에서 현제 압도력 분전력 1위는 KOREA가 되는 거군야 꺄하하하핫!! 이대로 우승하는거닷~!!
아크이브
06/05/23 00:07
수정 아이콘
지난해 SKT1과 KTF가 승패가 단 한경기 차이남에도 불구하고 압도력, 분전력은 차이가 좀 나는 걸 보니
승패라는 결과는 비슷할지라도 두 팀이 걸어온 길이 확연히 다르 다는 걸 금방 알수가 있네요.
어쨌든 김연우님의 색다른 관점. 흥미롭고, 더 재미난 분석이 되는 군요. ^^ 바로 적용해도 무리가 없을 듯.

저기. 그리고. 제가 정말 수학적 지식이 부족해서 그럽니다.
이전투구력이 왜 분전력에서 압도력을 뺀 것이 되나요?? ㅠ
김연우
06/05/23 00:20
수정 아이콘
일단... 이전투구력을 잘못 썼군요.
원래는 승점외 점수, 그러니까 현재 점수의 압도력+분전력을 합친게 이전투구력이었습니다.
즉, 승리할때는 힘들게 이기고 질때도 힘들게 지는, 그런 정도로요.
그래서 원래 KTF가 이전투구력이 제일 높았죠.


이렇게 된게,
www.zealot.co.pr님 말처럼 압도력을 2-원본값 으로 하려했는데, 설명이 복잡해질거 같아서 현재 그대로 하니, 값이 저렇게 변해버렸군요;;;

현재 방식으로 계산된 이전투구력은 분전력-압도력이 맞습니다.
분전력이 높을수록 아깝게 지는거고,
압도력이 낮을수록 상대에게 점수를 내주지 않는거니(2-원본값, 처리를 안해서 뜻이 반대가 돼었죠.)
승패와는 다른, 팬들이나 팀들에게 주는 '기세'를 표현하는 값이겠지요.
www.zealot.co.pr
06/05/23 00:21
수정 아이콘
흥미롭네요.^^

압도력의 경우는 [2.00 - 위의값] 으로 하는게 더 보기 좋지 않을까요?
www.zealot.co.pr
06/05/23 00:23
수정 아이콘
압도력, 분전력이란 말을 대신할 말이 굳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승리 한 경기당 패수, 패배한 경기당 승수 를 영어약자로 쓰는것도 될법한데요.
www.zealot.co.pr
06/05/23 00:26
수정 아이콘
그럼 이전투구력이 원래 분전력 + 압도력인가요?
홍승식
06/05/23 00:27
수정 아이콘
재밌는 점 하나.
숫자를 잘 살펴보면,
[3-압도력]은 승리시 얻을 수 있는 승점의 기대값이 나오게 되고,
[분전력-3]은 패배시 빼앗기는 승점의 기대값이 나오게 됩니다.
www.zealot.co.pr
06/05/23 00:30
수정 아이콘
위에 홍승식님이 단 리플을 보고 홍성대씨가 생각났다는;;;
불청객2
06/05/23 00:33
수정 아이콘
으아악!!! 수학은 학교에서만... ㅜㅠ (유머입니다.. =_=;;;)
파벨네드베드
06/05/23 01:14
수정 아이콘
상당히 흥미있는 분석이네요 :)
T1팬_이상윤
06/05/23 01:33
수정 아이콘
좀 복잡하긴 한데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저걸로 팀의 승리가 영양가가 높은 승리인지 아닌지를 볼수 있겠군요. (물론 프로의 세계에선 어떻게 이기든간에 똑같은 승리입니다만......)
폴로매니아
06/05/23 04:16
수정 아이콘
방송에서 써먹기는 별로 실효성이 없지만, 통계 그 자체로서의 가치는 괜찮다고 생각하네요.
06/05/23 11:00
수정 아이콘
팀컬러가 드러나는 재미있는 분석이네요. 작년 프로리그에서 항상 3:2로 이기는 KTF를 보면서 비슷한 개념을 생각해본 적이 있었는데, 이렇게 구체화를 해주시니 더욱 흥미롭습니다. 연우님은 전반적으로 정성이 많이 담긴 글을 써주시는 것 같아요.^^
06/05/23 14:34
수정 아이콘
이전투구력이라는 용어가 마음에 듭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3908 대체 어디까지 갈겁니까? [43] 狂的 Rach 사랑7172 06/06/19 7172 0
23906 한번 만들어 봤습니다..8th MSL 예고편 [9] 담배피는씨3812 06/06/19 3812 0
23902 신 자유주의에 대해서 [70] 한인4662 06/06/19 4662 0
23901 월드컵 그속에 e-스포츠? [3] 요로리3685 06/06/19 3685 0
23900 프로리그 상위 6팀, 그들의 향후 판도는? [23] Observer4777 06/06/18 4777 0
23897 티원 vs 르카프 오즈 엔트리가 나왔네요. [188] Silent...7390 06/06/18 7390 0
23894 MBC Hero VS 삼성의 엔트리가 나왔습니다. [62] SKY924711 06/06/18 4711 0
23893 박용욱 vs 강민의 길고 긴 인연, 프링글스의 승자는?? [22] 김광훈4905 06/06/18 4905 0
23892 야후 연예뉴스란에서 사라진 게임 [7] 고길동5689 06/06/17 5689 0
23891 추억이란 단어속에 늘 존재하는 친구의 소중함... [4] 어느난감한오3874 06/06/17 3874 0
23890 미약한 가능성일지라도 붙잡을 수 있다면 그것을 놓치지 않겠다 [17] Nerion4732 06/06/17 4732 0
23889 영어 시험과 TEPS [21] kirari_koizumi4473 06/06/17 4473 0
23888 프로게이머가 아닌!!!최근 공방유저들 상황 [27] 마루8226 06/06/17 8226 0
23886 김창선해설에 대한 개인적인생각 [95] 50fa9441 06/06/17 9441 0
23884 모처럼 한가로운 오후, 시 한편이 가슴을 때릴때... [4] 날개달린질럿4053 06/06/17 4053 0
23883 Pantech EX VS CJ ENTUS LINE UP [89] 초보랜덤4708 06/06/17 4708 0
23881 박정석...방금 포스는... [13] 노게잇더블넥5480 06/06/17 5480 0
23880 STX VS KTF LINE UP 공개 [93] 초보랜덤5178 06/06/17 5178 0
23875 애국자인 것과 애국자로 불리는 것. [25] 볼텍스3748 06/06/17 3748 0
23874 2년만에 돌아온 PgR21 역시 좋아요 ^^ [6] 샹크스4569 06/06/16 4569 0
23872 한미 FTA는 과연 앞으로 악영향만 있을까요? [23] 에어하트4915 06/06/16 4915 0
23871 게임리그의 틀을 바꾸어볼까? [9] 붇옹산3673 06/06/16 3673 0
23870 이번 MSL결승에 쓰이는 맵들의 플저전 밸런스와 분석~~ [30] 김광훈4978 06/06/16 497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홈페이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