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3/31 19:38:11
Name 워싱턴
Subject 오늘 마재윤 선수의 부진..
휴..오늘 vs최연성 경기를 보면서..
정말..지금 이상황까지 와버렸군요..
예전보다 많이 부진한 모습이네요
꽤 오랜 시간 전부터..
컨디션때문이다..
조정기를 거치는거다..
칼같은 스케쥴로 연습시간이 부족했다..

나름대로의 온갖 핑계꺼리들로 제 자신을 다독겨렸지만..^-^;;;

이제는..이제는 더이상 뭐라 저 자신에게 핑계꺼리를 찾기가 힘들게 되었네요..^-^;

마재윤 선수의 부진에 대해..
팬으로서... 이제는..
네. 인정하겠습니다..
더이상의 합리화는
이제 지쳤네요..;;ㅜ_ㅜ

지난 msl 결승에서..김택용선수에게 3:0으로 정말 너무 허무하게 졌을때부터..오늘의 vs최연성까지..
3:1도 아니고,,3:2도 아니고,, 3:0..그리고 경기내용도..대등한 경기가 아닌 일방적인 승부..
그때부터 저 자신은 본능적으로 어떤 합리화를 계속 하고 있었던거 같습니다.

이제 제 잘못된 본능을 과감히 탈출하고 싶습니다.

현실을 직시하지 않고
외곡된 사실을 현실이라 믿는것이 더 바보 같다는걸 깨닳았기 때문이죠 ^--^;;

네. 인정하겠습니다.

하지만 중요한건,
그가 부진했다고 해서
그를 싫어하지 안을 것이란 것입니다.

현실을 인정하고,
응원하는 길이 지금으로서 더 팬다운 모습일것이기 때문입니다 ^--^;;

네 욕해도 좋습니다..
부진했다고 그를 떠나는 사람들이 아니란걸..
최소한 마재윤 선수 팬들은 절대..
계속 응원해 주리라 믿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3/31 19:39
수정 아이콘
이것이 온게임넷. 우승자 징크스의 위력?
석호필
07/03/31 19:40
수정 아이콘
근데 김택용선수 스카우트.....왜뽑았을까요.정말궁금한데
자신이 유리하다고 생각해서 뽑았을까...
아님 드랍쉽을잡기위해서 뽑았을까요....
바포메트
07/03/31 19:41
수정 아이콘
얼레..방금 이런 내용의 글을 본적이 있는것같은데.. 데자뷰?
07/03/31 19:42
수정 아이콘
바포메트//글쓴분이 자삭하고 다시 쓴거죠..
07/03/31 19:43
수정 아이콘
몰락보단 부진이 훨씬 어울리네요...김택용선수가 스카웃쓴건 저도 도저히;;관광이 목적이 아닌이상 -_-
07/03/31 19:45
수정 아이콘
운영자한테 삭제당하고 새로 썼다고 하시네요.
№.①정민、
07/03/31 19:46
수정 아이콘
이벤트전이라 눈을 즐겁게 하기 위해 뽑은거 같은데요. 그리고 드랍쉽잡는속도는 커세어보단 배로 빠르죠
ArcanumToss
07/03/31 19:48
수정 아이콘
골수 토스빠지만 정말 마재윤 선수의 그 웅장한 Sound를 다시 듣고 싶네요.

아마 그 스카웃은 드랍쉽 격추용인 것 같습니다.
그 스카웃이 정찰도 하고 드랍쉽도 잡고 SCV도 잡고 후방 교란도 하고 하면서 혼신의 힘을 다 하는 모습이 흐뭇하더군요.
07/03/31 19:50
수정 아이콘
오늘은...스카웃이 꽤나 많이 활약했죠.. 기대 했던거 보단(?)
DynamicToss
07/03/31 20:12
수정 아이콘
스카웃 올만에 나와서 좋았는데 그답답하고 느려텨진 속도.. 속도업글 하려면 자원이 어마 어마하게 드니 원...
ㅂㅞㄺ소리
07/03/31 20:22
수정 아이콘
만약에 마재윤이 지금 본좌자리에서 떨어진다면.......
역대 최단기간 최강 포스인 본좌였을듯.........
Canivalentine
07/03/31 20:30
수정 아이콘
김택용선수와 천적되나요...최연성선수도 마재윤선수 극복해가고있네요
오윤구
07/03/31 20:37
수정 아이콘
역시 온겜우승은 화룡정점.....
아아아 이렇게 떨어지면 안돼는디...
yonghowang
07/03/31 20:38
수정 아이콘
역시 온겜우승은 화룡정점......(2)
양대리그서 그 암울한 맵속에서 혼자서 테란 다때려잡으며 우승 준우승
일궈낸거 어젠거같은데 이렇게 떨어지면 안돼는데..
오윤구
07/03/31 20:44
수정 아이콘
이건 뭐 산왕 꺾은 북산도 아니고........
왜이러나요 마재윤 선수...............................
태엽시계불태
07/03/31 20:53
수정 아이콘
역시나 MSL우승자>>>>>OSL 우승자 라는 공식을 이어가는군요
싸늘한웃음
07/03/31 20:54
수정 아이콘
이렇게 무기력하게 2패라니
공방 양민 경기에서나 나오던 닥탬 커세어가 또 나오고.....
최연성 선수랑 경기는 그냥 예전 최연성 선수 경기처럼 무난히 관광 타버리네여
말 그대로 칠일 천하네여.... 물론 온겜넷 우승을 최절정이라고 했을때
역대 최단기간 포스.......

절대 본좌란 절대 없다!!!!!!!!!!
오윤구
07/03/31 20:56
수정 아이콘
그런데 7일포스라는건 좀 어폐가 있지 않나요.
포쓰의 피크가 7일 유지된거지 그전까지 마재윤은 꾸준함의 대명사였으니까...
새벽의사수
07/03/31 21:23
수정 아이콘
7일포쓰는 좀 아니죠;
그 동안 보여준 게 얼만데...
이대로 쓰러질 선수는 아니라고 믿습니다. -_-;
금쥐유저
07/03/31 21:33
수정 아이콘
뭐 외계인에서 지구인으로 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리 잘하는 선수라도 무적포스를 끝없이 뿜을수는 없는거죠..
이렇게 슬슬 포스가 사라지면서..
또다른 본좌가 나오고 하는것 아닌가요..^^
세츠나
07/03/31 21:39
수정 아이콘
'이제부터 최절정기!' 라고 모두가 입을 모았을 때, 그 기간이 7일이었다는 점에서 7일 천하라는 말도 일리가 있을지도...^^;
나폴레옹의 전성기는, 황제 시절이 아니라 상승장군이던 장교시절이야 말로 그의 가장 빛나는 시절이고 영광의 날 아니었을까요?
그리고 황제 등극은 나름대로 그 열매였겠죠. 하지만 열매는 그리 달지 않았습니다. 기간은 그리 짧지는 않았지만.

마재윤 선수의 영광의 날은 매우 길었습니다. 하지만 업적으로서의 절정기는 확실히 짧긴 짧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분명히 부활하겠죠. 제가 생각하기엔, 임요환 선수만큼 오랫동안 통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 최초의 선수가 아닌가 싶네요.
마재윤 선수가 앞으로도 이전처럼 '절대' 포스를 보일 수 있을지는 확신할 수 없어도, 오랫동안 최정상권에 머물 선수라 생각합니다.

적어도 마재윤 선수가 임요환 선수 이후의 다른 본좌들만큼의 실력 저하를 보이고 있지는 않습니다. 몰락이나 부진 같은 단어는 아직은
시기상조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단지 '권좌'가 길지 않았던 것이지 무슨 실력이 크게 떨어지고 부진하고 그렇지는 않은 것 같네요.
우승자 징크스일 수도 있고요. 온게임넷 우승은 확실히 '다 이루었다' 하는 느낌을 줄만한 사건이었을 수도 있지요 마재윤 선수에게.
MSL을 3번 우승하고 1번 준우승 할 동안 본선에 올라가려고 그렇게 애썼을 정도니까요. 오히려 징크스가 더 크게 작용할지도?

사실 경기력은 기복이 있는게 정상이지요. 마재윤 선수도 지금까지 분명 기복은 있었다고 생각하는데요? 너무 일일이 챙겨보면 오히려
모를 수도 있다고 생각되는데, 마재윤 선수 경기는 지금까지 십 여 개 밖에 못봤습니다 사실 -ㅅ-; 그런데 그 편차 자체가 너무 높은데
있어서 그렇지 기복이 없다고 생각되지는 않던데요...이제 다른 선수들이 그 편차의 폭 속으로 따라왔다는 설명은 불가능할까요?
(지금 시기가 마재윤 선수의 저조한 페이스와 다른 선수들의 상승이 맞물린 시점이라고나 할까요?)

뭐 두서없는 얘기지만, 결론은 마재윤 선수는 아직도 경계하며 지켜봐야될 선수라는 얘깁니다 ^^; 결코 방심해서는 안되죠.
ArcanumToss
07/03/31 22:15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이윤열 선수는 김택용 선수에게 여러가지로 치욕(?)적인 일을 당했군요.

스카웃의 kills, 연속 리콜, 일꾼 얼리기, 다수 아칸, 노옵저버

테란이 토스에게 한 경기에서 이런 걸 모두 허용한 선수는 이윤열 선수가 최초라는 게 정말... -_-;

아, 반대로 저걸 테란에게 모두 선사한 토스는 김택용 선수가 최초네요.
[couple]-bada
07/03/31 22:35
수정 아이콘
다템 커세어가 공방양민 경기..?
MSL 결승에서 3경기나 나왔고.. 그다지 공방양민 경기라고 볼 건 없는거 같은데요..
레전드테란
07/03/31 22:50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 어쩌다 M급의 경기력을 보여주나요. 연속 다전제 패배가 크긴 컸나보네요.
07/03/31 23:00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와 김택용선수의 경기는 직접 보셨다면 치욕적이라고 말할수 없죠. 스카웃은 사용하려고 뽑은거고 다수아칸 노옵저버는 김택용선수의 전술이었지 관광용이거나 유리해서 그랬던게 아니죠.
먹어보니개미
07/03/31 23:10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1라운드 때 나와서 김택용한테 지고 2라운드 때 바로
연속으로나와서 최연성 상대하길래.. 독기 단단히 품고 한번은 이길
줄 알았더니 무기력한 2패라니요... 본좌의 전적에 걸맞지 않습니다.

아 그런데 여기서 중요시 볼게 있죠? 김택용이 msl을 우승하고
승승장구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케스파컵에서도 김택용이
mbc게임을 결승까지 올리는데 단단한 몫을 했고, 결승에서도
올킬할뻔하다 1번지고 또다시 열리는 경기마다 이기고....
이거 이러다 플토의 본좌가 나오는 것아닌가요?(현 본좌인 마재윤을 꺾었으니)
휀 라디엔트
07/03/31 23:12
수정 아이콘
오늘 맵들보니 다 새로운 맵이던데 아직 적응력이 부족한것이였다는 생각이 드네요
확실히 저그는 타이밍설정이란 면에서 맵연구가 따라와줘야하는 종족이라는 생각도 들었구요
결론은 오늘 경기는 마재윤선수에게 실망할 정도의 경기는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Tears...
07/03/31 23:20
수정 아이콘
7일천하는 개그죠.
마재윤 선수가 잘한 기간이 얼마인데..
근데 오늘 경기력은 정말 실망스럽기 짝이 없었습니다.
07/04/01 00:20
수정 아이콘
글쎄요. 임요환 선수나 이윤열 선수나 최연성 선수나,
흔히 말하는 본좌에서 내려 왔다고 한 시기에도 우승도 하고,
준우승도 하고.. 절대 본좌에서 내려왔을 뿐이지..여전히 꾸준히
잘해주고 있습니다.

마재윤 선수에게 온 이번 슬럼프도 그간의 본좌들이 다 겪은 수순이지요.
이걸 극복하고 다시 우승하거나 결승에 오른다면, 임 이 최 라인에
들 것이고, 아니면 반좌라는 타 사이트에서 부르는 말이 붙겠지요.

너무 마재윤 선수에게 보낸 그간의 찬사는 삼페인을 일찍 터트린 감이
않았나 싶습니다.
07/04/01 01:01
수정 아이콘
(운영진 수정, 벌점) 비꼬는 말투는 삼가해주시기 바랍니다.
07/04/01 01:41
수정 아이콘
hwang18 / 비꼬면서 까는 말투가 심히 거슬리는군요.// 오늘 마재윤선수의 경기력은 저도 실망했을 정도입니다. 제가 알던 그선수가 맞나 싶네요. 아직 2007시즌 개막안했으니 그 때까지 페이스 끌어올려서 잘나가던 마재윤선수의 포스를 다시 느끼고싶습니다.
07/04/01 03:27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의 승리도 좀 챙겨주시지ㅠㅠㅠ
07/04/01 04:33
수정 아이콘
hwang18//여기 계신 모든 분이 가차없이 말했나요? 비꼬는 말을 하시려면 대상을 명확하게 정해주세요~ 자기 내뱉고 싶은대로 내뱉을 때만 편한대로 끌어오지 마시구요!~ 님같은 사람을 두고 보통 미꾸라지 한마리가 냇물을 흐린다라는 속담을 쓰곤 하죠 ^^;; 그러고 보면 참 우리 조상님들도 선견지명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07/04/01 15:03
수정 아이콘
근데, 마재윤 선수는... 분석할 시간이 부족했던 맵에서는 계속해서 안좋은 모습들을 보여주지 않았나요? 저번 스타리그 때에도... 저그가 할만하다고 평가되던 맵들인 히치하이커나 알카노이드 블리츠 등에서도, 공통맵이 아니라서 그런지 4강전에서는 안 좋은 모습들을 많이 보여줬죠.
오윤구
07/04/01 15:25
수정 아이콘
AhnGoon님//
그렇긴 한데......
이번엔 팬이봐도 좀 심했죠 ㅠ
한방토스
07/04/01 16:55
수정 아이콘
한시적인 기복이라고 봅니다. 부자는 망해도 3년이라고 했습니다.
사실 마재윤의 성적이 나뻐지기 시작한지가 1달이 넘지 않습니다.
불과 한달전만 하더라도 본좌네 재앙이라더니 이제와서 지쳤다는건 저그팬분들의 엄살로 보입니다. ^^;; 엄살..
토스가 분위기가 좋다고 하나 언제든 바뀔 수 있게 하는 건 전략의 돌고 돎에 있는거 아니겠습니까?
그 파해법을 마재윤이 들고나와준다면 극복이 되는거고 아니래도 이용을 하게 되겠지요.
어쨋거나 다시 기회는 온다는 겁니다.
07/04/01 17:37
수정 아이콘
MSL 결승전, 스타리그 마스터즈 결승전에서의 패배의 충격이 아직 가시지 않은것 같네요.
07/04/01 17:37
수정 아이콘
상대선수들이 워낙 잘한것도 있습니다만
07/04/03 18:30
수정 아이콘
SaViOr의 최근 몇 경기를 놓고 페이스 논할 건 없다고 생각듭니다. 성적자체로는 나쁠게 없습니다. 전투력의 저하니 어쩌니 하는 건 2007시즌 시작되고나서 해도 늦지 않을거 같네요.

아.. NaDa와 김택용 전은 해설이 허접이라 경기를 못받쳐준것이지 경기자체는 꽤 재미있고 아기자기한 경기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슈파 경기중 가장 괜찮았다고 생각되어지기도 했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919 [곰TV 2 마재윤vs박태민 그 후] #1 역린(逆鱗) - 박태민 열받았다 [11] 점쟁이9257 07/06/01 9257 0
30878 [sylent의 B급토크] 테란의 마재윤 [40] sylent9196 07/05/27 9196 0
30867 댓글잠금 마재윤은 스타판을 멋지게 ...더 멋지게.. [91] 마의연주곡8395 07/05/26 8395 0
30861 마재윤의 선택 [52] 엘런드8521 07/05/26 8521 0
30860 박성준, 마재윤. 그들의 스타일. [6] Leeka4376 07/05/26 4376 0
30858 [곰TV 2 마재윤vs박태민] 이것은 또다른 사제 대결? 관광하느냐 관광당하느냐 [59] 점쟁이6989 07/05/26 6989 0
30834 [sylent의 B급칼럼] 임요환, 홍진호 그리고 마재윤의 승부근성 [87] sylent10179 07/05/25 10179 0
30830 이번 MSL 32강 최대 하이라이트 마재윤의 테란 (D-2) [25] 처음느낌5008 07/05/24 5008 0
30747 마재윤의 테란 과연 결과는? [45] 처음느낌6937 07/05/19 6937 0
30693 스타리그를 다시보기시작했을때 마재윤이 있었습니다 [43] zillantert6171 07/05/14 6171 0
30666 어제 최연성 마재윤 경기 간단하게 감상 [17] 히엔8004 07/05/12 8004 0
30665 마재윤 vs 최연성전에서의 머린이 안쏘는 현상을 어떻게 보셨나요? [44] amiGO10593 07/05/12 10593 0
30525 드림매치 황제와 마재윤!! ( 스포일러있습니다) [25] Casual-5959 07/05/05 5959 0
30456 마재윤을 응원하며.. [30] Boxer_win5257 07/04/29 5257 0
30128 오늘 마재윤 선수의 부진.. [39] 워싱턴9039 07/03/31 9039 0
30078 와우~! 김택용 vs 마재윤 온게임넷 리턴매치도 가능하게 됐습니다! [20] 워싱턴8098 07/03/15 8098 0
29878 쿠타야!! 비교해보자!!!(8) 마재윤과 박태민 [26] KuTaR조군5043 07/03/06 5043 0
29869 결승에서 김택용선수를 상대로 마재윤선수는 어떻게 플레이하는게 왕도였을까요? [30] 김광훈7591 07/03/05 7591 0
29832 마재윤 선수의 7일 천하.. 그리고 어린 혁명가 김택용!!! [29] 다주거써8334 07/03/04 8334 0
29825 김택용과 마재윤, 다크템플러와 오버마인드 [3] Saturday4186 07/03/04 4186 0
29824 마재윤 vs 김택용, 이윤열 vs 마재윤 [6] Anyname4817 07/03/04 4817 0
29821 플토팬인 저는 마재윤과 김택용의 앞으로의 행보가 이렇게됬으면 [2] zillra4330 07/03/04 4330 0
29817 드디어 마재윤을 능가하는 강(强)자가 나타났군요. [11] 요한 리베르토4773 07/03/04 477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