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1/30 23:11:55
Name sch360
Subject 저그로 김택용 선수 이기는 방법
오늘 마재윤 선수와 김택용 선수의 경기를 보니 정말 저그가 답이 안 나오더군요.

마재윤 선수도 나름대로 진화한 모습이었지만..

역시 진화의 상징인 푸켓몬토스답게 김택용 선수는 한 단계 더 위에 올라가 있었습니다.



마재윤 선수의 경기력과 표정을 보니 평소보다 훨씬 연습도 많이 한 것 같고 다짐도 엄청난 것 같았는데요.

마지막 GG치기 직전에 마재윤 선수의 표정... (아.. 진짜 어떻게 이럴수가 있냐?) 는 듯한 표정...

그에 반해 김택용 선수 여유로운 웃음과 그럼 그렇지 하는 듯한 표정...

정말 마지막으로 김택용 선수를 이길 수 있는 기회를 놓친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졌는데 다음에는 아무리 유리해도 자기 내부로부터 무너져서 질 것 같습니다.



그럼 저그로 또는 마재윤 선수가 김택용 선수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일단은 무조건 초반에 경기를 끝내야 할 것 같더군요.

저그는 유닛의 체력도 낮고 숫자도 많아서 김택용 선수 만큼의 컨트롤이 불가능할듯합니다.

게다가 후반갈수록 늘어나는 엄청난 저글링과 많은 유닛 그리고 해처리 라바 관리..



그러므로...

1. 5드론
아예 모 아니면 도로 끝냅니다.

2. 초올인 작전
적당히 피해주고 운영 싸움 가는게 아니라 아예 작정하고 올인으로 끝내는 것이죠.
이중 심리전 가지 않고요.


이렇게 되면 당연히 승률은 반반이거나 그 이하겠지만..

그래도 저그나 아니.. 마재윤 선수가 김택용 선수를 이길 확률이 2%늘어날 것이라 생각됩니다.




뱀다리)4강 토토전...
정말 기대되네요.
김택용 선수는 다크를 주로 쓰고
송병구 선수는 리버를 주로 쓰면 더 재미있을 듯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1/30 23:13
수정 아이콘
하나더 추가요.
한 5~6년 됐나요, 그쯤 된 전술의 변형인데
"베지밀 저그"
07/11/30 23:16
수정 아이콘
GomTV MSL 2nd 결승도 사실 누가 우위에 있다기 보다는 한끝차였지요. 상황에 따라서는 우승자가

바뀌었을 꺼라고 생각합니다. 원래 동족전이 다 그렇지만요... (김택용 선수 팬입니다;;)

이번 총 다섯경기를 치루는 두 선수... 누가 2007년도의 프로토스의 왕자가 될지 벌써부터 기대가 됩니다^^
아니거든요
07/11/30 23:17
수정 아이콘
이걸 어떻게 이겼지? 라는 생각 밖에 안 들더군요.
심리전을 걸어도, 운영싸움을 해도 , 전략적인 플레이를 해도 뭘 해도 안되더군요.

진짜 초반 올인 아니면 답이 없는 것 같습니다.
더미짱
07/11/30 23:20
수정 아이콘
변은종 선수가 그랬던가요? 5드론은 95%를 거는거고 4드론은 100%를 거는거라고요.
제 생각에 4드론 한다음에 저글링 8마리 찍을 어치만 자원 캔 다음에 드론 4마리에 저글링 8마리해서 올인러쉬하는게 젤 좋을듯
07/11/30 23:25
수정 아이콘
흠... 저그가 플토 상대로 답이 없다고 하는 시대가 오네요; 참 이런 시대는 절대 절대 안 온다고 생각했는데... 로템에서 해도 저그가 김택용 선수 못 이길거 같네요..
배홀똑이
07/11/30 23:25
수정 아이콘
결국은 김택용선수를 저그로 이기는건 꿈에서나 가능한 얘기인것같네요 윗분들 말씀을 보면
볼텍스
07/11/30 23:27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가 전성기때 그랬듯이... 더 잘하는 선수가 나오면 이기겠죠 뭐.. 드론들이 사이오닉 스톰 다 피하고, 오버로드 안잃고, 토스 멀티자리에 미리 저지병력 뿌려두고, 게릴라 경로 예측해서 격추. 일단 올해 안에는 안나올것 같습니다만. 내년 초반쯤에는 일단 저정도 하는 토스들이 최소 3명쯤은 더 있을거고 조금 더 가면 프로토스가 최강종족 자리를 다시 내주는 때가 오겠죠..
Ma_Cherie
07/11/30 23:28
수정 아이콘
오늘 경기보면 김택용 선수보다 더 eapm이 더 빠르고 수싸움까지 더 잘하는 저그가 나와야 이기겠는데, 당분간은 나오기 힘들겠네요.
바스데바
07/11/30 23:36
수정 아이콘
전 이제동선수가 플토전 잘 가다듬으면 가능할것 같아요~ 제동선수가 손이 빠르지 않나요?
팀에 오영종이라는 걸출한 플토도 있으니 열심히 하면 가능하다고 생각
차기 저그 본좌 이제동!!
더미짱
07/11/30 23:38
수정 아이콘
흐음,,, 이제동선수 잘하기야 하지만,,, 플토전은 아직,,, 아 머라고 말을 해야 할지,,,
Ma_Cherie
07/11/30 23:40
수정 아이콘
16강인가 이제동 vs 송병구 경기보면 플토전은 아직........

하지만 발전한다면 가능하겠지요
07/11/30 23:41
수정 아이콘
3경기는 마재윤이 올인을 했는데, 드라군 1기에게 오버로드 잡혀서 인구가 막혀서 그런 것 같습니다.
몽상가저그
07/11/30 23:43
수정 아이콘
2007년 김택용 VS 마재윤 경기를 보면서
2006년 마재윤 VS 강민 경기가 떠오르곤 합니다
넘을 듯 넘을 듯 결국 넘지 못했던...
하지만 2008년에 마재윤선수가 더 진화해서 새로운 방법을 가져올거라고 믿고 있습니다
07/12/01 00:05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이상하게 3경기 그 장면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김택용 선수는 섬멀티를 완성하고 캐논을 어느정도 지어놓고

김택용 선수는 8~10기의 커세어와 리버 셔틀이 활약하려던 상황에서 12시 오버로드 3~4정도의 드랍하려던병력과 한번

교차가 되었습니다. 그걸 그대로 지나쳐 버린 김택용 선수가 갑자기 몽환 11시 방향에서 급선회 하여 그 오버로드들을

견제 합니다. 커세어가 그렇게 시야가 넓었는지.. 무슨 초능력이라도 있는걸까요? ^^;
07/12/01 00:07
수정 아이콘
김택용 선수는 그 타이밍에 저그의 드랍을 예상했던 듯 합니다.
그렇게 밖에 설명이 안 될듯.. ㅡㅡ
Go_TheMarine
07/12/01 00:12
수정 아이콘
현재 저그로 토스(김택용선수)를 이길수 있는 상황은 단 한가지 뿐입니다. 맵이 앞마당에 가스가 없는 맵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처럼 러쉬거리가 멀고 플토가 더블넥했을 때 앞마당에 가스가 있다면... 저그로 김택용선수를 이기는게 10판 중 1~2판 정도 될까말까로 보인다고 생각함..

다만 앞마당에 가스가 없다면 저그가 테란을 어떻게 이길까 라고 생각이 드네요...참;;;
잃어버린기억
07/12/01 00:33
수정 아이콘
근데 정말 본걸까요?..... 개인화면을 보고싶네요 드랍장면..
07/12/01 00:37
수정 아이콘
김택용 선수도 언젠가 무너지겠죠.
마재윤 선수가 5판 3선승에서 테란에게 지는것도 사실 1년전에는 상상도 할수 없었습니다.
블러디샤인
07/12/01 00:48
수정 아이콘
KanRyu님// 김택용선수는 아직 본좌등극도 못했는데.. 무너지겠죠 라는말은 조금 섣부른것 같은데요
아직 제대로 서지도 못했는데 ;;
5timeWCWchamp
07/12/01 00:56
수정 아이콘
최연성선수가 마재윤의벽을 넘지못했을때 그심정이이랬을까 싶습니다.
5timeWCWchamp
07/12/01 00:57
수정 아이콘
그나마 박성준선수가 김택용상대로 좋은모습 보여주는것 같더라구요
(상대전적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김택용선수도 특정 스타일에는 약해질수도 있을것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인연과우연
07/12/01 01:31
수정 아이콘
일단은 초반 정찰은 반드시 저지하고, 커세어가 떠서 정찰 당하기 적전의 올인 전략을 준비한다! 라고 하면 50%는 가능할지도 모르겠네요.
아소심행
07/12/01 02:51
수정 아이콘
블러디샤인님// 오바하신 것 같네요. KanRyu님 댓글은 김택용의 대 저그전도 언젠가 무너지겠다는 얘기로밖에 안보이는데..
07/12/01 04:01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마재윤이 본좌시절에 레전드 테란 다 잡고 다닐때도 이런 비슷한글이 올라왔었죠.

"마재윤을 테란으로 이길려면 대체 어떻해 되나요?"라고...


하지만 현재는...
cute.종미
07/12/01 11:33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가 테란전 다전제 잘할때도 아슬아슬하게 이기는 모습 때문에 언젠가는 이길 테란이 나올거라고 생각했는데
김택용 선수의 저그전은 거의 저그한테 짜증과 공포를 선사하니
07/12/02 02:02
수정 아이콘
5드론으로는 힘들어 보이고 4드론이면 가능할 것 같네요.(라고 생각이 될 정도로 김택용 선수의 저그전은 강력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091 송병구 선수의 온게임넷 우승과 올해의 선수상 [54] kips75676 07/12/03 5676 0
33090 야구에 비교하는 스타 전략 전술의 변화 [14] Hwasin4079 07/12/03 4079 0
33089 [wp랭킹의 허구성, 그리고 바라는 랭킹]에 대한 반박 [15] Observer215173 07/12/03 5173 2
33088 영웅의 시대는 갔나? [6] 이리4598 07/12/03 4598 0
33087 팀리그의 단점 [145] Hwasin5820 07/12/03 5820 9
33086 테드 윌리엄스. 그리고 송병구... [32] 루카와4931 07/12/03 4931 6
33085 소위 본좌의 조건 [26] 시암4106 07/12/03 4106 0
33084 김택용 VS 송병구. 4강기념 1년간 전적 총정리. [74] Leeka7462 07/12/03 7462 2
33083 액티비전 블리자드 합병.... [20] 프렐루드5343 07/12/03 5343 0
33081 엠겜이 스토리를 만들고 온겜은 그 스토리를 흡수한다 [20] Hwasin6085 07/12/03 6085 3
33080 스타리그 4강 구도 - "결승에 누가 올라가도 재미있겠네" [18] 허저비5266 07/12/03 5266 0
33079 2007년 11월 Monthly COP - 송병구(삼성전자) [2] 프렐루드4796 07/12/03 4796 0
33078 WP랭킹의 허구성, 그리고 바라는 랭킹 [14] 매콤한맛4243 07/12/03 4243 0
33077 페르소나 논란에 대한 원초적 접근 [45] AnDes6385 07/12/02 6385 0
33076 2007.12.02일자 PP랭킹 [10] 프렐루드4748 07/12/02 4748 2
33075 33혁명에 대한 원론적 접근 [23] Observer216538 07/12/02 6538 4
33074 플저전에 대한 잡소리 [38] rakorn6042 07/12/02 6042 0
33073 김택용 과연 양대리그 결승에 도달할 것인가. [12] 택용스칸5725 07/12/02 5725 0
33072 [영상]마재윤 통곡의벽(에버 스타리그 2007 8강 c조 2set) [15] UZOO6772 07/12/02 6772 1
33071 EVER스타리그 8강 2경기 김택용vs마재윤 분석 +++ [35] 메렁탱크6993 07/12/02 6993 0
33070 MSL 로 최고의 대박 결승전은 뭐가 있을까요? [38] 엠씨용준5957 07/12/02 5957 0
33069 테란한시의 아성을 위메이드의 테란라인이 무너뜨릴 수 있을까요? [40] Yes7768 07/12/01 7768 0
33067 박성균 선수 진짜배기네요! [37] 엘렌딜8672 07/12/01 867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홈페이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