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11/04 20:23:03
Name Leeka
Subject 이정훈 선수의 결승전 진출을 축하드립니다..
* 최고의 해병컨트롤 중 하나인.. 8강 1경기 영상 - https://pgrer.net/?b=10&n=91034



지난주 ELL 랭킹 1위 달성.

지난 시즌 우승자인 과일장수와 32강전 압도적으로 승리.

지난 시즌 준우승자인 김성제 선수와 4강전.. 압도적으로 승리..

강력한 저그중 한명인.. 한준 선수를 말도 안되는 해병 컨트롤로 제압하던 8강전.


정말 스타일이 확실하네요..

엄청나게 공격적이고(테란의 투신이라고 해야 되나요?)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공격을 하고..

타이밍만 잡히면 치즈러쉬도 서슴치 않고 하면서..


해병을 엄청나게 잘 쓰고..

컨트롤이 정말 대단합니다..

8강전 1,5경기와... 오늘 4강전 1경기의 컨트롤은 정말...

엄청나네요....  

황제와 붙던.. 네스티와 붙던....  정말 엄청난 경기가 나올 것 같습니다.


p.s 단지.. 이 선수가 결승전에 간 이상...   경기 시간은 엄청나게 짧아질지도 몰르겠네요... 너무 공격적인지라..

p.s2 시즌1은 과일장수의 시즌이였다면... 시즌2는 이정훈 선수의 시즌이 되겠네요.. 정말 스타일이..
(그분은 영향력이 다른지라 논외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워3팬..
10/11/04 20:27
수정 아이콘
매도 일찍 맞은사람이 좋은듯 이젠 그분은 4강에서 대저그전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되네요
10/11/04 20:28
수정 아이콘
광고여러개안때리면 결승전도 한시간내에 끝날듯
탱구시대
10/11/04 20:21
수정 아이콘
이렇게 된 이상 결승은 박서 대 퐉서로 갑시다!!
10/11/04 20:21
수정 아이콘
인터뷰도 이쁘게 잘 하네요
제 앞마당은 앞으로 퐉서가 될듯..
강동원
10/11/04 20:24
수정 아이콘
해병이 정말 미친듯이(-_-) 댄스를 추며 맹덕을 때려 잡고 해병과 건설로봇을 찍어누르는 모습은 충격적이더군요;;
10/11/04 20:35
수정 아이콘
그분이 어찌저찌 결승간다는 믿음을 갖고 얘기해보자면 SO1때 최연성 선수가 오영종 선수를 먼저 만나줘서 고맙다는
생각이 들었던게 떠오르네요. 결승에서도 저렇게 밀어붙이는 것에 당황하는 모습을 그려본다면.. 김성제 선수가 먼저
테테전을 해준게 고마울 지경으로 강력하군요..
10/11/04 20:37
수정 아이콘
그야말로 압승이네요.

공격성은 스1 스2 통틀어 테란중에는 이런 선수 본적 없는듯 하네요.

물량과 컨트롤도 대단하고 조금만 다양성을 추가하면 최고가 될듯 합니다.
매콤한맛
10/11/04 20:38
수정 아이콘
박서의 우승을 기원합니다.
10/11/04 20:39
수정 아이콘
임요환선수 전에 인터뷰인데
- 앞선 8강 진출자 이정훈 선수도 상당한 실력을 가지고 있는 모습인데
▲ 사실 테테전을 한동안 자신있어 하다가 그 선수 때문에 자신감을 좀 잃었다. 나와 경기 할때 이상한 빌드를 사용했는데 졌다. 인정한다. 잘하는 선수고 우승후보라고 생각한다. 솔직히 8강에 포함된 선수 중에 우승후보가 아닌 선수가 누가 있겠는가.

그분이 올라가도 왠지 이정훈선수가 우승할거같은..ㅠㅠ
10/11/04 20:38
수정 아이콘
Boxer삭빵 갑시다
10/11/04 20:47
수정 아이콘
황실을 제외한 평민계에서(?) 가장 흥행한 선수죠.
지금 양자가 되려고 하는 중인듯.

이정훈 선수의 스타일은 정말 팬 끌어오기 딱 좋은 스타일 같습니다.
이제 18살이라는 충격적 나이에서 더더욱 장래성이 밝다고 생각하구요.(심지어 이영호 선수보다 어리군요)
앞으로의 장래가 정말 기대됩니다.


음... 그와는 별개로 우승에 대한 바램을 풀어본다면...
저는 임요환 선수가 왜 항상 누군가를 위한 디딤돌이 되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반드시 임요환 선수가 우승했으면 좋겠습니다.

지난 시절동안 임요환 선수는 너무나 많이 준우승이란 아픔을 겪어왔죠.
아이러니하게도 황신을 제외하면 임요환과 이제동이 준우승 공동2위인 걸로 압니다.

이윤열의 시대, 최연성의 시대, 마XX의 시대. 택뱅리쌍의 시대.
이런 걸 반복하는 건 원치 않습니다.
기왕 이윤열 선수를 이겼으니 그 힘까지 다 넘겨받아서
임요환 선수가 다시한번 최고의 자리에 올랐으면 합니다.
후배를 위해 항상 자리를 양보하고 눈물 흘리는 건 싫어용.

준우승 보다는 솔직히 4강에서 떨어지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결승 올라갈거라면 반드시 우승했으면 좋겠구요.
임요환 선수는 영향력은 넘사벽일지라도, 커리어에서는 너무 오래도록 누군가의 조연 역할만 해왔습니다.
이번에 다시 주연 자리 찾아왔으면 하네요.

다음에 임요환 선수가 또 4강 올라간다는 보장이 있는 것도 아니잖아요.
기왕 기회를 잡았을 때 반드시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이정훈 선수는 오히려 앞으로 기회가 넘칠 거 같으니까요.
10/11/04 20:57
수정 아이콘
좋은글에 죄송하지만.. 게시물 글에 결과를 써놓으면 스포가 되지 않나요..ㅜㅜ
10/11/04 20:49
수정 아이콘
임재덕선수가 올라오면 ELL랭킹 1위끼리의 결승이 되는 건가요?

임재덕선수도 정말 잘하던데 이정훈선수를 만나면 과연 어떤 해법을 보여줄지 궁금해집니다.
어메이징폴
10/11/04 21:00
수정 아이콘
경기 못보셨으면 피쟐오시면 안돼셔요 ;; 그래서 저도 그분 경기보기전까지 이틀동안 접속을 못했어요. 그래봐야 트윗에서 털렸지만요 크윽 [m]
샤르미에티미
10/11/04 21:09
수정 아이콘
이정훈 선수의 결승 진출을 축하드립니다.
다른 얘기인데 박서 대 박서의 대결이라고 해서 그게 황제의 칭호나 아이디의 무게감을 두고 대결을 펼치는 거라는 것은 너무 의미부여가
심하게 된 게 아닌가 싶네요; 재미있는 스토리에 찬물을 끼얹는 댓글인지는 모르겠지만요;
내용으로 돌아와서 이런 실력있는 선수와 결승전을 펼칠 두 선수는 준비를 정말 많이 해와야 할 것 같습니다.
전시즌 우승자,준우승자 모두 이기고 올라간 선수에요. 그것도 압도적으로, 기대도 정말 많이 됩니다.
RealWorlD
10/11/04 21:13
수정 아이콘
진짜 32강 16강 때부터 느꼇지만 이선수가 우승후보 0순위입니다.

임요환선수는 결승진출만 해줘도 덩실덩실~ 우승은..음..

거의뭐 괴물전성기시절 최연성 vs 임요환 결승 느낌인듯..
OpenProcessToken
10/11/04 21:08
수정 아이콘
[임] : 무슨짓이냐 후배야
[이] : 아이디를 계승중입니다 선배님

이런 시나리오는 싫어요
[임] 화이팅~~
밍밍밍
10/11/04 21:34
수정 아이콘
진짜 팬됬네요
이선수 덕분에 이번 gsl 대흥행인듯
시즈모드 되기 직전에 일꾼 동반 스팀러시 감명깊었어요
이사무
10/11/04 21:32
수정 아이콘
아이실드 박서 네요.
이기는 쪽이 박서를 차지하는...
10/11/04 22:41
수정 아이콘
그래도 전 NesTea가 올라갔음 좋겠어요~~~ 저에게 시즌2 우승후보는 NesTea 임재덕입니다.~~

상대방의 패를 예측하는데 탁월한 임재덕 그리고 언제나 상대 예측범위를 넘어서는 플레이를 보여주는 이정훈! 그 두명의 플레이가 정말 재밌을 것 같거든요..

거기다 이정훈선수 와 임재덕선수 둘 다 ELL랭킹 1위 출신자들!!

그리고 내일 4강.. 임재덕 선수가 4:0으로 이겼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더욱더 결승전에 대한 흥행 그리고 임재덕 선수를 확실히 각인시키게 될 것 같거든요..
LucidDream
10/11/05 00:07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이정훈 선수 아이디나 별명으로 블릿츠는 어떨지 추천해 봅니다. 블릿츠 테란. 급습, 전격적인 공세 이런 건데...딱 떨어지지 않는가요?
10/11/05 09:39
수정 아이콘
루팡 3세 40주년으로 나온 OVA 인 Green vs Red 가 생각나네요. '루팡 3세'란 이름을 걸고 두 루팡이 싸우는. 결과는..
모모리
10/11/05 10:56
수정 아이콘
이정훈 선수에게 한동욱 선수의 모습을 봅니다. 극강의 컨트롤. 공격적인 모습. 임요환 선수와의 인연(?). 낄낄.
그..후..
10/11/05 11:53
수정 아이콘
김원기선수 이길때..
이제부터 스타2에서 내맘속에 그분을 제외하고 너가 최고다..라고 생각했는데..결승진출 축하드립니다..
해병의 움직임은 10년전 그분의 출현를 떠올리며..공격성은 박성준선수의 향수를 고스란히 느끼게 해주는 선수입니다..
참 고마운 선수입니다..
임재덕 선수가 워낙 강력하여 오늘 그분의 결승행은 어려울거라 예상해보지만..그분의 결승행을 기원해봅니다..
최선을 다한 모습 부탁드려요..
10/11/05 11:55
수정 아이콘
스타1은 brain 에 센세이션이란 길드에서활동중인데
스타2컨트롤이 장난아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796 LOL Summer 리그 중간 집계 - 픽밴과 대세 챔피언 [34] The_Blues9310 12/07/14 9310 9
47330 [LOL] The 2nd NVIDIA Game Tournament 참가 접수 마감 임박 [4] Fix_me4526 12/06/04 4526 1
47020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2 - 미디어데이 (+ 사진) [149] kimbilly11075 12/05/10 11075 0
46928 [LOL] 누가 그들을 마이너라 하는가 (NLB 8강 Review A조) [17] 강동원9628 12/04/29 9628 4
46911 5월 2일에 진행될 이번 E-Sports 비전 선포식을 바라보며... [7] RPG Launcher5755 12/04/27 5755 0
46667 반상위의 돌부처 - 2 - [14] fd테란7047 12/03/28 7047 22
46521 lol 경기양상에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한 고찰 [98] 마빠이9114 12/03/08 9114 0
45426 25 게이트 & 7넥, 온게임넷 갭스의 버그 [17] ArcanumToss8407 11/08/27 8407 0
44562 결승에 앞서, 이번 시즌 필자가 생각한 테저전. [12] §최종병기§7256 11/06/05 7256 2
44280 MSL에 바라는 점 몇가지 [21] 빵pro점쟁이6850 11/04/18 6850 0
43646 스타크래프트2 올스타전 개최!!(참가선수 16인 명단 추가/그분 참가) [15] Leeka7923 10/11/15 7923 0
43573 이정훈 선수의 결승전 진출을 축하드립니다.. [37] Leeka9846 10/11/04 9846 0
43490 지방인의 첫 GSL 직관 소감기. [16] 풍경8920 10/10/29 8920 0
43144 1회 GSL 을 보고 나서 개선점 및 건의사항, 느낀점들 [24] JunStyle4564 10/10/05 4564 0
42937 전 이번 결승전이 절대 망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12] Onviewer6395 10/09/12 6395 4
42663 당신이 가장 감동 받았던 순간은 언제입니까? [99] Crescent7172 10/08/23 7172 0
42332 MSL 16강 3회차,4회차 경기일정입니다. [5] 꼬꼬마윤아4993 10/07/26 4993 0
42150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0 Grand Final - 3일차 [9] kimbilly4351 10/07/03 4351 0
42142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0 Grand Final - 2일차 [7] kimbilly4165 10/07/02 4165 0
41697 시작 전에는 E스포츠의 뿌리, 종료 후에는 짐덩어리??? [37] 엑시움8069 10/05/23 8069 10
41055 테란vs테란, 그 속도전의 미학. 그리고 프로토스와 저그. [19] LucidDream5253 10/04/25 5253 3
40057 직접 다녀온 MSL 결승전 사진+후기 ㅜ_ㅜ) [16] Eva0107181 10/01/24 7181 1
39985 [나름 리뷰] 정전만 아니였어도 최고의 명경기가 되었을 리쌍록 [8] Windymilly4130 10/01/23 413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