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5/19 23:53:32
Name Leeka
Subject LOL The Champions 결승전 관객 8천명 돌파

거의 매 경기마다..  용산을 꽉 채워면서..

E-Sports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버린.. 롤 더 챔스..

첫 공식리그 결승전에서 관객 8천명을 꽉 채우고도..

더 와서 사람들이 돌아가는 사건이 발생했네요..


한국 E-Sports 역사에서.. 스타크래프트 이후로..

매 경기마다 경기장을 꽉 채우고..

결승전 관객이 8천명도 우걱우걱.... 해버릴만큼.. 엄청난 열풍을 보여주는 게임이.. 드디어 나왔네요..

그것도 스타때와는 다르게..  유럽/중국/북미라는..  세계의 적수들까지 즐비해서..

국내 대전만이 아닌 해외 팀간의 대전..  국내와 해외팀의 대전까지 가능하다는 점도 참 큰 메리트가 아닌가 싶습니다.


지금은 디아블로3의 열풍으로 잠시 주춤하고 있지만. 그래도 전체 겜방 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는.. 강력한 점유율을 보유해서

실제 플레이 하는 유저층까지 다양하다는 점.

그리고 라이엇에서 월드 챔피언쉽을 열 만큼.. (이번에 엄청난 관전자 모드도 적용해줄 만큼) 관심이 높다는 점도 큰 강점이 아닌가 싶네요.


다음 시즌에 진행될 더 챔스 썸머에 올 북미/유럽/중국의 해외팀들
그리고 새롭게 창단한 수많은 프로팀들(나진, MiG, IM, 스타테일, 제닉스, MVP 까지..)

LOL을 시작으로.. 다른 게임들도 같이 발전해서.. 다양한 대회들이 열릴 수 있길 바래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티레브
12/05/19 23:56
수정 아이콘
디아3 PVP시스템이 어떨지모르겠지만
도타류로 잘만만든다면 스킬조합이 워낙다양하니 대전류로 만들수있을거같긴한데
일단은 사람과 사람이 하는 게임에선 LOL이 원탑맞는듯하네요
그럭저럭하루
12/05/20 00:03
수정 아이콘
흥행력도 기존의 스1을 뛰어넘은거같습니다.
돌아간사람들도 엄청 많았다던데. 관중이 격납고에서 펼쳐진 관중 그이상이거나 거의 비슷하더군요.
다레니안
12/05/20 00:11
수정 아이콘
결승전 경기내용은 살짝 아쉬웠습니다. 꼭 5차전을 가야한다기보다 역전승같은게 나왔음했는데...
현장관람한분들 비좁아서 관람하기도 매우 불편했다고 불평글이 많더군요. -_-; 슈퍼계정을 믿고 참았다고 하니 크크크
다음 결승전은 더 넓은곳에서 많은 분들이 편히 볼 수 잇는 곳에서 했으면 좋겠네요.
그럭저럭하루
12/05/20 00:16
수정 아이콘
북미 CLG.NA, Dignitas
유럽 CLG.EU, Natus Vincere
아시아 소속인 WE
서머시즌 외국팀 참가명단이 발표됐네요. 아시아팀 1개더 초청한다고 하네요
총6팀이 참가한답니다.
M5는 참가안하나보네요.
용당주
12/05/20 01:07
수정 아이콘
장소 비좁았던 건 거의 늘 그랬죠. 매번 온게임넷도 이 정도 올 줄은 몰랐겠지…… 하는 이야기가 들리고요.
스타1 때는 블리자드에서 입장료 받는 거 막았다고 하지만, 이제는 좀 경우가 다르니 결승전 같은 이벤트는 좌석 유료판매 같은 것도 좀 해줬으면 합니다. 유료관객 들일 수 있는 이벤트의 의미도 클 테고. 초기에는 1/4 정도만 시험삼아 유료판매 하고 차후 늘려가는 방식이면 좋지 않을까 싶은데.
12/05/20 01:38
수정 아이콘
유료 좌석은 긍정적으로 검토해봐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E-sports 가 진짜 프로 스포츠화 되는데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해요.
여자친구가 롤을 하는데 오늘 결승전 3경기만 인터넷으로 같이 시청했습니다. 정말 재미지다고 언제 용산 같이 한번 보러가자 하더군요.
좋습니다?
작업의정석
12/05/20 01:42
수정 아이콘
솔직히 온겜도 저만큼 올거라 생각지 못했겠죠. 디아3으로 인해 LOL의 상승세가 약간(이라고 하기엔 pc방 점유율이 7%나 빠졌죠) 꺽였고
대진도 같은팀 내전이니 ... 저도 여러 대회 오프 나가봤지만 저렇게 많은 사람이 온적은 없어서 말이죠.
그런데 사람이 그렇게 많았는데 정중앙 작은 스크린으로 다 보이나요. 전 항상 오프가면 앞자리 앉아서 잘보이는데 저~뒤에 있는 사람들이
잘 보일지 궁금하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151 KeSPA-e스포츠연맹, 양측간 스타2 선수 교류 협약 체결 [29] kimbilly6082 12/08/08 6082 0
48058 AZUBU, 스타크래프트2 viOLet 김동환 선수 영입 발표 [24] kimbilly6953 12/08/02 6953 0
47803 한 주간의 스1 및 스2 경기 일정을 소개합니다. [50] DavidVilla7653 12/07/15 7653 7
47647 [LOL] Azubu LOL Champions Summer 시즌 국내팀들 라인업 변동 정리 [53] 시네라스10473 12/07/01 10473 1
47642 [LOL] 더 챔피언스 summer 시즌, 이 팀을 주목하라 [53] 찬물택7301 12/06/30 7301 0
47560 진심으로 프로리그 2라운드가 끝남과 동시에 스2 전면전환을 바랍니다. [20] airmoo6186 12/06/24 6186 3
47544 국내와 해외 이스포츠판을 보면서 생각난 국내 이스포츠의 대안 [23] bigname4940 12/06/23 4940 1
47540 이대로 스타2 프로리그가 계속 될 수 있을까요?? [50] laloux7673 12/06/22 7673 1
47536 아주부가 MiG 팀을 인수해서 창단을 했습니다. [106] 마빠이9192 12/06/22 9192 0
47242 [LOL] 로코도코 MIG 프로스트와 결별, 제닉스 스톰행 유력 [77] 사진11172 12/05/25 11172 0
47238 스1 팀들이 본격적으로 lol 팀을 창단 할거 같습니다. [42] 마빠이9101 12/05/24 9101 0
47224 CJ엔투스, LOL 프로게임팀 창단 [138] Leeka8820 12/05/24 8820 2
47132 LOL The Champions 결승전 관객 8천명 돌파 [16] Leeka5388 12/05/19 5388 0
47082 8게임단의 연이은 전력보강 [8] nuri5685 12/05/16 5685 0
47047 온게임넷과 곰TV가 서로 상생하면서 발전했으면 좋겠습니다. [17] RPG Launcher6926 12/05/12 6926 0
47019 새로운 lol팀 'PSW' 가 창단을 했습니다. [82] 마빠이7996 12/05/10 7996 0
47000 LG-IM // MVP 리그오브레전드팀 맴버공개 [117] 마빠이9610 12/05/07 9610 0
46955 스타크래프트2 e스포츠 공동 비전 선포식 - "이제 모두가 함께 합니다!" [58] kimbilly11448 12/05/02 11448 0
46943 LOL 나진팀의 부진 무엇이 문제인가? [38] 키토7079 12/04/30 7079 0
46901 [LOL]IM이 리그오브레전드 프로팀도 창단한다는 군요(제목수정) [41] 뚫훓쀓꿿삟낅16827 12/04/26 16827 0
46897 LG전자, 프로게임단 IM 팀과 공식 후원 계약 체결 [12] kimbilly6134 12/04/26 6134 0
46832 [LOL]이틀 뒤에 있을 나진 vs MIG Frost 전력분석. 그리고 가벼운 8강전 포인트. [58] Akito7424 12/04/16 7424 2
46830 LG가 스2 IM을 공식 후원합니다. [29] sisipipi8869 12/04/15 886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