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10/13 19:16:54
Name 저퀴
Subject [스타2] WCS 시즌3까지 끝났습니다.
2014 WCS의 마지막인 AM 프리미어 결승까지 끝났습니다. 이제 정말 글로벌 파이널만이 남았습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1. 테란 초강세

반박의 여지가 없다고 봅니다. 패치 이후의 시즌3는 테란 잔치였습니다. 프리미어 세 무대는 모두 테란이 가져갔습니다. 심지어 EU와 AM은 테란 내전이었죠. 시즌2까지 최전성기를 맞이했던 프로토스는 시즌3에서 최소 우승이었습니다. 글로벌 티어 무대조차 테란이 압도적인 우승 횟수를 보여주었고요. 덕분에 프로토스가 절반이 넘을 것 같았던 글로벌 파이널은 저그 4명, 테란과 프로토스가 각각 6명이 되었네요.

그 중에서 AM은 최지성 선수가 드디어 프리미어 우승까지 차지했습니다. 올해 최고의 커리어를 가진 테란 선수는 단연 최지성 선수네요. 거기다가 WCS 포인트까지 1위를 확정 지었습니다. 올해 활약은 정말 대단하네요.

그리고 EU에선 문성원 선수가 정말 오랜만에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시즌 1 때는 줄곧 준우승만 차지하던 장민철 선수가 우승하더니, EU에선 자유의 날개를 대표하던 선수들이 대활약했네요.


2. 블리즈컨

이제 글로벌 파이널만이 남았습니다. 그리고 팬들은 블리즈컨에서 글로벌 파이널만 기다리는 건 아닐거라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마지막 확장팩인 공허의 유산을 기다리시겠죠. 그도 그럴 것이, 확장팩 하나의 분량이 2년을 충족시켜줄만한 양이 아니라는 것은 누구나 동의할 부분이고, 새로운 컨텐츠로 무장한 스타크래프트2를 바라는 것도 당연할 겁니다.

다만 일정표나 블리자드의 움직임, 그리고 개발진이 겹치는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이 한참 개발 중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안타깝게도 더 시간이 걸리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오히려 요즘 분위기는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창단이나 한국 서비스 등이 임박해오고 있죠.


3. 내년은?

2015년부터 지역 제한이 강화되면서 지금까지 활동해온 선수들의 지역도 꽤 많이 바뀌게 될 겁니다. 물론 신동원 선수처럼 해외
프로게임단으로 들어가서 북미 활동을 준비 중인 선수도 있습니다만, 한국에 숙소가 있는 엑시옴이라던가, 유럽 GEM 숙소를 쓰는
선수들 같은 경우는 지역 변동이 불가피하죠.

아직 2015 시즌이 시작되려면 시간이 많이 남았기 때문에, 더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다만 시드까지 초기화되는 2015 시즌은 혼돈 그 자체가 될 가능성이 높은 듯하네요.

그리고 공허의 유산이 설사 블리즈컨에서 발표된다 한들, 실제 출시는 훨씬 이후가 될 게 뻔하죠. 그러니 2015년도 군단의 심장으로 진행된다고 봐야 할 겁니다.


4. 비시즌과 프로리그


예선이 한참 진행 중인 WECG나 핫식스컵이 있습니다. IEM도 비시즌에 진행될 예정이고요. 다소 심심하긴 하겠지만, 그래도 내년 시즌이 시작되기 전까지 무대가 없진 않을 겁니다. 그리고 국내에선 가장 큰 무대인 프로리그가 어떻게, 언제 열리는가도 무척이나 중요할 겁니다.

선수들의 이탈은 계속해서 프로리그가 개편되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고 보고, 실제로 협회에서도 이를 받아들이기도 했죠. 더군다나 IM의 이탈을 막을 새로운 팀의 참가도 필요하고요. 프로리그가 국내 시장의 전부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시할 대회는 아닙니다. 충분히 좋은 개편이 있다면 WCS와 공존하는 것도 어려운 일은 아닐 거라고 보고요.

되도록 좋은 소식과 개편안이 빨리 들려왔으면 좋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듬파워근성
14/10/13 20:00
수정 아이콘
이번 북미 대회는 보지 못했는데 폭격기 정말 대단하네요.
그나저나 시드가 초기화되는 김에 공허의 유산으로 상큼하게 시작하면 참 좋을텐데 그럴 일은 없겠죠.
운명의방랑자
14/10/14 00:44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공허의 유산 나와서 깔끔하게 리셋한다고 하면 그나마 명분이 설 텐데요.
귀연태연
14/10/13 20:05
수정 아이콘
공허의 유산이 빨리 나오면 좋겠어요.
14/10/13 20:26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 차기시즌은 작년처럼 핫식스컵 라스트빅매치와 WECG 그랜드 파이널이 끝나고 12월말에 개막할 것 같네요.
저그인
14/10/13 20:53
수정 아이콘
테란의 강세는 맵의 영향이 큰 것 같습니다. 다음 시즌 맵을 보고 밸런스를 판단해야될 것 같아요. 문제는 당장 그파때 고생할 저그 선수들이..

최지성 선수가 내년에 wcs kr로 돌아온다고 sns에 알렸다는데 기대됩니다! 아무래도 내년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 같은데 팀과 선수, 팬이 모두 만족하는 변화가 되길 바랍니다.
14/10/13 22:10
수정 아이콘
다만 다음 래더 시즌은 추억의 맵들로 도배되는 비시즌이라서 그동안 진행될 대회는 자유롭게 맵을 쓸 가능성이 높죠.
14/10/13 23:02
수정 아이콘
저로썬 정말 즐거웠던 시즌이 아니였네 싶네요.. 갠적으로 어윤수 선수와 이제동 선수가 좀 아쉽긴 하지만..

주종이 테란인지라 시즌 내내 웃음이 끊이질 않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145 [스타2] "GSL 결승 진출을 목표로" Team GP 구단주 '더바tv' [2] RagnaRocky10211 20/11/18 10211 3
69193 [스타2] "프로리그 부활이 목표" Team NV 구단주 '테일링' 인터뷰 [12] RagnaRocky12576 20/08/25 12576 10
60150 [스타2] 프로리그의 끝을 보면서 [10] 엘제나로9569 16/10/18 9569 5
58640 [스타2] 프로리그 8번째 팀에 대해서 [31] 서쪽으로 gogo~7321 16/02/03 7321 0
57124 [스타2] 프로리그 3라운드 종합입니다. [17] 6105 15/06/23 6105 8
55389 [스타2] WCS 시즌3까지 끝났습니다. [7] 저퀴5161 14/10/13 5161 1
55122 [스타2] 케스파컵이 끝났습니다. [15] 저퀴7141 14/09/14 7141 1
54803 [스타2] 스타2 루머와 이적 정리 [51] 사신군9273 14/08/01 9273 2
52704 [스타2] 블리즈컨 2013 : WCS 글로벌 파이널 프리뷰 그리고 마지막 이벤트 [43] 하후돈11647 13/11/08 11647 5
52424 [스타2] 현 스투판의 위기.. 아무런 대책없이 시간만 흘러간다 [204] 호나우당직™16744 13/10/09 16744 2
50629 [스타2] 8게임단 '창단' 가시화 조짐 [27] 카스트로폴리스10896 13/02/22 10896 0
50564 [스타2] Team AZUBU, 팀 활동 앞두고 이스포츠 연맹 가입 [4] kimbilly9873 13/02/13 9873 0
50420 [스타2] 이스포츠 연맹, TSL 소속 선수 이적 협상 마무리 [6] kimbilly9161 13/02/01 9161 0
50108 원이삭 선수의 협회팀 입단 선택, 영입 예상팀과 앞으로의 파장 [24] 타테시9760 13/01/11 9760 0
50071 2013 GSL Season 1 승격 강등전 D조 #2 [313] 저퀴5990 13/01/09 5990 0
50068 2013 GSL Season 1 승격 강등전 D조 #1 [302] 저퀴6353 13/01/09 635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