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9/30 15:40:36
Name 장어의심장
Subject [LOL]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5 월드 챔피언쉽 조별 분석

※ 이글은 기획자의 다분한 기획이 들었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2015년 10월 1일 리그 오브 레전드의 시즌 5를 총결산하고 세계 최고를 가려내기 위한 16개 팀의 대장정인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쉽이 한 달간 유럽 전역에서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엔 월드 챔피언쉽에 들어가기 직전 10월 1일부터 11일까지 시작될 조별 예선에 대해 순전히 '100% 주관적' 이고 국내 팀들을 위주로 해서 간단히 이야기를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A조:Counter Logic Gaming,Yoe Flash Wolves,Koo Tigers,paiN Gaming

사상 최약의 조를 찾아온 '재앙'

정말 막말일수도 있겠지만 이 표현만큼 A조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말은 없지 않나 싶습니다. 메인 시드의 자격을 갖춘 SKT,LGD,프나틱,CLG 중 최약체로 평가받는 CLG가 메인 시드를 잡고 대만,홍콩,마카오 권역 리그인 LMS 2번 시드 자격으로 가까스로 월드 챔피언쉽에 턱걸이한 요에, 거기에 IWC 칠레 스테이지를 통과하여 드디어 월드 챔피언쉽을 밟는 페인이 한 조를 이루었습니다. 문제는 마지막으로 이 조에 합류하게 된 팀이 문자 그대로 '험상궂은 손님' 이었다는 것이죠.



"싸움이야? 나도 끼어야지?"
"다들 모여."
"으헤헤 난장판이다." (옆 동네에서 수 많은 게이머들의 뒷목을 잡게 하시는 분께서 친히 귀한 몸 이끄시고 직접 찬조출현해주셨습니다. ^^;;)



쿠 타이거즈, 현재 모기업이라고 볼 수 있는 GE가 안팏으로 안 좋은 뒷이야기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에서 분명 현재 월드 챔피언쉽에 출전한 한국 시드권 팀들중에서 가장 회의적이고 믿음직스럽지 못한 시선으로 보게 되는 팀인 것은 사실일 겁니다. 그만큼 지난 3월 IEM 9 월드 챔피언쉽 이후로 국내 팬들에게 보여준 그들의 모습이 굉장히 실망스러웠다는 반증이 되겠죠. 하지만 적어도 그들이 섬머 시즌 플레이오프때부터 보여줬었던 자신있는 모습을 조별 예선을 가볍게 통과하고 이후로도 계속해서 가져갈 수 있다면 그들의 월드 챔피언쉽은 분명히 성공적이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현재 이 A조의 상태는 여지껏 월드 챔피언쉽 조별 예선 중에서도 정말 역대급 최약체들의 모임속에 늑대 한 마리가 으르렁 거리고 있는 그림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니까요. 그러니 쿠는 여기서부터 증명해냐가야 합니다. 자신들은 분명 한국 대표로써 자격이 있는 팀이라고 말이죠. 그리고 이 굶주린 늑대의 이빨을 피해 살아남으려고 안간힘을 쓸 나머지 세 팀의 투닥거림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지 지켜볼만한 대목이 아닐까 합니다.

B조:Fnatic,Invictus Gaming,ahq e-Sports Club,Cloud 9

서로가 서로에게 악몽이 되어...

단언컨데 이 조는 이번 월드 챔피언쉽 조별 예선 최악의 조라고 장담 할 수 있을 겁니다. 메인 시드권자가 LCS EU 정규리그 18전승 우승에 빛나는 프나틱에 시즌 2 월드 챔피언쉽 이후 3년만에 한국인 듀오의 도움을 빌려 다시 월드 챔피언쉽에 복귀한 IG와 지난 5월 펼쳐진 MSI 최고의 복병 노릇을 했던 LMS 1번 시드의 ahq, 마지막으로 LCS NA 월드 챔피언쉽 최종 진출전에서 문자 그대로 '기적' 을 선보이며 최종 진출권자가 된 C9까지... 정말 서로가 서로에게 어디가서 꿀릴게 없는 4팀이 모여 최악의 조를 만들고 말았습니다. 게다가 공교롭게도 프나틱 입장에선 지속적으로 자신들이 발목잡이를 하던 혹은 발목잡이를 당하던 선수들 혹은 팀들을 가장 중요한 무대에서 다시 한번 만나게 되는 실로 어처구니 없는 결과가 나와버리고 말았습니다.

이쯤에서 살펴보는 프나틱과 그들의 악연 정리.

IG:2014년 3월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펼쳐진 IEM 8 월드 챔피언쉽 결승전 당시 현재 IG 코치인 '마파' 원상연 선수가 뛰고 있던 KT Bullets에게 셧아웃으로 패배, 공교롭게도 현재 IG의 주축 한국 선수들인 '카카오' 이병권과 '루키' 송의진 역시 과거 KT 출신.

ahq:2015년 5월 MSI 조별 예선 첫 패를 안겨주며 결과적으로 합계 2승 3패의 성적을 거두게 만들며 4강에서 SKT를 만나게 만든 원흉.(사실 반대였으면 아마 상대가 EDG 였겠죠.)

C9:2013 Season 3 월드 챔피언쉽 8강과 2013 BOTA(Battle of The Atlantic) 마지막 경기,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한가?






솔직히 이 조는 도저히 어떻게 될지 장담을 못하겠습니다. 정규 시즌 18전승을 기록하며 MSI를 양분한 EDG 그리고 SKT와 함께 월드 챔피언쉽 우승에 가장 근접했다는 평가를 받았던 프나틱이 가장 중요했던 결승 무대에서 비록 우승은 차지했지만 오리겐에게 크게 애먹으면서 드러나지 않았던 약점이 노출되었고 IG 또한 카카오-루키의 한국인 듀오 외에 나머지 중국인 라이너들이 흔들리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면서 위기를 자초했으며 ahq는 중요한 시점에서 스스로 엎어지는 버릇을 여전히 고치지 못한 기색이었고 마지막으로 C9는 분명 '기적' 을 연출하였으나 월드 챔피언쉽에 '턱걸이' 라는 표현이 아깝지 않을만큼 고생을 많이 했었습니다. 물론 서로에게 시간은 넉넉하게 주어졌습니다. 자신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장점은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시간' 이 말이죠. 과연 이 시간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조별 예선을 통과할 팀은 어디가 될 것인지, 그리고 프나틱은 이 질기고 질긴 악연들을 모두 청산하고 자신들이 월드 챔피언쉽 우승에 가장 근접한 팀 중 하나이자 SKT와 더불어 사상 최초로 월드 챔피언쉽 2회 우승을 이뤄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 됩니다.

C조 SK Telecom T1,H2k-Gaming,Edward Gaming,Bangkok Titans

아직 못다한 이야기, 그 종언의 시작

2013년 8월 31일 잠실 올림픽 보조 경기장에서 수중전 속에 펼쳐진 2013 핫식스 LOL The Champions Summmer 결승전, '한 개의 별' 이 세상에서 가장 찬란하게 빛난 그 순간, 그 별에게 밀리게 된 '다른 하나의 별' 은 충격적인 패배에 망연자실하여 하염없이 눈물만을 쏟아야 했습니다. 이 가장 빛나던 별의 이름은 '페이커' 이상혁이고 눈물을 머금은 별의 이름은 '류' 류상욱이었습니다. 모두가 아시다시피 페이커는 이후 월드 챔피언쉽에서 팀인 SKT를 우승시키며 전 세계 최고의 스타가 되었습니다, 그러던 2014년 10월 19일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치뤄진 2014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4 월드 챔피언쉽 결승전에서 페이커는 자신을 이기고 자신이 있어야 할 자리를 대신 차지한 '또 하나의 별' 을 보며 이를 악물게 됩니다. 이 별의 이름은 2014 월드 챔피언 삼성 갤럭시 화이트의 미드 라이너 '폰' 허원석이었죠. 각자에게 물리고 물려있는 이 세 사람이 월드 챔피언쉽 조별 예선 C조에서 한 자리에 모여 아직 못다한 이야기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사실 C조는 전 세계 소환사들 모두가 SKT와 EDG의 진출을 예상하고 있을겁니다. LCS EU 2번 시드로 오게 된 H2k는 약점이 너무나 뚜렷한 팀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IWC 이스탄불 스테이지에서 우승하며 처음으로 월드 챔피언쉽에 진출한 방콕 타이탄즈는 이들 팀에 비하면 정말로 초라해보이기 그지 없는 실정이니까요. 그러나 이 조가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는 페이커와 류 그리고 폰 세 사람이 엮여있는 지난 세월들이 수 많은 소환사들의 뇌리에 강하게 박혀있는 것이겠죠.



최고의 미드를 가리는 자리에서 처참하게 패배하며 '패자' 로써 기억되고 있는 류상욱, 월드 챔피언이 되었음에도 MSI에서 페이커를 꺾으며 최고의 자리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페이커와 비교 당하며 저평가를 받은 허원석 그리고 모든 사연들의 중심에 있으며 자신의 팀인 SKT를 프나틱과 더불어 사상 최초로 월드 챔피언쉽 2회 우승에 올려놓기 위해 도전하는 이상혁, 이들의 종언이 지금 시작되려고 합니다.

D조:LGD Gaming,KT Rolster,Team Solomid,Origen

'기세' 그리고 '경험' 두 색깔의 충돌

월드 챔피언쉽의 마지막 조가 된 D조 역시 B조 못지 않은 소위 '빡센 조' 로 이루어졌습니다. 누구도 예상 못한 LPL 섬머 우승자 자격으로 메인 시드 자격을 갖춘 LGD에 팀 창단 3년만에 드디어 월드 챔피언쉽 무대를 밟는 KT 그리고 북미의 전통 강호 TSM과 다시 한번 합을 맞춰 월드 챔피언쉽에 진출한 '구 프나틱의 주축' 소아즈-엑스페케의 오리겐이 한 조를 이루었으니까요. 한국 대표로 시드를 받아 참가한 세 팀 중 A조에 배치된 쿠 나 C조에 소속된 SKT와 비교해보면 정말 '통과 할 수 있을까?' 걱정이 들 정도로 구성원 면면이 강력합니다. 다만 재밌는 점은 이 동양권 2팀,서양권 2팀의 구도로 짜여진 이들이 서로 데칼코마니와 같다는 겁니다.

LGD와 KT, 분명 최근 그들의 '기세'는 승승장구 했습니다. 월드 챔피언쉽 우승권에 가장 근접했다고 평가한 EDG를 대파하고 파죽지세의 기세로 우승을 차지한 LGD와 스프링의 갈팡질팡했던 모습에서 벗어나 섬머 시즌 준우승 이후 LCK 월드 챔피언쉽 최종 진출전에서 말그대로 투혼을 보여주던 진에어 그린윙스의 추격을 뿌리치고 처음으로 월드 챔피언쉽에 진출한 KT의 모습은 비록 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흡사했던 모습이었습니다. 반면 TSM과 오리겐은 풍부한 '경험' 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를 순회하며 각자들이 쌓은, 그리고 TSM이라는 이름으로 쌓은 수많은 경험들이 조 최약체로 평가받고 있는 TSM의 최고의 무기가 되어 줄 것이며 2015 LCS EU 섬머 시즌 신생팀이었던 오리겐이 단번에 월드 챔피언쉽까지 진출할 수 있었던 것 또한 소아즈와 어메이징 그리고 엑스페케라는 베테랑들의 경험이 없었다면 불가능할 일이었을 겁니다. 각 팀들이 불안요소로써 가지고 있던 약점들과 단기전이라는 변수하에서 벌어질 '기세' 와 '경험' 의 대결, 어느 쪽이 과연 상위 라운드로 진출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되며 창단 이래 최초로 월드 챔피언쉽에 진출한 KT가 크게 활약할 수 있기를 오랫동안 KT의 오랜 팬의 한 사람으로써 기원합니다.

P.S:글을 쓰면서 개인적으로 허원석 선수의 저평가 문제에 대해 예전부터 생각했던 것이 있어서 이야기를 좀 하고 넘어가도록 가겠습니다. 분명 허원석 선수가 국내에서 넘보기 힘들 커리어를 쌓고도 이상혁 선수와 비교 당하며 저평가를 당하는 것은 사실이 맞습니다. 양 선수 모두를 좋아하지만서도 작년 10월 19일 상암벌에서 '세계 최고의 미드라이너' 로 허원석이 아닌 이상혁의 이름이 연호되는걸 현장에서 지켜보면서 '이건 아닌데' 싶어 허원석의 이름을 없는 목 짜내서 외치고 있었던게 저였으니까요. 그런데 그 저평가의 이유에 대해서 오랜 시간 생각해본 결과 제가 생각하는 원인은 이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사람들을 미치게 만들지 못한다.'

SKT의 게임을 지켜보다보면 이상혁 선수는 지켜보는 사람들을 열광시킬줄 아는 플레이들을 자주하곤 합니다. 그 플레이가 언제나 성공하는것은 아니며 때때로는 팀에 위험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이기도 하지만 관객들은 '자신들은 할 수 없지만 무대에 앉아있는 프로들이라면 할 수 있을법한' 그런 플레이에 열광하기 마련이거든요. 여지껏 프로 스포츠들도 똑같았습니다. 전 세계 야구 팬들이 지난 5년간 메이저리그 투수 최고의 명예라고 할 수 있는 사이영 상을 무려 두 번이나 수상하며 메이저리그 투수 부분의 모든 기록을 갈아치우며 있는 '현재진행형 전설' 클레이튼 커쇼에 열광하는 것처럼요. 현재의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그런 '상징적인 존재' 포지션을 담당하는게 바로 이상혁 선수일 겁니다. 전 세계 소환사들이 입 모아 "페이커" 를 연호하고 그의 경기를 보기 위해 생아침 혹은 새벽을 지세우니까 말이죠. 이런 상황이니 허원석 선수의 저평가는 필연적일 수 밖에 없는 겁니다. 아무리 실력으로 앞서나간다고 해도 상대는 이미 '상징' 이 되어버린 존재니까요. 커쇼의 뒤에 가려져 엄청난 활약을 하고도 주목받지 못하는 같은 팀의 잭 그레인키의 행보를 그대로 따라갈 수 밖에 없는 것이죠.

다행히 아직 허원석 선수에겐 스스로 '상징'으로 발돋음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그 기회가 바로 이번 월드 챔피언쉽이죠. 여기에서 허원석 선수가 전 세계에 '내가 바로 폰 허원석이다. 내가 페이커를 대신할 리그 오브 레전드의 새로운 상징이다.' 개념을 각인시키며 우승을 차지한다면 영광의 자리는 이상혁 선수가 아닌 혀원석 선수에게 돌아갈 것 입니다. '사람들을 미치게 만드는 것' 그것이 이번 월드 챔피언쉽에서 허원석 선수에게 주어진 마지막 과제가 아닐까 그러한 생각이 듭니다.


기획자 - 장어의심장
글쓴이 - amagedon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톰가죽침대
15/09/30 15:44
수정 아이콘
폰과 페이커의 관계는 이윤열-임요환의 관계랑 비슷한것 같기도 합니다.
선점효과라는게 어마어마해서 실력으로는 넘는다고 하더라도 인기를 넘는다는건 쉽지가 않죠.
월을릇
15/09/30 15:48
수정 아이콘
p.s가 공감가네요. 잘 읽었습니다
하늘기사
15/09/30 15:54
수정 아이콘
프나틱이나 CLG가 출국 전에 스크림에서 성적이 매우 좋았다는게 나름 북미, 유럽에 청신호가 아닐까 싶습니다.
롱리다
15/09/30 15:54
수정 아이콘
저평가의 요인으로 SKT K 하면 페이커가 제일 먼저 떠오르지만 삼성화이트는 마타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p.s에도 공감합니다.
15/09/30 15:55
수정 아이콘
음? 회오리 한방이면 모두 정리되는 손님이네?
그러지말자
15/09/30 15:57
수정 아이콘
페이커가 이기면 논란의 종결, 폰이 이기면 논란의 연장이 되겠죠. 폰으로선 아쉬운게 페이커vs폰이 논란의 중심에서 살짝 변방으로 밀려버린것 같아요.
지금은 원래 폰이 가졌던 지분을 루키, 갓브이, 류(?), 카미(??)가 나눠가 버린듯...
도바킨
15/09/30 15:57
수정 아이콘
페이커 설명할때 류잡는 모습 보여주듯이
폰 설명할때 페이커잡는 모습을 계속 보여줘서
오늘도 죽는 페이커라는 별명이 생겨야 류가 최강 소리를 듣지 않을까 싶네요
하지만 현실은 류만 매일 죽는...
이호철
15/09/30 15:57
수정 아이콘
A조가 제일 약한건 맞는데 그 안에서 쿠가 '재앙' 이라 부를 수 있을만큼 압도적인지는 모르겠습니다.
페스티
15/09/30 16:00
수정 아이콘
롤드컵 빨리 좀 했으면 좋겠네요. 글 잘읽었습니다. 음 그런데 본문 이미지에 폰선수 스펠링이..
장어의심장
15/09/30 16:08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종이인간
15/09/30 16:05
수정 아이콘
저도 전체적인건 다 동감하는데 쿠가 A조에서 저렇게 압도적이라기 보긴 힘들것 같습니다 흐흐
사과씨
15/09/30 16:07
수정 아이콘
저는 KTB 팬이었고 류를 좋아하긴 하지만 사실 롤 역사를 통틀어 페이커의 최강 라이벌은 다데가 아니었나 생각하거든요. 커리어로 보나 다데 대장군의 캐릭터 성으로 보나 페이커의 아성을 가장 위협했던 또 하나의 미드라이너 슈퍼스타가 바로 다데였다고 생각하는디... 뭐 지금 폼으로 따지면 언급되기 힘들 수도 있겠지만 전혀 언급이 안되서 안타깝네요. 참 매력적인 선수였는데.
하늘기사
15/09/30 16:14
수정 아이콘
중국에서의 폼 보면...한국 돌아와서 솔랭 돌리는 것 봐도 폼이 확 죽은게 너무 보입니다......
사과씨
15/09/30 16:25
수정 아이콘
안타깝네요. 한창때 페이커와 다데가 비교될 때 페이커는 피지컬과 컨트롤, 운영능력을 모두 갖춘 완전체 에이스 같은 느낌이었다면 다데는 소위 긁힐 때 아무도 못 말리는 와일드씽 같은 느낌이라 각자 다른 개성의 라이벌 구도가 너무 매력적이었는데... 꼭 부활했으면.
이 생각하고 폰을 보니 왜 폰이 실력만큼 인기가 없는 지도 좀 알것 같기도 하네요. 뭔가 캐릭터 성이나 특징 포인트나 스토리 텔링할 만한 꺼리가 있어야 스타성이 완성이 되는데 매일 죽는 류 같은 밈도 없고 다데 대장군 같은 어마무시한 캐릭터성도 없고... 그저 아주 잘하는 선수...;;라는 캐릭터 성 밖에 없으니... 세체미일 지라도 인기가 없는 선수가 되어 버린게 아닌가.... 마 그런 생각이 드는군용.
하늘기사
15/09/30 18:21
수정 아이콘
심지어 데뷔하면서 대리 사건이 터지는 바람에 이미지조차 좋지 못했죠. 여러모로 스토리텔링이 나오기 힘들다는게 참......
칼꽂고닥돌
15/09/30 16:37
수정 아이콘
저 역시 그렇게 생각합니다. 다데뿐이죠.
하후히호히
15/09/30 16:44
수정 아이콘
까,빠 나눠서 싸우는거 그만보고싶습니다.
폰과 페이커 두선수 모두에게 비방과 비난이 너무 난무하거든요......

EDG SKT LGD중에 우승팀이 나올거같은데.....
우승팀이 세체미 세체정 세체폿 세체원 세체탑
타이틀 가져가는거니까...결판이났으면 좋겠어요.
이번롤드컵이 기다려지는 이유중하나구요
월을릇
15/09/30 16:51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에 동의. 위에 어떤분은 만약 폰이 이기면 세체미 논란의 연장이 될거라 하는데 만약 우승한다고 하면
일부 극성 팬을 제외하고는 어느누가 롤드컵 타이틀은 2번 거머쥔 미드라이너를 두고 세체미가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이번 롤드컵 우승팀이 세체미합시다
트윈스
15/09/30 16:50
수정 아이콘
페이커한테 폰은 라이벌이라기보단 천적이고 다데가 라이벌에 제일 가깝다고 봅니다. 현시점에서는 천적만 남아있지만요. 다데니뮤...
아이부리
15/09/30 17:35
수정 아이콘
페이커와 류는 마재윤과 강민 관계 같네요.
라이벌처럼 보여도 결국 결과는 일방적이었고, 페이커를 꺾은 사람도 결국 다른 사람이었으니
카르타고
15/09/30 18:26
수정 아이콘
쿠는 지나치게 고평가 같은데...
CLG보다고 강하다고할수있나요?
스타트
15/09/30 18:32
수정 아이콘
A조는 뚜껑 열어봐야.. 뭐 믿을 순 없지만 ahq ziv 인터뷰도 있었고, 쿠가 떨어질 확률도 꽤 된다고 생각합니다.
15/09/30 18:50
수정 아이콘
확실히 폰은 다데만한 캐릭터가 없네요.
근엄한 인터뷰나 제너럴 자켓으로 대표되는 이야깃거리나...그리고 긁히는날 1:2~3 상대로 휘저으며 열광시키던게 다데였으니까요.

롤드컵 전까지 형제팀 선배 그림자가 너무 컸고 이제 막 롤드컵 우승하며 주목받아야할 시기에 팀이 박살나 드래곤볼처럼 흩어졌으니...
소주의탄생
15/09/30 20:2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쿠타이거즈가 압도적으로 이겼으면 좋겠네요 다른 한국팀들도 마찬가지겠지만요 아무리 각을잡고 오히려 한국팀배제하고 봐도 쿠가 2패이상할 가능성은 없어보이는데 말입니다
장어의심장
15/09/30 22:07
수정 아이콘
이 글의 기획자이자 글을 업로드 한 장어의심장이라고 합니다. 글쓴이였던 amagedon이 Pgr21 계정이 없는지라 부득이하게 제가 amagedon을 대신해서 글쓴이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듣고 이곳에 대신 글을 남기겠습니다.

우선 추신 부분에 많은 공감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쓴이에게 처음 이곳에 글을 업로드 한다는 의견을 밝혔을때 '왠지 비난 꽤 당할 것 같은데 각오하고 있어야겠다' 고 밝혔던 적이 있습니다. 그 이유가 저 추신 부분 때문이었죠. 5월에 있었던 MSI 이후 많은 리그 오브 레전드 관련 커뮤니티 사이트를 돌아다녀보면 이상혁 선수와 허원석 선수를 비교하며 굉장히 감정적으로 이야기를 하시는분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니까요. 뭐 저나 글쓴이나 자신이 해야할 이야기가 있으면 남이 뭐라고 하던 말던 자기 의견을 뱉어버리는 성격이긴 합니다만 나름 신경을 좀 쓰고 있었던 눈치였는데 생각 이상으로 많은 분들이 공감해주셔서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올리고 싶습니다.

A조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왔는데 사실 쿠를 고평가 한다거나 띄워주기 의도는 아니었는데 글 내용이 잘못 표현을 한 것 같습니다. 글쓴이가 A조를 바라보며 말하고자 했던 의도는 '제발 여기에서만큼은 떨어지지 마라' 였거든요. 아마 대다수의 분들이 짐작하시겠지만 아마 여기서 쿠가 예선탈락을 하게 된다면 이후에 돌아올 것은 뻔하겠죠. 2013 시즌 3 월드 챔피언쉽 당시 삼성 화이트가 받은 비난을 가뿐하게 뛰어넘을 비난여론일태니 말 입니다. 누가봐도 지금 월드 챔피언쉽에 참여한 한국 팀들중 가장 조편성이 좋은게 현재의 쿠 니까 말이죠 그러니 제발 별탈없이 이겨달라 이런 부탁을 하고 싶었다고 합니다. 물론 승부의 세계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지난 2014 시즌 4 월드 챔피언쉽에서 KaBuM! e-Sports가 그런 초대형사고를 저지를 것이라고는 그 누구도 상상을 못했을태니 말 입니다. 하지만 적어도 여기서만큼은 지지 말고 이겨줬으면 하는 바람에서 쓴 글이었는데 내용 전달이 잘못 된 것은 분명히 기획자인 저와 글쓴이가 아직은 부족한 탓일태니 그것에 대해선 회원분들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사실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저희 둘 다 쿠 별로 안 좋아합니다. 국내 대표로 나갔으니 응원하는 것 뿐이지 평상시엔 정말 안 좋아하는 팀이거든요.) 어쨌든 예상밖의 성원을 보내주신점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697 [LOL] LCS EU 주관적인 팀 평가 [26] sand8134 16/02/16 8134 0
58645 [LOL] 몇가지 이야기들+다프이야기 [41] 후추통11061 16/02/04 11061 3
58640 [스타2] 프로리그 8번째 팀에 대해서 [31] 서쪽으로 gogo~7393 16/02/03 7393 0
58607 [LOL] 락스 타이거즈 : 이번엔 다르다! [31] The Special One7700 16/01/28 7700 5
58587 [LOL] e-mFire = 구(나진)? [158] Finding Joe13466 16/01/24 13466 0
58570 [히어로즈] OGN 슈퍼리그 시즌1 최종 진출 8팀 소개 [12] 은하관제7197 16/01/19 7197 5
58485 [LOL] NA의 두가지 소식 [24] 후추통9630 16/01/01 9630 1
58456 [기타] ‘2015 e스포츠 실태조사 및 경제효과’ 프로게이머 연봉에 대한 입장 [34] 한국e스포츠협회9462 15/12/24 9462 3
58355 [LOL] TG 호진 선수와 위즈덤 선수가 팀을 떠납니다 [30] 철혈대공10241 15/12/07 10241 0
57825 [LOL]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5 월드 챔피언쉽 조별 분석 [25] 장어의심장6443 15/09/30 6443 4
57821 [LOL] 북미팀 간단 분석 Q&A - Team SoloMid [31] becker7655 15/09/29 7655 9
57817 [LOL] 북미팀 간단 분석 Q&A - Counter Logic Gaming [21] becker6837 15/09/29 6837 15
57696 [LOL] LOL은 문화가 될 수 있을까 [70] 다크템플러11704 15/09/14 11704 36
57609 [LOL] 후회 남기지 않는 승부를 하기를. [33] 랜스6926 15/09/05 6926 2
57555 [LOL] 힘내라 KT! 롤드컵으로! [6] 랜스5942 15/08/30 5942 3
57498 [LOL] NA LCS 결승 직관 후기 & 리뷰 [36] becker7218 15/08/24 7218 4
57435 [LOL] EDG 롤드컵 1번시드 탈락, LPL 롤드컵 경우의 수 [61] becker8862 15/08/16 8862 0
57392 [스타1] BJ 소닉, 황효진씨가 스타1 프로리그 재출범을 천명했습니다. [107] VKRKO 14246 15/08/08 14246 15
57124 [스타2] 프로리그 3라운드 종합입니다. [17] 6140 15/06/23 6140 8
56848 [LOL] Edward Gaming in MSI - Day2 [24] Otaru5673 15/05/14 5673 8
56693 [LOL] 2012년 윈터, 만약 4강 대진이 달랐더라면? [45] 니나노나7671 15/04/17 7671 0
56656 [LOL] 바늘구멍을 통과하라 '변방의 리그' [15] zelgadiss6691 15/04/11 6691 3
56557 [LOL] 무승부 제도 재도입의 필요성, 그 외 기타 이야기 [92] 네오9193 15/03/26 919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