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7/17 22:41:22
Name Liberation
Subject [스타2] 커뮤니티 업데이트 - 7월 16일
여러분, 안녕하세요?

2주 전에 저희는 다음번 대규모 대전 패치 때 몇 가지 예정 변경 사항을 두 세트로 나누어 테스트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마지막 커뮤니티 업데이트 이후 저희가 제안한 첫 번째 변경 사항 세트에 관한 생산적인 커뮤니티 논의를 통해 대량의 건설적인
피드백이 접수되었습니다. 이제 2차 기획안을 소개할 때가 된 것 같습니다. 이 방안이 오늘 내로 테스트 탭에서 1차 기획안을
대신하게 될 것입니다. 지난 변경 사항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기반으로, 다음번 패치에 적용할 예정 작업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투 자극제: 업그레이드 연구 소요 시간이 121초에서 100초로 감소합니다.
- 신규 업그레이드 향상된 충격파: 유령의 EMP 탄환 반경이 1.5에서 2로 증가합니다. 비용: 150/150. 연구 시간: 79초.
- 우주모함 요격기 생산 시간이 11에서 9초로 감소합니다.
- 연결체: 전략 소환 재사용 대기시간이 85초에서 130초로 증가합니다.

또한 감염된 테란의 감염된 로켓포가 방어구를 무시하는 현상에 대해 다양한 커뮤니티 토론장에서 오류 신고가 들어왔습니다.
이번에 예정된 패치와 함께 이 문제에 대한 수정 사항도 시행할 계획이지만, 이 오류 수정은 처음에 제안한 감염된 로켓포
변경 사항과 비슷한 효과가 예상되므로 해당 변경 사항은 이 오류 수정으로 대신하고자 합니다.

- 오류 수정: 감염된 테란: 감염된 로켓이 방어구를 무시하지 않습니다.

2차 기획안

2차 기획안에서는 위에 언급한 변경 사항을 포함하되 차원 분광기 차원 이동 속도를 비롯한 아주 실험적인 변경 사항은
제외합니다.

제외된 변경 사항:

- 차원 분광기가 차원로의 지속형 능력으로 시작되지 않고, 차원문이나 연결체와 가까이 있지 않은 경우 차원 이동에
_11초가 걸립니다(기존 4초에서 증가).
- 중력 구동 업그레이드에 차원로 지속 능력과 함께 차원 분광기를 허용하는 추가적인 능력이 생겨 차원 이동 시간이
_11초에서 4초로 감소합니다.

이 변경 사항은 중대한 개편 사항인 것은 사실이지만, 한 번의 간결한 터치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런 문제들 중에는 PvZ에서 프로토스 올인의 강도와 다양성, 차원 분광기의 공격 강도 및 프로토스의 전반적인 능력 수준 등이
포함됩니다. 대신 2차 기획안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가 적용할 예정입니다.

추가된 변경 사항:

저그

- 대군주의 기낭 갑피 업그레이드 연구 비용이 100/100에서 75/75로 감소합니다.

이 변경 사항으로 저그가 게임 초반에 상대편 프로토스를 정찰하면서 겪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구체적으로는 기술 선택과 다양한 불멸자 기반 타이밍을 구분하는 능력에 유익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프로 선수들로부터 접수된
첫 피드백에서 이 변경 사항의 효율성에 대해 여러 가지로 의견이 갈렸습니다. 그래서 대군주의 속도가 ZvT 또는 ZvP에서
어디에나 만연하는 문제가 되지 않게 각별히 주의를 기울이고자 합니다.

프로토스

- 차원 분광기 비용이 광물 200에서 250으로 증가합니다.

차원 분광기는 여러 가지 기능을 지닌 강력한 유닛으로, 공격력과 올인 기회를 모두 제공합니다. 이렇게 비용을 늘리면
이 유닛의 능력 수준이 좀 더 정확하게 반영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차원 분광기 수송 범위가 6에서 5로 감소합니다.

차원 분광기의 광범위한 수송 능력은 공허의 유산에 추가한 긍정적인 요소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이 때문에 스킬 테스트에
유용한 사소한 기회가 많이 제공되고, 프로토스가 군대를 과도하게 투입할 필요 없이 상대편을 도발해보도록 독려하는 역할도
하며 최고 수준의 플레이어로서 차별화된 실력을 드러낼 수 있게 해주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수송 범위가 넓어서 상대하기
어렵고 불멸자 올인의 힘에 한 몫을 보태는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 생각에는 상대방이 분광기와 교류하는
능력을 조정하고 분광기가 화물을 다룰 때 자체적으로 감수해야 하는 위험 수준도 조절할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현 상황에서
이러한 변화를 제안하면서 우려되는 점은 주로 이로 인해 PvZ 올인 기회보다도 PvZ 매크로 기회에 더 큰 파급력이 미치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 광전사 돌진의 추가 충격 공격력이 8에서 0으로 감소합니다. 광전사는 돌진을 연구한 뒤에도 여전히 도망치는 표적을
_최소 한 번 이상 맞출 능력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광전사는 상대가 누구든 관계없이 프로토스의 능력 수준에 매우 크게 이바지합니다. 직접적인 교전에 쓰이든, 차원 분광기와
함께 일부 괴롭히는 역할을 하든 마찬가지입니다. 이 두 가지 역할 모두에서 광전사는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이나
제어 스킬에 비해 힘이 너무 센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따라서 이번 변경 사항을 통해 프로토스 군대의
전방 능력을 조금 줄이고, 그와 동시에 게임 전체를 통괄하여 광전사의 공격 강도를 약간 낮추고자 합니다.

PvZ의 경우, 이 변경 사항을 적용하면 업그레이드하지 않은 저글링이 +1 지상 무기 없이도 돌진 광전사로부터 몇 번 더 타격을
입고도 감당할 수 있기 때문에 돌진에 기반한 타이밍에 좀 더 내성이 생기게 됩니다(불멸자를 포함한 인기 많은 타이밍도
포함). 또한 무기를 업그레이드한 광전사와 갑피를 업그레이드한 저글링 사이의 관계를 스타크래프트 I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
수준으로 되살릴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획안 1에서 기획안 2로 넘어가며 위에 언급한 변경 사항을 모두 따로 분리한 이유는 이들이 여러 가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두 가지 서로 뚜렷하게 다른 접근 방식을 나타낸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특히 돌진 변경 사항의 경우, 이것은 차원
분광기의 차원 이동 변경과 중복될 뿐만 아니라 두 가지 변경 사항을 합하면 그 심각도가 너무 커져서 연중 밸런스 패치에는
너무 극단적인 조치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습니다.

이번 변경 사항은 모든 대전에서 게임의 모든 단계에 사용되는 핵심 프로토스 유닛에 적용되는 변경 사항이므로 특히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 추이를 지켜볼 생각입니다. 이 부분이 실제로 패치에 적용된다면 각각의 프로토스 대전 변경 사항이 게임 중반을
얼마나 크게 바꿔놓을지 세심하게 모니터링할 계획입니다.

테스트와 피드백

두 가지 기획안을 모두 들어보셨고, 다음번 밸런스 업데이트 때의 예정 변경 사항을 모두 알려드렸으니 이제 여러분이 피드백을
주실 차례입니다. 두 가지 기획안 중 어느 쪽이 더 마음에 드시나요? 두 기획안에서 조금 바꿨으면 하는 부분이 있나요?
다시 한번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스타크래프트 II 팀 드림

https://kr.forums.blizzard.com/ko/sc2/t/7-16/261/2

===============================================================

배틀넷 공식 한국어 포스트 입니다.

어제 올라왔는데 아직도 올리신 분이 아무도 안 계셔서 올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너에게닿고은
19/07/17 23:04
수정 아이콘
캬 드디어 탑승범위 너프!
NORTHWARD
19/07/17 23: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전과 비교해보면

감테의 공중딜은 방어력을 무시하는 데미지가 들어가는 버그가 나와버려서
1차때는 딜 -2였지만 2차때는 그냥 버그 픽스로 대체

분광기는 1차때는 업글 이전엔 11초 소환, 후엔 4초 소환인데 캔슬시키고
2차에서는 수송거리 -1, 가격 미네랄 50증가

대군주 기낭갑피 업글 25/25 감소

광전사 돌진 추뎀 8->0

이정도네요
감테 공중 딜이 이상하게 강하긴 했습니다 그것은 버그였던걸로

이번이 나온건 2차 패치안
이제 테스트를 거쳐서 실제로 적용될 최종 패치안이 나올 겁니다
ROCK MAN
19/07/17 23:25
수정 아이콘
돌진 추뎀삭제는 좀 큰데
가루맨
19/07/17 23:31
수정 아이콘
분광기의 소환 시간 너프는 결국 대격변에서나 이뤄지겠네요.
워낙 오랫동안 고대해왔던 변경이라 취소된 게 화도 나지만, 종족 밸런스 문제때문에 당장 할 수 없다는 것도 이해합니다.

다만 돌진 데미지를 아예 없앤 건 좀 과한 너프가 아닌가 싶고요.
자극제, EMP 상향은 취소했으면 하는 게, 전자는 안 그래도 비주류 전략인 메카닉의 활용도가 더 낮아지게 할 게 뻔하고, 후자는 극후반 마법 유닛 싸움에서의 밸런스를 붕괴시킬 우려가 있어서 그렇습니다.

감테 대공이 방어력을 무시하는 버그가 있었다는 건 참 어이가 없다고 밖에.. 어쩐지 공중 유닛을 너무 잘 녹이더라..
예언자 펄서 광선이 버그가 발견된 게 그리 오래되지도 않았는데, 이번에도 목구멍에서 으이구 소리 절로 나왔네요..
retrieval
19/07/18 02:50
수정 아이콘
테란은 버프가 멈추질 않네요;;;
도달자
19/07/18 02:52
수정 아이콘
토스종빨의 7할이상이 분광기라고 생각하고 분광기의 오버스펙을 칼질해야하는 건 맞고 비용의 증가나 수송범위의 감소에 대해 이야기가 많았고 실제로 그렇게 패치했네요. 이거보고 소환시간 11초는 그냥 떡밥이었구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말이 안됬어요.

그런데 토스가 분광기에 집착하게 된 이유는 분광기 오버스펙으로 인한 관문유닛의 엉성함(올인상황이 아니면 보통 뽑을수록 손해인 추적자와 사도)이 크다고 생각하는데 분광기너프와 광전사너프를 같이하네요.

거기에 맞춰가는 저그가 제일잘하는 상황에서 기낭갑피 가격을 낮추고 유령해방선전순 등 후방포텐은 제일 있는 테란에게 유령을 더버프시키고 토스에게 분광기 광전사를 너프시키고 굳이 전투자극제를 버프해줄 의미가 있는지.. 어떨때는 블리자드의 스2 패치방식이 지금 문제에 대해 잘 이해하고있구나 생각드는데 이번패치는 전부 왜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체감상 2연속 프프전결승은 나왔어야 할 수 있는 패친거 같은데..
겨울나기
19/07/18 03:34
수정 아이콘
광전사 저글링 밸런스가 스1 시절로 돌아간다고?

!광전사왜써요
!질럿왜써요
들쾡이
19/07/18 08:28
수정 아이콘
그래도 분광기가 약간이나마 너프되서 괜찮아보이긴 합니다
서리버
19/07/18 09:16
수정 아이콘
이게 왜 이제서야... 흑흑
황금가지
19/07/18 11:23
수정 아이콘
분광기는 분명 오버스펙이니 칼질하는건 OK. 근데 토스게이머들이 그동안 먹고산게 분광기 때문인데, 이거 칼질하는거에 광전사 너프까지 당하면 토스는 이제 뭘 어쩌라는건지 모르겠네요. 뺏어가는건 좋은데 다른쪽에서 뭔가를 줘야하는거 아닌가??
박찬호
19/07/18 13:49
수정 아이콘
두개 동시에 너프하는건... 타종족하라는 소리죠
졸린 꿈
19/07/18 15:38
수정 아이콘
아무리 요새 토스가 잘나간다지만;; 에효...(테란 유저 입니다)
분광사도 이후로 래더 접었습니다만 슬프네요 ㅠㅠ
PGR21 채널에도 맨날 저만 보이고 ㅠㅠ;

스2 하시는 분들 PGR21 채널에 놀러오...라고 하기에도 민망..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654 [스타2] 2019 GSL 시즌3 코드S 결승전 우승 "이병렬" [4] 김치찌개9339 19/09/29 9339 1
66651 [스타2] 2019 마운틴듀 GSL 시즌 3 결승전 직관기 [6] 及時雨9752 19/09/28 9752 0
66600 [스타2] Nation Wars가 여섯번째 대회로 돌아옵니다. [10] 及時雨10426 19/09/21 10426 2
66590 [스타2] GSL 4강 이병렬 vs 박령우 (스포) [8] 삭신10068 19/09/18 10068 3
66561 [스타2] 스타2 파워 랭킹 - Serral 최초 1,500pt 돌파 [5] 쏭예10585 19/09/14 10585 1
66560 [스타2] 이병렬 선수의 도전 그리고 문규리 아나의 눈물 [11] 삭신11851 19/09/14 11851 10
66457 [스타2] China Team Championship 2019 시즌 2 소개 [2] 及時雨10167 19/08/30 10167 3
66315 [스타2] 현재까지 올해의 명경기 [9] 及時雨11600 19/08/14 11600 9
66280 [스타2] 오랜만에 올리는 스타2 파워 랭킹 [16] 쏭예13039 19/08/04 13039 1
66219 [스타2] 2019 GSL vs The World 투표 [8] 삭제됨9059 19/07/26 9059 0
66174 [스타2] 커뮤니티 업데이트 - 7월 16일 [12] Liberation11105 19/07/17 11105 2
66129 [스타2] GSL에서의 박진영 해설 빈자리 - 전태양이 계속해야 할까요? [17] 지성파크12628 19/07/11 12628 2
66054 [스타2] Community Update - July 2, 2019 [11] NORTHWARD9620 19/07/02 9620 3
66034 [스타2] 2019 GSL 시즌2 코드S 결승전 우승 "박령우" [3] 김치찌개8219 19/06/30 8219 3
65995 [스타2] 2019 GSL 시즌2 결승전 뷰잉 파티 무사히 종료했습니다! [7] Periodista10325 19/06/23 10325 2
65992 [스타2] 2019 마운틴듀 GSL 시즌 2 결승전 직관기 [7] 及時雨9038 19/06/22 9038 8
65827 [스타2] China Team Championship 2019 시즌 1 6주차 경기 결과 및 순위 [1] 及時雨8774 19/05/27 8774 3
65807 [스타2] 협동전 사령관 이곤 스텟먼 만렙 후기 [3] cluefake12222 19/05/25 12222 0
65789 [스타2] 간만에 나온 해외산 저세상 경기 - WCS 스프링 그룹 스테이지 3 C조 1경기 [14] 及時雨10643 19/05/22 10643 9
65788 [스타2] 협동전 사령관 미리보기 : ?? ??? [15] 동굴곰10337 19/05/22 10337 5
65772 [스타2] 이번 WCS우승자는 세랄입니다. [32] Yureka11163 19/05/20 11163 3
65685 [스타2] China Team Championship 2019 시즌 1 5주차 경기 결과 및 순위 [5] 及時雨8874 19/05/14 8874 1
65619 [스타2] China Team Championship 2019 시즌 1 4주차 경기 결과 및 순위 [4] 及時雨8335 19/05/08 8335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