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8/19 22:32:36
Name Leeka
File #2 스크린샷_2019_08_19_오후_10.28.40.png (277.5 KB), Download : 14
Subject [LOL] 12년 이후, 국제대회 우승자들


* 볼드 처리된 선수들은 라이엇 공식 MVP 수상자들입니다.
(12~13년은 공식적으로 뽑진 않았지만,  라이엇이 14년에 간접적으로 Toyz, Faker를 초청해서 표현은 했습니다.)


이렇든 저렇든, 라이엇 공식으로 전세계 최고의 자리에 올라간 적이 있는 선수들입니다. 


MSI + Worlds를 모두 우승한 적이 있는 선수는

TOP : Duke
JGL : Bengi, Blank
MID : Faker, Pawn
BOT : Bang
SPT : Wolf

총 7명의 선수가 MSI와 Worlds를 같이 우승한 적이 있습니다.
요약하면 16 SKT + 폰..  해서 7명. 

추가로 MSI와 Worlds 에서 모두 MVP를 수상한 선수는 Faker 단 1명입니다. 



한국 선수 기준으로는 

탑 : 임팩트 -> 루퍼 -> 마린 -> 듀크 -> 듀크 -> 후니 ->  큐베 -> 더샤이/듀크

정글 : 뱅기 -> 댄디 -> 뱅기 -> 블랭크 -> 뱅기/블랭크 -> 피넛/블랭크 -> 앰비션/하루 

미드 : 페이커 -> 폰 -> 폰 -> 페이커/이지훈 -> 페이커 -> 페이커 -> 페이커 -> 크라운 -> 루키

바텀 : 피글렛 -> 임프 -> 데프트 -> 뱅 -> 뱅 -> 뱅 -> 뱅 -> 룰러

서포터 : 푸만두 -> 마타 -> 울프 -> 울프 -> 울프 -> 울프 -> 코장

이 국제대회 우승을 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풍각쟁이
19/08/19 22:50
수정 아이콘
요새 표 보면 msi의 비중이 많이 올라왔나 보네요

맨날 표보다가 헷갈려서 보면 같이 기재되어 있더라구요

이제 롤드컵과 비중이 비슷해진건가요!?
앚원다이스키
19/08/19 22:53
수정 아이콘
1년 농사로 치면 롤드컵이 킹왕짱이지만 그래도 상반기 세계 최고를 가리는 무대이기에 대접받을 가치는 있죠. 게다가 롤드컵 시드/티켓에도 영향을 미치기도 하구요.
카르타고
19/08/19 23:11
수정 아이콘
라이엇이 강제로 다른대회들 죽여버려서 반강제적으로 올라간거죠 저는 아직도 iem이나 ipl같은 대회가 msi보다 더 위라고 생각하지만 대회가 더이상 진행되지않으니 이제 기억하는사람만 점차 줄어들테고 잊혀진 대회가 되는거죠.
마블DC
19/08/19 23:13
수정 아이콘
SK의 5연속 국제대회 결승 진출과 4연속 우승.... 그 중심에 페뱅울이 있네요..
적란운
19/08/19 23:22
수정 아이콘
3연속으로 LCK가 없다니 ㅠㅠㅠ 정말 이번 MSI가 너무 아쉽네요. 슼이 그래도 G2를 이겼다면... 하는 마음이 참
19/08/19 23:51
수정 아이콘
18MSI 부터 LCK는 없지만

그래도 루키, 더샤이,듀크가 한국인의 명맥은 이어줬군요
소야테
19/08/20 00:19
수정 아이콘
만약 현행 시리즈 MVP 대신 16년까지 그랬던 것처럼 대회 전체 MVP를 계속 수여했다면 누가 뽑혔을지 궁금하네요.

19 MSI - 그대로 캡스

18 롤드컵 - 십중팔구 루키

18 MSI - 그대로 우지

17 롤드컵 - 이때가 사람마다 좀 갈릴 것 같은데 큐베 앰비션 룰러 셋 중 하나겠지요? 파이널 MVP 룰러와 토너먼트에서 플레이가 돌변한 레전드 네버다이 앰비션도 인상적이었지만, 그룹스테이지에서 흔들리는 팀을 혼자 북치고 장구치며 어떻게든 떠받치고 넉아웃스테이지에서도 솔리드한 퍼포먼스로 시종일관 캐리한 큐베가 가장 어울리지 않나 생각합니다.

17 MSI - 그대로 울프. 가물가물하지만 후니도 대단했던 걸로 기억
치토스
19/08/20 00:23
수정 아이콘
우승팀에서 무조건 MVP가 나와야 한다는 규정만 없으면 저는 17롤드컵 MVP 페이커 라고 생각합니다.
결승전 빼고 8강부터 4강까지 총 10경기에서 6승4패 할동안 돌아가면서 정신 못차린 팀원들 멱살 잡아가며 결승 올린 선수는 페이커 밖에 없어요.
19/08/20 00: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건 너무 17삼성선수들을 폄하하는거같네요

1깃 2창에. 1대격변 3점멸을 뽑아먹은 앰비션부터해서
삼성이 무슨 접전을 한것도아니고 3대0으로 압살했는데..

결승전에서 크라운이 페이커를 말자하 카운터인 카시를 뽑은 페이커 상대로 라인전을 이겼는데...
치토스
19/08/20 01:02
수정 아이콘
결승전이 제일 중요하긴 합니다만. 우승 못했다는거 빼고 17롤드컵 시리즈 통 틀어서 삼성 그 어느선수도 페이커 만큼의 퍼포먼스를 보여준 선수는 없다고 생각해서요.
19/08/20 04:39
수정 아이콘
약간 월드컵 메시랑 비슷한 케이스라 보는 시각도 존재할 수는 있죠. 그 메시의 월드컵 골든볼 수상도 논란이 있었지만요. 어쨌든 결승전은 페이커도 잘했다고 보긴 어렵고, 그래도 우승자쪽에서 MVP가 나오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19/08/20 15:36
수정 아이콘
잘하긴 했는데 그 페이커를 아무것도 못하게 한게 17삼성이죠
19/08/20 16:23
수정 아이콘
전 17롤드컵에서 페이커 이상의 퍼포먼스를 보여준 삼성 선수들이 족히 4명은 된다고 보는데요. 코장룰러큐베엠비션 다 미쳤었습니다. 팀에 미친 선수가 이렇게 많고 개인의 슈퍼플레이 보단 팀플레이 위주의 팀이어서 각각부각이 안되서 그렇지 하나하나 뜯어보면 미친 플레이들 정말 많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괜히 그당시한국팀들이 삼성한테 다 삼대떡 당한게 아닙니다. 페이커는 혼자 고군분투해서 돋보였을뿐 17삼성플레이 하나하나 놓고보면 슈퍼플레이들 쏟아져 나왔습니다. mvp는 고군분투했다고 주는 격려상 같은 게 아닙니다.
19/08/20 04:36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하는 대회 전체 MVP

12 롤드컵 - 토이즈
13 롤드컵 - 페이커
14 올스타 - 페이커 (MSI 전신)
14 롤드컵 - 마타
15 MSI - 클리어러브
15 롤드컵 - 마린
16 MSI - 페이커
16 롤드컵 - 페이커
17 MSI - 뱅 or 울프. 피넛도 가능
17 롤드컵 - 앰비션 or 룰러
18 MSI - 우지
18 롤드컵 - 루키
19 MSI - 캡스

1줄요약: 롤은 미드 게임
수분크림
19/08/20 05:02
수정 아이콘
폰이 대단하긴 했네요 페이커는 넘사벽이라 그렇지 폰은 인간계 최강급 느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635 [LOL] ESPN 선수 파워랭킹 TOP 20 나왔습니다 [88] 스톤에이지11881 19/09/26 11881 0
66596 [LOL] 주관적으로 매겨본 4대 리그 롤드컵 진출팀 선수들 티어 및 간단한 평 [81] 99종자10807 19/09/20 10807 0
66586 [LOL] 4대리그를 대표하는 선수들과 팀들이 나오는 롤드컵 [22] Leeka8815 19/09/18 8815 0
66580 [LOL] Worlds 2019 - 참가팀 소개 [56] 소야테12558 19/09/17 12558 22
66573 [LOL] LEC 선발전 종료 후 Post Game Lobby 인터뷰 내용들 [68] 비역슨11105 19/09/16 11105 8
66568 [LOL] 정당한 스킨의 보유자들 - 롤드컵의 역사 [39] Arcturus14378 19/09/15 14378 2
66557 [LOL] 반발 이상 빠른 G2의 메타? [52] Leeka16423 19/09/12 16423 3
66529 [LOL] 내일 LPL도 마지막 롤드컵 진출팀이 가려집니다 [29] 더치커피8115 19/09/07 8115 0
66528 [LOL] 오늘 경기를 보며 떠오른 작년의 데자뷰 [9] Arcturus8936 19/09/07 8936 1
66501 [LOL] 세대교체 말이 많았지만 지나고보니 고인물 올스타즈 [36] 신불해10841 19/09/03 10841 2
66487 [LOL] RNG 우지의 현재 상태 및 TES와의 경기 후 인터뷰 [80] 신불해25816 19/09/02 25816 6
66478 [LOL] 4대리그 맹주들의 격돌.. Worlds 현재까지 잡설 [41] Leeka11333 19/09/01 11333 1
66460 [LOL] 오창종 감독이 사임했습니다. [133] Leeka16389 19/08/30 16389 4
66449 [LOL] 7년차 SKT팬의 뇌리에 남은 타팀 선수들 [71] Vesta13740 19/08/28 13740 10
66437 [LOL] LEC 세대교체의 중심에 선 로그 [19] 비역슨7831 19/08/27 7831 0
66412 [LOL] 섬머시즌 결산 단순무식 지표 - 4대리그 다 합친 포지션별 지표 TOP 10 [29] Ensis10202 19/08/24 10202 2
66411 [LOL] 리그와 다전제 경기력, 팀의 고점과 크랙에 대한 잡담 [105] Leeka12443 19/08/24 12443 5
66405 [LOL] 롤 프로씬에서 감코진의 중요성이 오늘 IG를 통해서 드려나네요 [40] 카멘라더11457 19/08/23 11457 0
66397 [LOL] 기묘한 LPL 시즌 MVP의 저주 [10] 신불해9883 19/08/22 9883 2
66369 [LOL] 12년 이후, 국제대회 우승자들 [15] Leeka5997 19/08/19 5997 0
66358 [LOL] (개인적으로 뽑아보는) 서머 정규시즌 퍼스트팀 [92] 내일은해가뜬다10051 19/08/19 10051 5
66353 [LOL] LPL 섬머시즌 정규리그 최종 순위 & 플레이오프 대진표 확정.jpg [26] Ensis7981 19/08/18 7981 3
66336 [LOL] MVP 후보 및 2019 LCS 서머 수상내역 [11] 비역슨5680 19/08/17 568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