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8/09 15:23:50
Name 전설의황제
File #1 2a200eb3bcecfa3b63822d2a13609dd4.png (95.7 KB), Download : 89
Subject [스타1] 점수로 환산한 양대리그 커리어 랭킹


1. 점수배정은 우승 500, 준우승 200, 4강 80, 8강 30, 16강 10을 기본배점으로 하였습니다.
준우승 2번보다는 우승1번이 4강2번보다는 준우승 1번이 더 가치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2. 100점 미안의 선수들은 제외했고 점수가 동률일 경우 상위라운드에 더 많이 진출한 선수를 더 높게 배치했습니다

3. 시기에 따라 리그방식의 차이로 인하여 16강 미만은 점수가 배정되지 않았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산다는건
21/08/09 15:30
수정 아이콘
이미 지난 일이지만 테니스의 ATP파이널 처럼 왕중왕전도 합산해서 포인트 부여해야 한다고 생각되네요.
무거움
21/08/09 15:46
수정 아이콘
우승기록이 공식적으로 말소되었는데 마씨는 빼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카바라스
21/08/09 15:49
수정 아이콘
맨날 마레기 기록 들이대는 분이라 안빼실듯
영호충
21/08/11 20:29
수정 아이콘
근데 빼고는 좀 아쉬운 느낌이 들어요. 물론 마재윤 xxx.
퀴즈노스
21/08/09 15:47
수정 아이콘
백번양보해서 이영호까지야 어떻게 넘어간다 쳐도 마재윤 같은 경우 삭선처리라도 해야 하는게 아닐지..
시무룩
21/08/09 15:52
수정 아이콘
이영호야 게임은 순수하게 하고 금융사기만 친거니 커리어는 무시당할게 아니지만 마씨는 진짜 저기 있으면 안되죠
회색추리닝
21/08/09 15:55
수정 아이콘
둘다 꼴도보기싫네요 크크
택까지
퀴즈노스
21/08/09 15:59
수정 아이콘
저도 꼴도 보기 싫긴 한데 게임 관련 잘못이 아니라 커리어는 어쩔 수 없이 인정해야 할 것 같아서요 근데 마재윤은 그마저도 아니니까..
아라나
21/08/09 23: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영호야 연루가 너무 깊게 되있어서 향후 수사 추이를 봐야겠습니다만
스타판 BJ들의 경우 김택용은 팬들이 배신감 느끼는 팬들을 벗겨으려는 의도로 투자했다기에는 의문점이 많이 남기도하고, 솔직히 걍 멍청해서(...) 잘 모르는 곳에 발을 잘못 들인게 죄라면 죄인거같은 느낌적 느낌을 받습니다.(지옥으로 가는길은 선의로 포장되있는데 거길 갈뻔해서..)
Lina Inverse
21/08/09 16:05
수정 아이콘
최연성과 홍진호의 데칼코마니!
배고픈유학생
21/08/09 16:10
수정 아이콘
0우승 중 1위인 홍진호 선수...
벽빵아 사랑해
21/08/09 16:19
수정 아이콘
겜티비 까지는 메이저로 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답!
21/08/09 16:33
수정 아이콘
30위권 안쪽에 널린 1회 우승자들 보다도
2회 우승 앵무, 동수형 보다도 점수가 위인 0회 우승자
콩의 위엄 ...
호우형주의보
21/08/09 16:40
수정 아이콘
6,22,41,44,59,79 범죄자 인데 리스트에 포함 안시켜도 될듯 싶네요
21/08/09 17:01
수정 아이콘
최연성 5 0
홍진호 0 5

비교체험 극과극...
21/08/09 17:01
수정 아이콘
최진우 저분은 온겜넷 완전 초창기 우승인거죠?.
기억이 아에 안나네요
산다는건
21/08/09 17:03
수정 아이콘
투니버스 시절일걸요. 군대제대하고 KT입단했던 기억이 나네요.
21/08/09 20:27
수정 아이콘
99pko요 OSL 1회라고 보시면됩니다
손금불산입
21/08/09 17:10
수정 아이콘
개인리그에서는 빛을 많이 못봤지만 프로리그에서 꾸준히 활약한 선수들을 개인적으로 꽤 괜찮게 봅니다. 여기선 많이 아래에 있네요.
21/08/09 20:58
수정 아이콘
개인리그는 점수화가 가능한데 프로리그는 그게 안되서 그럴겁니다
신이염 논란때도 그렇지만 프로리그 강자들의 활약을 점수화해서 개인리그 점수랑 합산해야되는데 그걸할수가 없죠
21/08/09 17:18
수정 아이콘
한때 이윤열 vs 이영호 논쟁 재미있었는데...
이렇게 보니 갓윤열...
프로미스나인
21/08/09 17:24
수정 아이콘
리그에 따라 판수의 차이는 있지만 4강이면 최소한 다전제를 한 번은 이겼다는 거라서 4강을 여러번 갔다면 꽤 의미있는 기록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보니 김윤환 선수 위에는 드래프트 이후세대는 허덴뱅(?)동만 있네요.
FastVulture
21/08/09 17:25
수정 아이콘
홍진호보다 준우승을 많이한 선수는 없고
준우승 4회인 분들은 전부 우승이 있습니다
ㅠㅠ
realcircle
21/08/09 17:35
수정 아이콘
마재윤 삭선처리라도....
황제의마린
21/08/09 17:44
수정 아이콘
도대체 자꾸 마씨는 왜 끼어넣는건지 이해 안됨

그냥 언급하면 피지알에서 벤 했으면 좋겠습니다

솔직히 어그로 끄는걸로 밖에 안 보입니다.
루루라라
21/08/09 17:59
수정 아이콘
염씨는 16강 본선을 11번 뚫었는데 4강 한번을 못가봤네.
올해는다르다
21/08/09 18:32
수정 아이콘
그냥 기록 정리는 기록 정리대로 해놓고 그걸 볼 때
'마재윤 전체 6위 후덜덜' 이러지 않고 '에휴 저렇게 잘나가던놈이 그짓거리를 했네..' 이정도로 보면 될 거 같은데요.
21/08/09 19:09
수정 아이콘
박정석이 생각보다 커리어가 괜찮네요 우주배 준우승 이후론 기억 잘 안나는데
코비코비
21/08/09 19:15
수정 아이콘
이윤열은 당시에 양대리그급 상금과 권위를 가졌던 겜티비, ktf프리미어리그우승을 포함하면 원탑이 맞다고 봅니다
김솔라
21/08/09 19: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영호는 스타씬이 계속 되었으면 우승은 최소한 한번 더 했을 선수라 이영호 우위로 봅니다.

한창 전성기인 20살에 커리어가 끊긴 셈이니까요.
21/08/09 20:31
수정 아이콘
역사에 if는 없죠
이윤열도 송텐창을 안만났으면?
김솔라
21/08/09 20:36
수정 아이콘
당시 최정상 테란이었던 상황에서 커리어가 끊긴 건 부정할 수 없으니까요.

똑같이 이윤열 커리어를 2004년에 끊어도 이영호 우위라고 보는데요.
21/08/09 20:38
수정 아이콘
if놀이 할꺼면 이영호가 2012년 이후 그대로 꼴아박았을수도 있다고 할수도 있는거죠
이윤열 커리어를 왜 2003년에 끊나요? 선수마다 전성기 길이가 다른데요
김솔라
21/08/09 20:41
수정 아이콘
그래서 [if 놀이 제외하려고] 이영호가 커리어 끊긴 나이에 이윤열도 끊은 거 아니에요.
전성기를 잘라서 이윤열 01-05시즌, 이영호 07-11시즌만 봐도 커리어로 보면 이영호 우위라고 봅니다.
21/08/09 20:43
수정 아이콘
제가 말한 이윤열의 if는 2003년에 커리어 끊기는게 아닌데요
[송텐창을 안만났으면] 이죠 송텐창이 이상한 가전제품 행사장 같은데 데리고 다니면서 시간낭비 안했더라면?
우승 횟수가 더 많을수도 있다는거니까요
김솔라
21/08/09 20:45
수정 아이콘
역사에 if는 없다면서 송텐창을 안만났다는 얘기는 왜 하시는지요 크크
제가 결국 이영호 우승횟수가 더 많았을 거라는 건가요? 같은 기간으로 비교하면 이영호 전성기가 더 우위라는 거죠.
21/08/09 20:46
수정 아이콘
댁이 먼저 if놀이 했으니까 그 반대급부로 이윤열의 송텐창을 꺼낸거죠 무슨소리를 하시는거죠 크크
김솔라
21/08/09 20:49
수정 아이콘
이윤열이 송텐창을 만났든, 이영호 전성기 때 스타씬이 망했든 이영호가 우위라고 생각하니까 알아서 망상하세요.
21/08/09 20:53
수정 아이콘
김솔라 님// 네 망상은 댁이 if놀이하면서 이영호 우승 1회 추가하는게 망상이겠죠 수고하세요
21/08/09 22:54
수정 아이콘
김솔라 님//

무슨 if놀이도 내로남불이 있네요 크크

아몰랑 이영호가 최고양
클로로 루실후르
21/08/10 00:59
수정 아이콘
제가 결국 이영호 우승횟수가 더 많았을 거라는 건가요?
???
첫 댓글에서 이영호가 우승 한번 더 했을거라고 하셨잖아요 선생님;;
21/08/09 23:19
수정 아이콘
후반기에는 정명훈, 허영무한테 밀렸다고봐서 어찌될지 모르겠네요
트윈스
21/08/09 21:56
수정 아이콘
이제동 허영무 정명훈도 리그 중단 안됐으면 커리어 어찌 됐을지 모르죠...
김솔라
21/08/09 22:25
수정 아이콘
이영호 이윤열 논쟁이 있길래 두명만 비교해서 말했었습니다. 그때는 저도 티원팬이라 이영호 안티에 가까웠어요.

그때 정윤종이나 허영무, 정명훈처럼 새로운 시대를 열어줄 선수들이 두각을 보였는데 참 슬프게 생각합니다. 롤 레전드인 크라운이나 듀크, 피글렛도 스타로 명성을 날렸을지 모르고요.
다이어트
21/08/09 19:50
수정 아이콘
마재윤은 그냥 0점이죠. 기록 다 말소인데요
엘롯기
21/08/09 19:52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 스타리그랑 엠비씨 스타리그랑 같은 점수인건가요?
쩌글링
21/08/09 20:05
수정 아이콘
리플이 이렇게 많이 달려도 제동 다음 저그인 박성준이 한 번도 언급 안되는 걸 보고 있으니 투신빠는 또 한번 웁니다.
21/08/09 20:26
수정 아이콘
그냥 자료는 자료로 봅시다
뭐 마재윤 찬양글도 아니고 현역커리어 자료일뿐인데 무슨 마재윤이 자격 있니없니를 논하는지
21/08/09 22:57
수정 아이콘
그 커리어 자체를 말소했으니까요

자격 없는게 맞죠
21/08/09 20:3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왕중왕전을 이벤트 처리한 온게임넷에 좀 어이가 없습니다
전시즌이랑 우승상금 동일했고 1,2위한테 다음시즌 시드를 줬는데 이벤트라니..
전설의황제
21/08/09 20:47
수정 아이콘
홍진호는 왕중왕전 2회우승잡니다
Kpga에서도 임요환 이기고 우승했죠
21/08/09 23:28
수정 아이콘
이윤열 시대때는 양대리그를 제외한 메이저급 대회 및 이벤트대회들이 수도 없이 많았고, 공통맵도 없던 시대에 쌓은 커리어라 단연 원탑으로 꼽고 싶습니다. itv는 제외하더라도 2003년에 우승했던 겜비씨, 프리미어리그는 당시 양대리그에 견줄수있는 위상의 대회였다고 보는데 좀 더 이윤열의 커리어는 재평가받아야할 부분들이 많다고 봅니다. 특히 프리미어리그는 지금 찾아보니까 결승전 시청률이 그 유명한 so1 결승보다 높았다고 하네요.
다리기
21/08/09 23:57
수정 아이콘
프리미어리그가 진짜 꿈의 리그 느낌이었는데..
엄재경의 업적 중 가장 큰 부분이죠. 타 대회 내려치기 + 온게임넷 원탑리그화
양대리그였던 엠겜 제외한 모든 대회 다 이벤트 대회행 크크
다리기
21/08/09 23:56
수정 아이콘
1~3위 / 4~6위 / 7~15위
단위로 끊기네요. 점수차가 확 벌어지는 구간이..
불독맨션
21/08/10 00:30
수정 아이콘
박성준선수는 4강 횟수 0 ... 무조건 결승갔네요
물론 결승에서 최상급 테란에게 힘없이 무너지긴 했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740 수정잠금 댓글잠금 임진록 승부예측 간단 이벤트 [291] 진성8975 22/02/18 8975 2
73709 [스타1] 래더 플레이에서도 영웅 생산이 가능하게끔 한다면? [15] 산딸기먹자9903 22/02/19 9903 0
73544 [스타1] [ASL 13] 24강 대진 및 일정 + 관전포인트 [77] 메렁탱크15221 22/01/26 15221 2
73536 [스타1] ASL 시즌 13 본선 진출 명단.JPG [51] insane12169 22/01/25 12169 0
73422 [스타1] (ASTL 스포) 명실상부 차기시즌 ASL 우승후보 [16] 묻고 더블로 가!10327 22/01/10 10327 4
73375 [스타1] 2021년 스타크래프트 기록 [9] 라티12154 21/12/31 12154 1
73036 [스타1] [RTS 이야기] 나이 먹으니 여러모로 서럽다.. [42] 탈리스만16025 21/11/21 16025 3
72906 [스타1] 2004년 11월 12일, e스포츠의 역사를 바꾼 날 [41] MiracleKid16394 21/11/12 16394 4
72856 [스타1] 이틀 연속 맹활약한 스카웃 [21] MiracleKid15297 21/11/07 15297 6
72823 [스타1] 2021년 11월 현재시점 스타1 전프로판의 상황 [12] 김재규열사19194 21/11/06 19194 16
72760 [스타1] 빠른무한의 왕이 되어보세요. [1] Aedi12376 21/10/30 12376 1
72585 [스타1] 재미있는 빨무 미션.. [2] Aedi11773 21/10/14 11773 0
72505 [스타1] 송병구 선수의 마지막 ASL 도전 [47] 빵pro점쟁이22563 21/10/04 22563 2
72404 [스타1] [자작맵주의] 트로이 + 메두사 = ? [22] Cookinie16648 21/09/20 16648 5
72343 [스타1] 스덕들의 추억여행, 스타리그 BGM 메들리를 만들었습니다 [27] 김솔라17967 21/09/13 17967 7
72310 [스타1] 래더맵 패치 딱 한 번만 더 할 수 있다면... [12] GiveLove15769 21/09/10 15769 0
72245 [스타1] ASL 24강 B조 경기들 [11] 흡-흡-허-14364 21/09/02 14364 1
72241 [스타1] 스타1 테란 순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35] 껌정23480 21/09/02 23480 2
72161 [스타1] 추억의 온게임넷 프로그램 [34] 라라 안티포바17277 21/08/27 17277 2
72151 [스타1] 2021년 8월 25일 KCM 종족최강전 - 강력추천. [9] 흡-흡-허-14371 21/08/26 14371 0
72074 [스타1] 저그의 빌드를 발전시키고 있는 짭제(박상현) 선수 [31] 꺄르르뭥미22664 21/08/18 22664 8
71986 [스타1] ASL 시즌 12 신맵 [26] 꺄르르뭥미14109 21/08/09 14109 2
71981 [스타1] 점수로 환산한 양대리그 커리어 랭킹 [55] 전설의황제13286 21/08/09 13286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