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8/23 04:38:20
Name MiracleKid
File #1 G2.png (731.2 KB), Download : 49
File #2 오셀롯_트위터.png (35.5 KB), Download : 39
Link #1 https://twitter.com/CarlosR
Subject [LOL] 롤드컵 LEC 대표 3팀이 모두 확정되었고 (수정됨)




G2의 창단 및 LEC 참가 이래 롤드컵 개근 기록이 무너졌습니다.



16시즌 LEC (당시 LCS EU) 참가 이후

16 롤드컵 조별리그 1승 5패 탈락
17 롤드컵 조별리그 3승 3패 탈락
18 롤드컵 4강
19 롤드컵 준우승
20 롤드컵 4강
21 롤드컵 진출 실패


그리고 오셀롯은 트위터로 프나틱에게 축하를 전하며 리빌딩을 예고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azymind
21/08/23 04:47
수정 아이콘
스코어는 2:3이지만 5경기내내 프나틱이 던져주는거 받아먹는거말고는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원래도 프나틱은 시종일관 던져대는 팀이지만 리그의 다른팀들은 프나틱상대로 가만히 입만벌리고 기다리진 않아요.
팀적으로도 최악이었고 탑바텀폼은 멸망, 그 와중에 상대가 손쉽게 1인분하게되는 트페를 4번이나 그대로 줘서
캡스 존재감도 스스로 지워버리는 밴픽까지.
털재앙 넬재앙, 북미로 보내야할 원더, 터키로 돌아가야할 터키엑스 , 어느순간 승객밖에 못하는 레클레스
그나마 얀노인과 캡스가 뭐 하려고 했지만 그것도 걍 뭐하려고 해본거지 잘하지도 못했어요.
김연아
21/08/23 11:37
수정 아이콘
그래도 얀노인 리신은 잘 했죠. 마지막 경기에서 리신 먼저 가져오지....
반니스텔루이
21/08/23 04:48
수정 아이콘
G2 진짜 카이팅 오지네.. T1이 복수할 기회를 안주네
미소속의슬픔
21/08/23 11:16
수정 아이콘
이걸크크크크
방과후티타임
21/08/23 14:03
수정 아이콘
?!!
사이퍼
21/08/23 04:51
수정 아이콘
레클리스도 위대한 선수중 한 명인데 말년이 진짜 추하게 되버렸네요.
내년에 명예회복이 될지
티모대위
21/08/23 05:05
수정 아이콘
레클레스도 참... G2 흔들흔들할때 혼자 운전대 잡나했는데 결국에는....
프나틱 남아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안들수가 없을 듯.. 프렌차이즈 스타 자리 박차고 나온건데..
다시마두장
21/08/23 05:49
수정 아이콘
그러게 말예요. 오직 롤드컵 우승 가능성 하나만 보고 다 포기하고 나온건데 우승은 커녕 진출도...
랜슬롯
21/08/23 05:09
수정 아이콘
If you cant win them, join them. 이길수 없다면 합류해라 라는 어디서 본 명언이 기억나는데, 레클레스 입장에서보면 참 크크. 인생은 가까이서보면 비극이고 멀리서보면 희극이라는 말이 기억나네요. 이길수없어서 자존심 다 버렷가면서 라이벌팀으로 이적했는데 본인이 속해있던 팀에게 져서 롤드컵 못간다니..

뭐 솔직히 말해서 너무 아쉬워할건 없는거같습니다. 냉정하게 말하면 질만해서 졌거든요. 프나틱이 약빤거처럼 엄청 미친 경기력을 보여줬냐? 하면 그거도 아니였거든요. 실수도 많이하고 던지기도 하고 그랬는데 밴픽 인게임 모두 왕창 망했고 프나틱의 던지는 부분들을 받아먹지도 못했죠.

대놓고 트페만 하는데 밴도 안하고, 4경기 스코어로 앞서는데 베인픽. 이건 뭐… 할말않할.. 아무튼 그림 자체가 너무 웃기긴합니다. 차라리 다른 팀한테 떨어지면 모를까 친정팀한테 탈락이라니 크크
블레싱
21/08/23 09:26
수정 아이콘
피넛 1승 추가
쿼터파운더치즈
21/08/23 05:14
수정 아이콘
와.....3경기까지 보고 어쩔수없이 잤는데
G2탈락이라니........
와..
공항아저씨
21/08/23 05:27
수정 아이콘
캡스 중심 리빌딩에 탑정글바텀 싹 다 갈릴 것 같은데 얀코스는 살아남으면 좋겠네요.. 그저 팬심뿐인 마음이지만..
탑바텀은 g2라는 이름에 걸맞지않습니다. 레클레스 이름값도 이젠 더블리프트보다 낮아보여요.
YsoSerious
21/08/23 05:49
수정 아이콘
와 미친
4강 - 준우승 - 4강
진짜 커리어 환상적이구먼
누가 보면 리그 커리어인줄 알겠어
21/08/23 09:21
수정 아이콘
3연속 4강이상은 15~17의 천외천에 가까운 T1제하고 유일한 기록이긴 하죠
라쿤맨
21/08/23 06: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토마토가 이렇게 월즈에 오는군요. 과연 샌박이 전 감독을 만나러 올수 있을까요
오늘 브위포는 포변의 이유를 확실하게 보여줬습니다. 얀노인/캡스 상대로 니스키 데리고 잘 했어요.
사실 이 팀이 가장 미라클 런에 가까운 팀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제일 밑에서 시작해서 3:2로 3번 승리하고 월즈 확정...
버거킹맘터
21/08/23 06: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으로 레클레스와 같은 이적행보를 안좋아해서 기분 좋은 결과네요 크크크
21/08/23 06:41
수정 아이콘
G2도 크게 변하겠네요..
다니 세바요스
21/08/23 07:24
수정 아이콘
레클레스는 참.. 오로지 월즈 우승만 바라보고 지투로 왔는데 우승은 커녕 월즈도 못가네요. 그것도 친정팀인 프나틱에게 패해서 탈락이라니 뭐 사실 이제 레클레스도 덮립 처럼 쓸쓸히 커리어 마감하는 수순이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21/08/23 08:34
수정 아이콘
원더가 월즈 올 자격이 안 됐습니다. 아담이 아직 영향력 펼치는 것 까진 몰라도 확실히 체급은 높은 반면 원더는 대놓고 탑게임 메타가 오니깐 더 이상 체급이 받쳐주질 못하더군요. 아담도 아직 완성형은 아니지만 빈, 브리드, 알레 같은 선수들도 경험치 먹어가며 팀게임 적응했던것처럼 좋은 활약 보여주길 바랍니다.
21/08/23 08:41
수정 아이콘
마지막 경기 밖에 못봤는데 초반에 솔로킬 내놓고 바로 텔타고 오는 상대한테 죽어주는건 이게 자낳대 보는건지 LEC 인지 눈을 의심했습니다.
더치커피
21/08/23 13:22
수정 아이콘
아담은 신인인가요?
허저비
21/08/23 08:43
수정 아이콘
칸이 그렇게 불렀고 T1도 젠지도 갚아줄게 있는데 기어이 "응 너네 개못하잖아" 시전...
아마도악마가
21/08/23 08:49
수정 아이콘
업셋이 롤드컵을 다 오네요 뭔가 묘한 기분 크크
Bronx Bombers
21/08/23 08:53
수정 아이콘
한 시대를 호령한 팀이 이렇게 하락세를.....

물론 LEC 전체적인 입장에서는 호재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솔직히 19~20 G2 보면서 저긴 롤드컵 우승때문에 리그의 모든 자원을 한 팀에 영혼까지 다 끌어 모았구나 싶은지라. 리그 생태계에는 장기적으로는 악영향일 거 같았거든요.
에바 그린
21/08/23 12:56
수정 아이콘
아니죠. G2가 있었기에 지금 LEC가 있는겁니다.

리그 흥행적인 면으로만 봐도, 18월즈에서 유럽의 분전으로 오른 유럽팬들의 기대감을 19 MSI 우승 및 월즈 우승 직전까지 가면서 리그팬들의 자부심을 채워줬고, LEC의 부흥기를 이끌었다고 봐야죠.

저만 해도 지투라는 슈퍼팀의 탄생이 LEC를 보게 된 계기이구요.

그리고 지투라는 아웃라이어 1명이 있었기때문에 리그의 레벨도 올랐다고 봐요. 지투가 갑자기 못해서 그냥 지투만 내려온게 아니라 다른팀들이 지투한테 맞아가면서 각자 지투를 꺾기위해 발전했죠. 그리고 그 결과가 올해 나오는중이라고 봅니다.

다른팀들이 강해졌다고 하기엔 지투 탑,서폿이 못해서 지투가 그냥 못해진거 아니야? 하기엔 그건 서머이야기고 스프링때부터 이미 또투,또나틱은 사라지고 NEW ERA의 시대로 접어들었죠.
황금경 엘드리치
21/08/23 15:19
수정 아이콘
저도 리그의 레벨은 아웃라이어가 올린다는데 동의합니다.
이른취침
21/08/23 16:13
수정 아이콘
맞아요. 우리 KBO의 흥행도 2008년 베이징올림픽이 기폭제였죠.
아이폰텐
21/08/23 17:11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아웃라이어가 리그의 흥행을 이끌고 리그가 흥행하면 전체의 수준이 오르죠
승률대폭상승!
21/08/23 08:57
수정 아이콘
레클레스)롤드컵.... 우승하러 왔다고....
빛폭탄
21/08/23 09:05
수정 아이콘
3경기보고 화딱지나서 잤는데 프나틱이 이겼어요? 크크
21/08/23 09:09
수정 아이콘
프나틱이 대단하네요 선수 다 뺏기고 기대치 엄청 낮은 시즌이었던거 같은데..
블래스트 도저
21/08/23 09:19
수정 아이콘
[정글 브위포] 될때 시즌 망하나 싶었죠
고스트
21/08/23 09:37
수정 아이콘
LEC는 한 시대의 끝을 보는 것 같아서 좀 밍숭맹숭하네요.
공항아저씨
21/08/23 09:50
수정 아이콘
매드라이온즈 때문에 아마 희망찰 것 같아요. 이팀은 진짜 달라보였습니다
21/08/23 09:41
수정 아이콘
G2 vs MAD전에서 3,4세트 다른 픽 살아있는데 굳이 얀코스 비에고 선픽해서 질 때도 답답했었는데, 어제 4연트페는 진짜 레전드였습니다. 선수들 폼도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그냥 더 잘할 수 있는 팀을 밴픽으로 스스로 망쳤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프나틱은 최종 단두대 매치에서 다리우스를 꺼내질 않나, 서폿 4밴당하니 파이크를 꺼내지 않나 등등 인게임도 인게임이지만 밴픽에서부터 앞서나갔다고 봅니다. 특히 2세트 끝나고 서폿 4밴을 당한 상황에서 힐교수의 3세트 파이크 퍼포먼스는 진짜 레전드 강의였습니다
묵리이장
21/08/23 09:43
수정 아이콘
저쪽은 전령 8분에 안모이니까 신기하긴 하더군요
21/08/23 09:46
수정 아이콘
토마토캐논 롤드컵 진출 축하합니다
밀크카밀
21/08/23 09:54
수정 아이콘
아이고..레클레스야...
예킨야
21/08/23 10:16
수정 아이콘
맨날 q 빗나간다고 놀렸던 얀코스가 다른 선수들보다 더 열심히 폼 유지를 한 느낌이었어요. 슬프다...
레클은 폼 다 죽고 마지막 발악같은 선택이 실패한거라.. 사실 프나틱 남아있었으면 업셋이랑 레클 폼 비교해볼때 자기가 발목 잡았을겁니다.
중국쪽도 비슷한 상황이 있는데,
그 스네이크 시절을 다 버티고 드디어 탈출한 플랑드레가 LNG랑 만났고.. 이건 지면 좀 가슴아플것 같네요.
더치커피
21/08/23 13:24
수정 아이콘
케넨 5인궁 풀히트시키고도 진 플랑드레니뮤 ㅠㅠ
21/08/23 10:43
수정 아이콘
레클레스 보니 진짜... 인생이란 무엇인가...
AdolChristin
21/08/23 10:53
수정 아이콘
원더는 뭐 라인전 단계에서 2데스는 기본으로 박고 시작하네요
그 시즌 끝났으니까 와우나 실컷 하시길
당근케익
21/08/23 11:45
수정 아이콘
원더랑 밴픽 진짜....
니스키 트페로 막고 있는데 뭐하고 있냐고~
시비르랑 베인픽은 또 뭔데
김하성MLB20홈런
21/08/23 11:48
수정 아이콘
레클레스 아주 나이스~~~ 크크크크
21/08/23 12:27
수정 아이콘
브위포가 진짜 재능입니다.
이 뽀글이 정글도는거랑 갱 성공하는거보면 재능러 맞아요 크크크
담담펀치를땅땅
21/08/23 13:54
수정 아이콘
아니 섬머 직전에 팀 와르르 무너지는 느낌이었는데!?
뷔포 정글은 웃음벨이었고
결말이 크크크
그리고 5세트 기울어질 때 레클레스 심정 상상하기 아찔하네요. 으아아
21/08/23 15:58
수정 아이콘
레클리스는 진짜 큰결단 해서 G2 갔는데 결과가 이렇게...
21/08/23 16:56
수정 아이콘
이전에 브위포의 정글러로써 경험 부족이 최대 불안 요소라고 말했는데 마치 능남을 상대하던 강백호처럼 상대팀에게도 불안 요소였습니다. 시즌 막판에 렝가 꺼내는 거 보면서 이젠 꺼낼 수 있는 챔프가 바닥을 드러냈구나 하고 포기 했었는데 플옵을 거치면서 챔프폭이 계속 늘어나고 있고 플레이의 디테일도 계속 발전하고 있어요. 전에는 힐리생이 만들어주는 판에서 잘 노는 모습이었는데 어제는 구도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초반 설계부터 얀코스를 압도하더군요. 매드가 msi 다녀오면 엄청나게 발전할 거라 생각했는데 프나틱도 롤드컵 팀들과 계속 스크림을 하면 의외의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갖게 합니다. 그리고 업셋은 무조건 라인전을 리드하면서 한타에선 죽지 않고 딜링 머신이 되어야 하는 말도 안되는 역할을 부여 받았는데 끝까지 잘 수행하면서 롤드컵 갈 자격이 있다는 걸 증명했습니다. 승리의 1등 공신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453 [오버워치] [OWL] 카운트다운 컵 1주차 리뷰 [13] Riina8491 22/09/27 8491 4
75399 [LOL] G2의 CEO 오셀롯이 큰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50] 이거쓰려고가입20002 22/09/18 20002 0
75358 [오버워치] [OWL] 어게인 2021 - 상하이, 댈러스 우승! [14] Riina8573 22/09/13 8573 0
75344 [LOL] [LEC] 로그가 G2를 3:0으로 이기고 유럽 정상에 올랐습니다. [65] Silver Scrapes19495 22/09/12 19495 1
74618 [LOL] 데프트가 거쳐간 팀에서의 데프트 기록 [15] Leeka9068 22/06/27 9068 5
74510 [오버워치] [OWL] 조금 늦은 킥오프 클래시 토너먼트 리뷰 [6] Riina5561 22/06/09 5561 2
74495 [오버워치] 서울 다이너스티, 창단 5년만에 타이틀 획득 [13] ELESIS8459 22/06/05 8459 7
74300 [오버워치] [OWL/HOU] 내일, 그리고 2주 뒤 개막하는 오버워치 리그 [8] Riina7584 22/05/05 7584 1
74230 [LOL] 돌아온 스프링의 제왕 [18] 묻고 더블로 가!9130 22/04/23 9130 1
74161 동남아 PCS리그 이변 발생 [12] 아롱이다롱이5443 22/04/14 5443 0
74137 [LOL] 지투 부산행 확정 기념, 티원과 지투의 상관관계는? [13] Leeka6458 22/04/11 6458 5
73963 [LOL] 프레딧 브리온 수고했어요. [45] League of Legend10062 22/03/23 10062 16
73959 [LOL] 지난 2년간 담원의 5전제 전적 [68] 니시노 나나세11069 22/03/22 11069 1
73934 [LOL] 엄티,라바.. 첫 플레이오프 진출!! - 브리온의 자력 진출과 남은 경우의 수 [125] Leeka15234 22/03/19 15234 5
73933 [LOL] 세상의 모든 부정을 타파한 프레딧 브리온 [82] TAEYEON11210 22/03/19 11210 15
73317 [LOL] 농심 레드포스 대표의 글 [18] ELESIS13773 21/12/19 13773 6
73204 [기타] 'e스포츠 세제 혜택'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21] 아롱이다롱이9762 21/12/03 9762 5
72858 [기타] [R6]레인보우 식스 시즈 스웨덴 메이저가 시작됩니다 [2] Riina9168 21/11/08 9168 2
72465 [LOL] 업커머 롤드컵 파워랭킹 코멘트 번역 + LPL,LEC등 추가 [13] Dango13910 21/09/29 13910 0
72122 [LOL] LPL 최고의 근본팀은? [38] 니시노 나나세15248 21/08/23 15248 0
72111 [LOL] 롤드컵 LEC 대표 3팀이 모두 확정되었고 [48] MiracleKid18189 21/08/23 18189 0
71955 [오버워치] [OWL] 카운트다운 컵 예선 1주차 리뷰 [11] Riina14026 21/08/04 14026 2
71942 [LOL] 사과문을 올린 울프 [284] carpedieem26095 21/08/01 26095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