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11/12 23:51:28
Name Leeka
Subject [LOL] 한국인들의 국제대회 우승/준우승 커리어 (수정됨)

* 외국인 빼고 한국인만

* 순서는 월즈 우승 > MSI 우승 > 월즈 준우승 > MSI 준우승 순서로

* 해당 대회에서 '라이엇 스킨 제작 규정' 을 준수하는 출전 경기수 달성시 포함함
(17년까진 1경기만 나오면 / 18년부턴 바뀐 규정 준수시)



- TOP


Duke : 월즈 2회 우승 / MSI 1회 우승

CuVee : 월즈 1회 우승, 1회 준우승

Impact / Marin : 월즈 1회 우승 / MSI 1회 준우승

Looper / TheShy / GimGoon / Nuguri / Kingen : 월즈 1회 우승

Huni : 월즈 1회 준우승 / MSI 1회 우승

Khan : 월즈 1회 준우승 / MSI 2회 준우승

Zeus : 월즈 1회 준우승 / MSI 1회 준우승

Shy / Smeb : 월즈 1회 준우승



- JGL

Bengi : 월즈 3회 우승 / MSI 1회 준우승

Blank : 월즈 1회 우승, 1회 준우승 / MSI 1회 우승

Canyon : 월즈 1회 우승, 1회 준우승 / MSI 1회 준우승

Ambition : 월즈 1회 우승, 1회 준우승

Dandy / Haru / Pyosik / Juhan : 월즈 1회 우승

Peanut : 월즈 1회 준우승 / MSI 1회 우승, 1회 준우승

Oner : 월즈 1회 준우승

CloudTempler / InSec / Hojin : 월즈 1회 준우승


- MID

Faker : 월즈 3회 우승, 2회 준우승 / MSI 2회 우승, 2회 준우승

PawN : 월즈 1회 우승 / MSI 1회 우승

ShowMaker : 월즈 1회 우승, 1회 준우승 / MSI 1회 준우승

Crown : 월즈 1회 우승, 1회 준우승

Easyhoon : 월즈 1회 우승 / MSI 1회 준우승

Rookie / Doinb / Scout / Zeka : 월즈 1회 우승

RapidStar / Kuro : 월즈 1회 준우승

Bdd : MSI 1회 준우승


- BOT


Bang : 월즈 2회 우승, 1회 준우승 / MSI 2회 우승, 1회 준우승

Deft : 월즈 1회 우승 / MSI 1회 우승

Ghost : 월즈 1회 우승, 1회 준우승 / MSI 1회 준우승

Ruler : 월즈 1회 우승, 1회 준우승

Piglet / Imp / Viper : 월즈 1회 우승

PraY / Gumayusi : 월즈 1회 준우승 / MSI 1회 준우승

Woong  : 월즈 1회 준우승


- SPT

Wolf : 월즈 2회 우승, 1회 준우승 / MSI 2회 우승, 1회 준우승

BeryL : 월즈 2회 우승, 1회 준우승 / MSI 1회 준우승

CoreJJ : 월즈 1회 우승, 1회 준우승 / MSI 1회 준우승

PoohMandu / Mata : 월즈 1회 우승

GorillA / Keria : 월즈 1회 준우승 / MSI 1회 준우승

Madlife / Zero / Wraith  : 월즈 1회 준우승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aphomet G
22/11/12 23:56
수정 아이콘
블랭크가 2017 MSI에 출전했었나요? 아니라면 벵기의 2016 MSI처럼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다면 커리어에 기입해선 안될거 같은데.

롤판이 얼마나 지속될진 모르겠지만 갈수록 국제대회 다회 우승의 평가는 올라갈 것 같네요. 매년 국제대회 한번 우승하기도 얼마나 힘든지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오는걸 보면... 아직 롤판이 프라임타임과 롱런에 대한 구분을 안하고 애매하게 평가해서 그런 면도 있는 것 같고.
22/11/12 23:58
수정 아이콘
수정전에 보신거 같은.. 안나와서 수정되었습니다. (칸 므시 준우승 누락 추가와 블랭크 MSI 기록 하나씩 변경...)
이거쓰려고가입
22/11/13 03:44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연속 우승은 커녕 2회 우승자도 SKT 멤버를 제외하면 베릴 혼자뿐이죠. SKT 멤버들이 자주 언급했던 내용인데 정점을 찍는 것보다 그걸 유지하는게 더 어렵다고들 하더라구요.
멍멍이개
22/11/13 14:43
수정 아이콘
정점을 한번 찍는 것 보다 두번 찍는게 더 어려운 건 당연한 일이긴 합니다..
Baphomet G
22/11/13 15: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17-18 시절 롱주-킹존 감독인 강동훈 이야기만 들어봐도 드러나죠. 국제대회 우승 팀 중에서 RNG, G2, 가장 최근엔 담원까지도 연속해서 우승을 못한 것도 그렇고... 고점에서 계속 이어나가는 것의 난이도를 사람들이 너무 만만하게 보는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말도 안되게 하드한 부분인데 뭔가 SKT 말고는 이걸 성공한 팀이나 선수가 거의 없다시피 하다보니, 체감하기에 비교군이 없어서 더 그런 것도 있는 듯. 예전 므시 직후 일정에 대해서 티원팬들의 불만과 이에 공감하지 못하는 롤판 여론과 비슷한 느낌이라고 봅니다. 담원이 비슷한 일을 겪고 나서야 티원 일정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지경이었으니. 그래서 아직 베릴이 롱런이라는 측면에서 마타보다 갈길이 먼데도(딱 반정도죠) 바로 역체폿 공인되는 여론을 보면 인지부조화가 오는 점도 있습니다. 물론 이건 또 시간 지나고보면 평가가 어떻게 될지 모르는 부분이긴 합니다만.
그냥사람
22/11/13 00:04
수정 아이콘
제카 빠뜨리셨습니다!
22/11/13 00:05
수정 아이콘
헉... 이런 실수를.. 추가했어요~
No.99 AaronJudge
22/11/13 00:31
수정 아이콘
페이커는 정말…

월즈 다시 먹어본 미드도 페이커 빼고는 없다는거 생각하면
롤드컵 우승이라는 그 최고의 경지는 정말 운과 실력이 다 따라줘야하는것같아요
22/11/13 00:47
수정 아이콘
캐니언 페이커 베릴은 역대 포지션 최고라고 해도 되겠어요
클로로 루실후르
22/11/13 01:25
수정 아이콘
페이커는 당연히 그렇긴한데
캐니언 베릴은 팬심이 담겨야 가능하지 않을까요.?
마라탕
22/11/13 01:33
수정 아이콘
캐년은 아직 여지가 있다지만 베릴은 팬심 별로 안 담겨도 서포터 포지션 역대 최고 맞지 않나요? 마타라고 해도 그럴 수는 있겠지만 베릴을 역체폿으로 두는데 팬심까지 필요할 건 없어 보여요
고오스
22/11/13 08:28
수정 아이콘
베릴은 꼴지팀 가서 월즈 우승했으니 역체폿 맞죠

반박시 꼴지팀 가서 서포터로 우승시켜 보든가 라고 하면 아무도 말 못합니다

이건 베릴만 가지고 있는 업적이니까요

캐년은 마음속에선 넘버1 정글러인데 정글신 벵기가 워낙 압도적이어서 아직은 역대 최고라고 하긴 어렵거요
22/11/13 09:28
수정 아이콘
베릴은 역체폿 확정했죠
삼화야젠지야
22/11/13 10:31
수정 아이콘
저는 마타팬인데 역체폿은 베릴 쪽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헝그르르
22/11/13 16: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 마타는 라이엇이 천지개벽 수준으로 저격해서 역체폿에서 내려왔다고 봐서 베릴보다 못한건 없다고 봅니다.
그땐 마타의 장점만 콕찝어서 저격한거라 그런면에서 마타가 더 역체폿에 가까울지도..
그때는 그냥 비교라는게 무의미할 정도의 원탑 서폿이였다고 봐서 그때의 마타의 영향력에 베릴을 비비는게 마타에게 미안할정도라고 봅니다.
사다하루
22/11/13 01:34
수정 아이콘
페이커가 미드라서 역대 최고가 될 수 없는 타 미드들...ㅠㅠ
22/11/13 05:50
수정 아이콘
듀크만 봐도 단순히 롤드컵 우승 횟수로 역체를 논할 수 없다는걸 알 수 있죠.

역체를 논하는데 롤드컵 우승 경력은 필수라고 생각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닙니다.
고오스
22/11/13 08:30
수정 아이콘
월즈 우승은 역체 라인에 들어가기 위한 예선이고 그 후가 본선인 느낌입니다

실력이 아무리 좋아도 기인처럼 타이틀이 없다시피하면 역체 라인에는 못 들어가고,

월즈 우승이 있는 선수 중에서 횟수가 아니라 실력, 기여도로 역체가 나오겠죠
22/11/13 09:50
수정 아이콘
정확한 말씀이십니다.
Baphomet G
22/11/13 15:59
수정 아이콘
듀크는 한번은 그냥 서브 중에서도 비중이 거의 없는 서브여서 2회라도 다른 2회 선수들과 동렬에 놓긴 어렵죠. 그와 별개로 커리어 only로만 역체든 세체든 가리는 건 타당하지 않는거야 뭐 당연한거고.
모아찐
22/11/13 10:20
수정 아이콘
오너 msi 준우승 1회 추가 부탁드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046 [LOL] 2022 Summer 정규 바텀 밴픽 [3] 로크8325 22/11/15 8325 0
76045 [LOL] 구마유시 개인방송 썰 요약 모음 [85] Leeka18027 22/11/15 18027 4
76044 [LOL] 데프트피셜 억제기 한대 남았을때 신이 나를 버렸구나 생각했다 [27] insane13118 22/11/15 13118 8
76043 [LOL] 데프트) 쵸비랑 케리아가 롤드컵 내내 내 방에 놀러왔다. 외 데프트 썰 모음 [33] Leeka15072 22/11/15 15072 16
76042 [LOL] 킹겐피셜 쏭감독이 애틀란타에서 뽑은 포춘쿠키 부정탈까봐.jpg [23] insane10215 22/11/15 10215 5
76041 [LOL] 하나은행 × T1 아마대회 총상금 4400만원.jpg [5] insane9925 22/11/15 9925 0
76040 [LOL] 데프트는 모든 소속팀에서 롤드컵을 갔고, 4개의 팀에 트로피를 선물했다. [12] Leeka10312 22/11/15 10312 1
76039 [LOL] 칼바람 대규모 패치 예고 [70] Leeka13496 22/11/15 13496 2
76038 [LOL] 동서양 메이저 리그의 격차가 얼마나 벌어졌는지 알 수 있는 기록 [36] 묻고 더블로 가!13846 22/11/15 13846 3
76037 [모바일] [몰루 아카이브] 11/15(화) 업데이트 상세 안내 [11] 캬옹쉬바나8540 22/11/14 8540 0
76036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11/15(화) 업데이트 점검 및 패치노트 안내 [1] 캬옹쉬바나8395 22/11/14 8395 0
76035 [LOL] 베릴이 9월에 말한 롤 메타 이야기 [32] Leeka15986 22/11/14 15986 5
76034 [LOL] [룰러팬튜브] farewell 기념 영상 레전드 [2] 삼화야젠지야9562 22/11/14 9562 1
76033 [LOL] 골드를 향한 꺾이지 않는 마음 [42] 트래11874 22/11/14 11874 8
76032 [LOL] 데프트의 라스트 댄스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65] 자아이드베르13732 22/11/14 13732 7
76031 [기타] 역사가 반복되는 시프트업의 니케, 버그 그리고 핵의 강림 [53] Nerion12071 22/11/14 12071 5
76030 [기타] 아무도 안써서 써보는 배틀그라운드 세계대회 [19] 1029819 22/11/14 9819 4
76029 [LOL] 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 - 선수단 및 일정 공개 [12] 비오는풍경10608 22/11/14 10608 1
76028 [LOL] DRX 롤드컵 우승 기념 야구점퍼 판매 시작 [33] Leeka12497 22/11/14 12497 0
76025 [LOL] 큰거왔다 T1 폴트 작별 [51] Valorant15998 22/11/14 15998 1
76024 [기타] [격겜] 대류.. 어린게 최고다 2 [9]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034 22/11/14 10034 1
76021 [LOL] 윤민섭기자 : 많은 팀들이 지갑을 닫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138] Lazymind20103 22/11/13 20103 1
76020 [LOL] 이적시장 찌라시~ 롤마노의 시간이 왔습니다. [60] 본좌18342 22/11/13 18342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