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6/20 18:09:59
Name 자아이드베르
File #1 20230620_174542.jpg (65.3 KB), Download : 493
Subject [스타1] [추억] 저그 유저의 로망, 투신 박성준


일단 저는 저그 유저였음을 밝혀둡니다.

제가 스타를 처음 시작했을 때 저그 유저들의 상황은

처참했습니다. 단 한 명의 개인리그 우승자도 없었죠.

유일한 희망이었던 폭풍 저그 홍진호 선수도 결승만 가면

패배하여 슬픔을 이루 말할 수가 없었습니다.

진짜 이 종족으로는 우승할 수 없나? 라고 의구심을 품게 될

즈음에 혜성같이 등장해 저그 유저들의 숙원를 풀어준 선수가

바로 이 싸인의 주인공, 투신 박성준 선수입니다.

04 질레트배 OSL을 시작으로, 05 ever배 우승 그리고

제가 이 싸인을 받은 시점에는 전성기에서 내려왔다고

평가받던 2008년 즈음이었어요.

마읍읍, 이제동 선수 등 내로라하는 저그 프로 선수들이

많이 등장했었지만, 저는 저그의 암흑기를 뚫어내고

첫 광명을 찾게 해준 박성준 선수를 여전히 응원하고 있었습니다.

(롤드컵에서 LCK 암흑기를 이겨내고 우승을 차지한 담원을 응원하게 된 건 어찌보면 제게 필연이었을 수도 있겠네요 크크)

당시 대 공군전을 3:0으로 이기고, 용산 이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싸인을 받으려고 대기하다가 박성준 선수를 만났습니다.

그는 흔쾌히 싸인을 해주었고, 이번 스타리그에서 꼭

우승해달라고 부탁했죠. 그리고 3개월 후에 도재욱 선수를

이기고 진짜로 우승 후 골든마우스를 획득했습니다.

저는 05, 08년도 우승을 직관했었는데 이 맛을 못 잊어서

아직도 이스포츠를 보고, 응원하고 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6/20 18:13
수정 아이콘
질레트배 대단했죠... 유튜브서 4강 다시봐도 재밌더라고요
자아이드베르
23/06/20 18: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상대가 당시 최강 포스 최연성 선수였죠. 아직도 기억에 남는 명경기입니다.
대구머짱이
23/06/21 11:12
수정 아이콘
실질적인 스코어는 5대0이라는 그 시리즈..
천혜향
23/06/20 18:24
수정 아이콘
itv랭킹전을 보고 나서 본게 질레트배라서 더 놀라웠던거 같아요.
무적의 원배럭더블을 그냥 박살내버림
자아이드베르
23/06/20 18:52
수정 아이콘
당시 테란 유저들이 너무 미웠습니다 크크 역대 본좌 라인에 테란 유저들이 즐비했으니...
김연아
23/06/20 19:16
수정 아이콘
플토유저이자 플토빠가 저그선수의 팬이 되어버렸어요
자아이드베르
23/06/20 20:02
수정 아이콘
저그의 첫 우승이었지만, 박성준 선수의 화끈한 스타일은 정말이지 팬들을 열광케했습니다.
데몬헌터
23/06/20 19:27
수정 아이콘
이때를 기점으로 저그에게 환호했고, 그 녀석 떄 전율을 느끼고,이제동 어윤수선수가 결승에서 연거푸 지는걸 보고 아쉬움을 삼키고, 어윤수 선수가 마침내 월즈를 먹는걸 보고 오열하고, 세랄이 저그로서 스타판의 최강자가 될 때 뭐라 말하기 어려운 혼돈의 감정을 느꼈습니다
그게 벌써 20년이 되는군요.
자아이드베르
23/06/20 20:03
수정 아이콘
그 녀석 크크 그 사건만 없었더라면 정말 임요환의 뒤를 잇는 스타계의 아이콘이 되었을 수도 있었을텐데 아쉽습니다.
Life's Too Short
23/06/20 20:35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 최고로 좋아하던 선수입니다
할수있습니다
23/06/20 20:44
수정 아이콘
ITV랭킹전으로 입문해서 빠져들었죠. 케스파1위 장기집권까지. 팀 뎁스가 조금만 더 좋았다면 당시기준 MSL에서도 좋은성적 얻지 않았을까 아쉬웠어요.
자아이드베르
23/06/20 21:24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좀 더 빨리 강팀에 갔더라면 더 장수할 수 있었을텐데요. 물론 전 POS-엠겜 시절에 소년가장 느낌도 좋았지만요.
딱총새우
23/06/20 23:53
수정 아이콘
최초의 테란을 때려잡는 저그로 기억합니다.
지탄다 에루
23/06/21 00:39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는 초기 등장 때 포스도 정말 대단했지만
기량이 떨어진 후반기에도 토스전의 승률이 너무 엄청났고 그게 정말 멋졌던 기억이 납니다.
롱런하던 선수들이 프로리그 세대들에게 점점 밀려나던 시기, 마지막 스타일리스트 같은 모습이었어서 로망이 있었던 것 같아요.
자아이드베르
23/06/21 01:41
수정 아이콘
정말 스타일리쉬했죠. 말씀하신대로 기량이 떨어진 시점조차도 토스전은 엄청나서 결승전에서 도재욱 선수를 울리고 말았죠...
스파이도그
23/06/21 01:13
수정 아이콘
정말 좋아하는 선수중하나...

투신박성준 닉네임도 너무 잘 어울리죠
청운지몽
23/06/21 05:13
수정 아이콘
치즈러쉬오니깐 드론러쉬로 맞받아친적도 있지 않나요?

화끈함이 참 매력적인 선수로 기억에 있네요
자아이드베르
23/06/21 10:09
수정 아이콘
제 기억이 맞다면 스니커즈배 이윤열전이었던 거 같은데, 엄청났죠. 타이밍상 앞마당에서 막아보려 했으면 10에 9는 졌을겁니다. 참으로 박성준 선수다운 과감한 발상이어서 중계진도 무척 즐거워했죠.
청운지몽
23/06/21 12:39
수정 아이콘
아 이벤트대회였었죠!
그리고 우승자가 그때 홍진호였나요 아마 크크
자아이드베르
23/06/24 19:18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크크 이벤트전의 황신!
제가LA에있을때
23/06/21 08:21
수정 아이콘
4강 마지막 경기를 마치고나서
저그가!!! 이야!!! 하면서 소리지르던 중계진이 생각나네요.
자아이드베르
23/06/21 10:09
수정 아이콘
엄옹의 목소리가 여기까지 들려오는 것 같습니다 크크
제가LA에있을때
23/06/21 08:22
수정 아이콘
아직도 유튜브에서 질레트 4강이나 08에버 결승을 봅니다. 속이 시원해요
자아이드베르
23/06/21 10:10
수정 아이콘
저도 오랜만에 옛 경기를 좀 들춰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갑자기 땡기네요.
지구 최후의 밤
23/06/21 09:22
수정 아이콘
08 우승이 진짜 감동적이었죠.
하지만 입벌린 김택용이 제 기억을 오염시켜서 그 장면만 떠오릅니다 ㅠ
자아이드베르
23/06/21 10:10
수정 아이콘
크크 떠올려버렸습니다...
23/06/21 09:49
수정 아이콘
저한테는 '호감 있는 선수가 종족이 저그인 경우'와 '저그 플레이가 멋진 선수'가 조금 다른 의미인데, 전자가 김준영 선수고 후자가 박성준 선수네요. 박성준 선수의 저그는 무척 멋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아이드베르
23/06/21 10:12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으로 가장 저그스럽게 플레이한 선수를 2명 꼽자면 홍진호 선수와 박성준 선수를 꼽고 싶습니다. 김준영 선수의 결승전 서사도 너무 멋졌죠. 우승하고 아버님과 포옹하는 그 장면은 이스포츠 손꼽히는 명장면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지구 최후의 밤
23/06/21 11:54
수정 아이콘
5세트는 진짜 명경기였죠.
엄옹의 주옥같은 멘트도 함께 떠오르네요
자아이드베르
23/06/24 19:18
수정 아이콘
대인이... 대인이 되야합니다!
23/06/21 09:56
수정 아이콘
‘왜냐하면 투신이기 때문에’

그 감동은 영원히 기억할 것 같습니다
자아이드베르
23/06/21 10:13
수정 아이콘
크 선수로서 가장 영광스럽고 탐나는 호칭이 아닌가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469 [TFT] 갓 시즌에서 간 시즌이 될 뻔했던 TFT 시즌 9 (핫픽스 적용됨) [17] BitSae14604 23/06/30 14604 0
77468 [PC] 요즘 트렌드(?)인 출시 연기를 정면으로 돌파한 게임 [16] João de Deus14397 23/06/30 14397 3
77467 [LOL] 클리드는 어느 정도의 죄인가? [92] 류지나24633 23/06/29 24633 40
77466 [뉴스] [이슈] 감사원, 게임물관리위원회 비위 의혹 '사실'로 확인 [11] 졸업11483 23/06/29 11483 6
77465 [뉴스] 게임위 "레드 데드 리뎀션, '한국어판'으로 심사했다" [7] 졸업10911 23/06/29 10911 2
77464 [콘솔] 플스 스토어 피파 23 75% 할인 (20,750원 [8] SAS Tony Parker 11273 23/06/29 11273 1
77463 [LOL] 한화생명 2군 정글 Grizzly 선수의 LCK데뷔를 축하합니다. [42] 밤수서폿세주20587 23/06/28 20587 3
77462 [LOL] 클리드 피해자 분들의 2차 폭로 [263] Leeka26446 23/06/28 26446 1
77461 [LOL] 쉐도우 코퍼레이션 클리드선수 관련 입장문 [166] 카루오스22300 23/06/28 22300 0
77460 [기타] 국내 정상급 보컬리스트와 파판14의 음원 콜라보 [4] 이츠키쇼난9918 23/06/28 9918 0
77459 [LOL] 13.12 패치 LPL & LCS & LCK CL 1페이즈 밴 통계 [5] 전설의용사14846 23/06/28 14846 0
77458 [디아블로] 악몽 던전으로 순간이동 추가 [40] CV14292 23/06/28 14292 3
77457 [기타] 하베스트 문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은근 많은 게임 [4] gfreeman9811049 23/06/27 11049 1
77456 [모바일] 제노니아 크로노 블레이크 후기: 또니지 또이크 [20] 만찐두빵11355 23/06/27 11355 4
77455 [모바일] 1~2년정도 원신 플레이 후기 [31] 아따따뚜르겐14744 23/06/27 14744 4
77454 [모바일] 흑우가 써보는 가챠겜 게이머의 마인드 [78] 류지나14607 23/06/27 14607 14
77453 [PC] 최근에 했던 게임들의 평가입니다. - 사후 지원 위주로 [16] 리테14879 23/06/27 14879 2
77452 [LOL] 클리드 관련 미성년자 코스어 폭로 추가 [205] Leeka33900 23/06/27 33900 6
77451 [기타] 같은 가격이면 누가 사? 선불 게임과 후불 게임 [21] 알커피10903 23/06/27 10903 0
77450 [모바일] 미호요는 정말 유저들에게 필요 이상의 호의를 받는 걸까? [222] 니하트15645 23/06/27 15645 4
77448 [LOL] 새벽에 HLE에 터진 폭탄 [132] 삭제됨23025 23/06/27 23025 0
77447 [모바일] [몰루 아카이브] 6/27(화) 업데이트 상세 안내 [13] 캬옹쉬바나9772 23/06/27 9772 1
77446 [기타] [유희왕] 분기 결산, 미친 역대급 황금 분기 [8] 티아라멘츠11659 23/06/27 1165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