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12/01 21:41:05
Name 아롱이다롱이
File #1 캡처_vert_vert.jpg (965.6 KB), Download : 15
Subject [LOL] [LJL] 일본리그의 pcs 편입여파? 시작된 일본인 선수들의 은퇴러쉬 (수정됨)


# 센고쿠 게이밍 주전 서폿 "엔티" 가 선수은퇴 및 스트리머로의 전향을 발표
# 펜넬 주전 정글러 "하차메차" 가 선수은퇴를 발표
# 센고쿠 세이밍 탑 "에구토" 가 lol 선수활동을 중지하고 발로란트 선수로의 전향을 발표


ljl의 pcs리그에의 편입여파인지는 알 수 없으나 오늘 각각의 선수들이 자신의 개인 X계정(트위터)을 통해 발표한 내용이며
위 소식들로 인해 일본 X(트위터)와 lol 커뮤니티는 초상집이나 다를 바 없는 분위기 인 듯 합니다
근데 만약 저 3명의 선수들의 발표가 끝이 아니라 시작인거면...
에비나 유타폰도 일본의 한 방송에서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듯한 뉘앙스의 발언을 했었어서 참..

다음시즌 플레이오프에서 ljl팀들이 pcs팀들 상대로 선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희망이 보이긴 하겠지만
lco(호주/오세아니아리그) 마냥 플옵 1라운드에서 광탈하는 결과로 나온다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12/01 21:43
수정 아이콘
PCS편입이 된 경우 리그진행을 어디서 하나요?결국 어느 무대에 서긴해야할텐데 그게 일본이 아니라면 일본선수들 입장에선 굳이 더 남아있을 이유가 없기도 하겠네요
오타니
23/12/01 21:45
수정 아이콘
일본정규리그를 지금처럼 일본팀간 일본에서 하고
플옵만 한 장소(올해는 아마도 대만)에서 연합해서 하는거예요.
23/12/01 21:46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PCS라던가 통합된 리그를 아예 본적이 없어서 처음 알았네요
아롱이다롱이
23/12/01 21:49
수정 아이콘
ljl의 경우 기존과 같이 정규리그는 일본에서 진행하고 상위 3팀이 pcs플레이오프에 합류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내년 일본정규리그도 온라인으로 진행되는것이 유력합니다
다만 일본과 호주팀들이 합류하는 pcs플레이오프가 어디서 진행이 되는지는 아직 알 수가 없네요
23/12/01 23:14
수정 아이콘
작년에는 다 타이페이로 넘어왔습니다만, 올해는 어케될지 모르겠습니다.
다람쥐룰루
23/12/01 21:46
수정 아이콘
LJL이 보는 재미가 있긴 합니다만...팀 운영한다고 생각하면 깝깝하겠더라구요
23/12/01 21:47
수정 아이콘
이게 pcs랑 ljl랑 물리적인 거리가 좀 있다보니 영향이 있을수밖에 없는것같아요. 리그 자체의 경쟁력도 PCS쪽이 우위에있고
오타니
23/12/01 21:48
수정 아이콘
3개리그의 통합플옵만 (미니)롤드컵처럼 한장소에서 하는거죠.
일본이 선전하면, 플옵도 일본에서 하겠죠.(그러나.. 그럴일이 있을지)
23/12/01 21:50
수정 아이콘
사실 리그 문제보다 핵심이 그거죠. 결국 경쟁력 문제로 pcs쪽에 힘이 실릴수밖에 없는데 ljl이랑 물리적 거리가 상당하니까 선수들한테는 그거 만으로도 영향이 가는거죠 어쩔수 없는것같습니다..
묘이 미나
23/12/01 21:53
수정 아이콘
일본내 LOL 인기 생각하면 리그 유지돼는게 신기할정도니 .....현실적인 선택이네요 .
23/12/01 21:56
수정 아이콘
리그 경쟁력이 너무 많이 떨어지나보네요...
Bronx Bombers
23/12/01 22:13
수정 아이콘
한국 농구나 배구랑 비슷한데 리그를 이끌어가는 선수들이 죄다 용병, 까놓고 말해 한국인입니다. 에비가 95년생 유타폰이 96년생인데 이 둘을 뛰어넘는 로컬 선수가 없어요......이런 곳에서는 리그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죠.
ioi(아이오아이)
23/12/01 22:08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 버틴 게 용한 거죠
23/12/01 22:09
수정 아이콘
애초에 일섭이 베트남,중국,한국인 제외하면 순수 일본인 플레이어가 얼마나 될까 생각하면 너무 리그가 게이머 규모에 비해 컸어요
문문문무
23/12/01 22:15
수정 아이콘
발로란트랑 에펙만이라도 좀 잘해봐라
Bronx Bombers
23/12/01 22:16
수정 아이콘
발로란트도 요즘 일본쪽 실적이 별로라던데.....
참 일본같은 부자 나라가 잘 해줘야 자본도 들어오고 할텐데요
문문문무
23/12/01 22:36
수정 아이콘
안타깝네요 일본만큼 큰시장과 이슈메이커가 없을텐데
아롱이다롱이
23/12/01 22:25
수정 아이콘
일본 내 인기는 여전한듯 한데.. 그 인기만큼 국제대회 성적과 이어지질 않는다고 해야하나
일본인만으로 구성된 발로란트팀 제타가 국제대회 4강에 한번 올라 간 이후로는 한국팀들보다 성적이 좋질 못해서
인기, 시청자수, 게임을 즐기는 유저수 등 여러 조건등을 감안하면 한국팀들 보다 못하면 안되는
문문문무
23/12/01 22:27
수정 아이콘
이스포츠를 왤케 못하는지 모르겠어요 정책,플랫폼탓하기엔 발 로에펙씬이 한국보다 못하다고 가슴에 손을얹고 말할수있을런지 ...
데몬헌터
23/12/02 09:30
수정 아이콘
이스포츠 전력을 스파6으로 대표되는 콘솔에 몰빵할 수 밖에 없는 국가 환경이니까요.
닌텐도로 대표되는 대형 게임 선순환구조 포기할래 글로벌 이스포츠 시장 포기할래에서 일본은 후자를 택한거죠. 스파는 전자를 포기하지 않아도 얻는게 가능해서 살아남은 거고용
botframework
23/12/01 22:55
수정 아이콘
마이너리그가 꾸준히 통폐합 되고있는데
월즈 진행방식이랑 참가팀 배분을 어떻게 할지도 고민이 되겠네요
오타니
23/12/01 23:00
수정 아이콘
아마도 내후년엔 플옵을 같이 하는 형태의 권역이 확대되지 않을까요?
퍼시픽리그 PCS + VCS
아메리칸리그 (LCS) + LLA + CBLOL
botframework
23/12/02 10:48
수정 아이콘
플옵 권역이 확대되면 월즈 플레이 인을 꼭 해야 하는건지 의문이 들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월즈 플레이인은 구조적인면에선 정말 재미가 없었다고 생각해서요.
플인을 할거면 마이너 지역에 더 오픈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지금시점에선
확장성을 가진 마이너지역이 CBLOL 정도뿐이라 그것도 문제고요.
23/12/02 00:56
수정 아이콘
리그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결국 기반이 필요한데 일본에는 이게 절대적으로 부족한지라 차츰차츰 힘들어질 것 같습니다. LCK와 LPL을 뺀 나머지 아시아를 그냥 통째로 합쳐서 LEC와 EM의 형식으로 개편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될 수도..
Capernaum
23/12/02 02:03
수정 아이콘
일본리그도 활성화되고

일본 잘 하면 한중일 볼만 할텐데 아쉽
23/12/03 23:00
수정 아이콘
담원을 상대로 에비가 우르곳으로 승리직전 까지 같던 경기가 생각나네요. 아쉽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215 [LOL] 24스프링 결승 예상 [55] 끝판대장9683 24/03/12 9683 2
79214 [LOL] 흥미진진해지는 남은 정규시즌 및 플레이오프 [45] 랜슬롯9305 24/03/12 9305 4
79207 [LOL] LCK 역사상 펜타킬 횟수 TOP3 선수들 [36] Leeka7625 24/03/11 7625 3
79192 [LOL] 완벽한 판독기로 진화한 한화생명 [130] Leeka15177 24/03/06 15177 3
79131 [발로란트] 2023년 T1을 되돌아보는 다큐가 공개됐습니다. [11] 유나결5872 24/02/20 5872 1
79130 [LOL] 너구리랑 큐베가 분석하는 lck 탑라이너 [117] 한입11665 24/02/20 11665 4
79126 [LOL] 스프링 최종 성적 예상 및 한줄평 [108] 잘생김용현10656 24/02/19 10656 2
79111 [LOL] 목요일 경기 후기 [73] TAEYEON14704 24/02/15 14704 3
79092 [LOL] 24lck 스프링 연휴 휴식기에 쓰는 주저리주저리 [89] 1등급 저지방 우유12160 24/02/08 12160 4
79046 [LOL] 젠지(쵸비) vs 딮기(쇼메이커) 젠지의 매치 11연승 달성 [61] Leeka12661 24/01/27 12661 1
79045 [LOL] 퍼팩트 선수에 대한 소고. [72] 펠릭스13524 24/01/27 13524 7
79035 [뉴스] 일부 팀-사무국 갈등… ‘내우’에 빠진 LCK [42] EnergyFlow10125 24/01/24 10125 0
79021 [LOL] 리그오브레전드 로스터 [84] 닉바꾸기힘들다12715 24/01/20 12715 1
79015 [LOL] 티젠전 동시시청자수 111만 돌파 [213] Leeka17579 24/01/17 17579 2
79011 [LOL] 너구리와 함께하는 2024 스프링 프리뷰 [16] 한입9561 24/01/17 9561 3
78993 [LOL] 롤 역사상 난제중 하나 [121] Tinun12640 24/01/11 12640 1
78989 [LOL] 2024 스프링 미디어데이 우승 예측 + (기존 예측 포함 [41] Leeka9660 24/01/10 9660 1
78940 [LOL] 클템의 찍어 2023LCK스토브리그! [24] TAEYEON10903 23/12/31 10903 0
78933 [LOL] KT 로스터 구성에 있어 데프트가 큰 역할을 했군요 [43] 수퍼카15368 23/12/27 15368 16
78929 [LOL] 젠지 디스코드에 아놀드 허의 새 사과문이 올라온 모양입니다. [137] 14646 23/12/26 14646 0
78924 [LOL] 고스트 장용준 은퇴 [76] 다시마두장16689 23/12/23 16689 6
78910 [LOL] 이 와중에 난리난 젠지 [247] 다크서클팬더24728 23/12/20 24728 5
78890 [LOL] 라스칼 "영입 오퍼 들어왔는데 DRX 잔류했다" + 주한 인스타 [11] GOAT12416 23/12/16 1241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