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4/06/10 04:04:52
Name Kaestro
File #1 프로필1.jpg (462.4 KB), Download : 1811
File #2 프로필2.jpg (459.5 KB), Download : 1812
Link #1 https://kaestro.github.io/%EA%B2%8C%EC%9E%84%EC%9D%B4%EC%95%BC%EA%B8%B0/2024/06/10/%EC%8A%A4%ED%8C%8C6-%EC%BA%90%EB%A6%AD%ED%84%B0-%EC%84%A0%ED%83%9D-%EA%B0%80%EC%9D%B4%EB%93%9C.html
Subject [콘솔] 스파 6 캐릭터 선택 가이드 - 모던 캐릭터 11개 플레이해본 경험을 중심으로




[저자 소개]

저는 스파6의 월드 투어를 시작으로 아무것도 모른 상태로 격투 게임에 입문한 상태에서 모던으로 현재 약 10개의 캐릭터를 플레이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최근 캐릭터 선택 및 어떻게 입문하면 좋을지에 대한 질문을 종종 보게 돼 제 경험을 기반으로 캐릭터 선택 가이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류 다이아 3는 쌩배로 배치가 너무 잘 나온거라 무시하시면 되고 제 실력은 주력 캐릭을 열심히 하면 플레3을 무난히 찍을 수는 있는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플레 3는 약 상위 30% 내의 유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캐릭터 선택 기준]

제 글의 예상 독자는 스파6에 입문하고자 하지만 격투 게임을 얼마 접하지 않아 선택의 기준이 잡혀있지 않고, 이 때문에 캐릭터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만약 기존에 격투게임을 플레이해본 경험이 충분해 이미 캐릭터를 선택하는 기준이 명확하신 분이라면 저보다 실력이 출중하셔서 본 글이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니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가이드는 이를 해소하고자 우선 캐릭터 선택기준부터 설명하겠습니다.

1. 대공 능력
2. 모으기 유무
3. 어시스트 콤보 성능
4. 공격 루트의 다양함
5. 무적기 유무

[대공 능력]

2d 격투 게임인 스트리트 파이터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y축을 컨트롤하는 능력입니다. 상대가 점프를 통해 진입하는 것을 허용할 경우 불리한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이 기본적인 문법인 게임이고 이를 걷어내기 위해 보통 ‘승룡권’과 같이 대공 무적기 중에서 상대를 차단하는 능력이 좋은지 여부를 통해 캐릭터의 성능을 판단합니다.

대표적인 대공 성능이 좋은 캐릭터에는 루크, 류, 릴리, 주리, 캐미 등이 있습니다.

[모으기 유무]

모으기는 스킬을 사용하기 전에 특정 방향으로 레버를 누른 뒤에 입력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격투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았던 필자는 이 조작법이 부자연스럽고 어렵다 느껴져 모으기 캐릭터를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저는 모으기 캐릭터를 추천하지 않습니다. 모으기 캐릭터들에는 디제이, 가일, 블랑카 등이 있습니다.

[어시스트 콤보 성능]

모던을 플레이하신다는 가정 하에 어시스트 콤보가 어느 정도 성능을 보여주는가는 모던 캐릭터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 중 하나입니다. 저희가 연습 수십시간 해서 콤보 쓸거면 모던 안하고 클래식 하지 않겠습니까.

어시스트 콤보 성능에는 후상황이 좋은 것, 히트확인을 해주는 것, 간단한 손컨만도 못한 것과 같은 것으로 나누어 성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공격 루트의 다양함]

모던의 경우 게임 플레이를 심플하게 해 준 대신 많은 공격 루트를 삭제했기 때문에 그러고 나서 공격의 다양함이 없으면 게임을 수비적으로 해야하고, 기본기인 스텝을 잘 밟고 상대를 파악해서 심리적 우위를 기반으로 게임을 진행해야 합니다. 초보 입장에서는 그러기 힘드니 그냥 공격 루트가 다양한 캐릭터들에서 스킬 바꿔가면서 쓰면 상대가 당황할 수 있는 캐릭이 쉽고 셉니다.

대표적으로는 고우키, 캐미, 켄, 킴벌리, 라시드와 같은 캐릭터들이 다양한 공격 루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무적기 유무]

스트리트 파이터 6에서 무적기의 유무 차이는 상대와의 가위바위보에서 승리할 수 있는 강력한 카드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무적기가 있는 캐릭터는 상대의 공격을 무력화시키고 공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에게 무서운 압박을 줄 수 있습니다. 무적기가 있는 캐릭터에는 류, 주리, 켄, 캐미 등이 있습니다.

[5점 만점을 기준으로한 모던 캐릭터 선택 가이드]

고우키(5/5)

강력한 대공기, 강력한 어시스트 콤보, 다양한 공격 루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공중 파동권을 통한 공중 장악 능력이 있어 더욱 강력한 캐릭터라 생각합니다.

캐미(4.5/5)

캐논 스파이크라는 전진성이 강력한 대공기, 히트확인 + 상대를 다운시키는 어시스트 콤보 1의 존재 때문에 그냥 어시스트 콤보/잡기 두가지만 써도 점수가 오르는 기적을 보여주는 캐미입니다. 여기에 더해 스파이럴이 있어 장풍 캐릭터들을 이를 봉인하고 플레이할 경우 상대는 게임 내내 끊임없는 압박에 시달리게 됩니다.

켄(4.5/5)

클래식한 성능 + 전진성이 강한 스킬 구성 및 리스크 대비 리턴이 큰 캐릭터라 소위 켄x병자들을 양산하고 다닙니다. 다만 어시스트 콤보 성능은 좀 아쉽다 느껴질 때가 많았습니다. 밸런스 좋은 캐릭터

주리(4/5)

이 게임에서 가장 스피디한 캐릭터 중 하나로 전진성이 어마어마한 대공기를 갖췄고, 공중 장악 능력이 훌륭한 캐릭터입니다. 문제라면 sa2를 쓰실 일이 없을겁니다.

라시드(4/5)

이 게임에서 가장 스피디한 캐릭터 중 하나(2)입니다. 설치형 sa2인 이우사르를 쓸 일은 생각보다 어려워서 없었고, 상대도 정신없고 나도 정신 없습니다. 보통 그러면 스킬을 조금이라도 아는 내가 유리하더군요.

마리사(3.5/5)

쉬워보이는데 대공능력이 워낙 나쁘고, 캐릭터가 단순하다고 어시스트 콤보 성능에도 하자가 있다는 느낌입니다. 굳이 비유하자면 롤의 가렌처럼 캐릭 자체는 엄청 쉽지만 플레이는 어려운 계통의 캐릭터입니다. 저는 벽을 좀 일찍 느꼈습니다.

킴벌리(3.5/5)

다 좋은데 무적기가 없습니다.

루크(3/5)

너프 전에는 모든 캐릭 상대로 상성이 무난하다는 이론적 강점 때문에 사랑받았는데 너프를 너무 세게 받아서 굳이 해야되나 싶네요. 제 성능 내려면 콤보 연습도 저스트로 따로 해야하는데 프로들도 종종 드랍낼 정도의 난이도라서 저는 루크 하느 켄/고우키가 낫다 생각합니다.

에드(2.5/5)

종합 성능은 꽤나 나쁘지 않은데 모던으로 넘어오면서 짜른게 너무 많고, 기본 대공기 전진성이 없어서 딸깍 대공이 약합니다. 모던의 최대 강점 중 하나를 잃어버렸는데 딱히 얻은게 없어서 연습 많이하면 세겠지만 굳이 싶네요.

단, 캐릭터 플레이하면 신납니다

류(2/5)

켄에서 스킬 빼고 데미지 올려주면 류인데, 그 데미지 올린걸 활용하려면 모던도 콤보연습을 많이 해야합니다. 어시스트 콤보가 엉망이라서. 켄 하세요

JP(1/5)

기본 조작이 너무 어려워서 전 못하겠더군요. 상황별로 다른 장풍을 커맨드 입력으로 총 10가지 이상 쓸 줄 알아야하는데 이럴거면 모던 하는 의미가 있나 싶었습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제 경험을 바탕으로한 모던 캐릭터 선택 가이드를 마치겠습니다. 이 가이드가 새로운 캐릭터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모나크모나크
24/06/10 08:53
수정 아이콘
루크가 너프를 꽤 받았나보네요. 루크 성토가 밈 수준이었는데 한때는.. 시즌2 캐릭도 영 별로라 에드나 함 해볼까 싶습니다. 에드 좀 멋지더라고요.
24/06/10 08:57
수정 아이콘
너프를 크게 한 게 체감되는게 랭매에 그냥 루크가 안보이는 수준입니다
에드는 강승룡으로 대공 칠수 있으면 사실 꽤 좋아보이는데 제가 그럴 능력이 안돼서...
왜 모던에 약승룡 넣어준지 모르겠더군요
24/06/10 12:23
수정 아이콘
에드는 강승룡으로 대공 치는게 불가능한 캐릭입니다. 대공은 무조건 약승룡이에요. 참공 파동권 대응으로 중승룡을 가끔 쓰긴 합니다만....그냥 사용량 자체가 압도적으로 약승룡입니다.
한가을밤의꿈
24/06/10 08:59
수정 아이콘
너프된 루크로 마랭 1650까지 찍어봤는데 초보가 모던으로 굴리기는 아직 괜찬습니다.

앉중펀리치가 짧아졌지만 그래도 일반캐릭보다 강력하고 앉중펀과 앉강펀 콤보보정치 너프가 가장 치명적이지만 초보는 OD너클-DDT가 강력해져서 저스트 콤보 안써도 됩니다
24/06/10 09:09
수정 아이콘
이건 제가 패치를 못 따라간 영향이 큰가보네요. 원래 그 콤보는 못써먹을 수준이었는데 말이죠

저는 그런데 루크가 비추하는 이유 중 하나가 공격루트가 너무 단조로워서 기본기로 플레이하는 경향이 세서인데 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한가을밤의꿈
24/06/10 10:10
수정 아이콘
입문하는분들한테 거리조절이나 앉중발 러시 콤보라던가 앉중펀퍼카 콤보를 하라는건 말이 안되니까 결국 스트리트파이터의 기본인 파동승룡을 써야할건데요
루크 샌드블라스트가 탄속이 빨라서 초보단계에서는 대응이 힘들겁니다
그러면 결국 뛰게 되는데 그걸 딸깍승룡으로 격추해야죠 콤보와 운영은 천천히 익혀도 되지만 트레이닝에서 점프보고 딸깍승룡 연습만 해도 승률이 좋을거 같습니다
레이오네
24/06/10 10:01
수정 아이콘
커뮤니티나 일본 등지 보면 모던 에드 추천도가 높은 편인데 의외군요... 어시콤 위주로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들 하시던데

개인적으론 5에서 에드 메인이다가 6에서 너무 스타일이 달라져서 쉬운 애 찾다가 모던 장기에프가 상당히 잘 맞아서 1600 초반대까지 찍어봐서 모던 장기에프 추천하고 있습니다. 특히 버프도 되서 더욱 강력해졌고요(장기에프 핵심 견제기인 중발류가 없긴 하지만)
24/06/10 10:32
수정 아이콘
저도 사실 모던 장기가 꽤나 좋아보여서 조만간 해보긴 할 생각입니다

에드는 제 플레이 스타일 때문일수도 있지만 모던에서 역가드를 낼수있는 공중 기본기도 없고 해서 어시콤은 강한데 기회 잡는게 너무 힘들고 단조롭더라구요

대공 능력이 나머지 캐릭과 비교해서 떨어지는 것도 한 몫 하구요
24/06/10 12:33
수정 아이콘
에드 모던 점프 중기본기가 역가드입니다. 댓글을 보니까 좀 잘못 이해하고 계신게 에드는 기본적으로 대공이 굉장히 어려운 캐릭터고 모던에서 좋은 캐릭터 취급받는게 딸깍으로 대공이 되니까에요. 예를 들어서 약사이코어퍼->블리츠 이어지는게 클래식이라면 사실상 그냥 불가능합니다. 특히나 승룡류 커맨드는 끌어치는게 기본이다보니

오직 약어퍼만 대공에 활용할수있고 중은 간혹 참공파동권 대응으로 강은 오직 콤보용이라 대공의 비율이 99:1을 넘는 수준으로 약만 사용합니다.

에드 자체가 워낙에 어려운 캐릭터라 사실 초보자한테 추천하기는 좀 애매한데 그래도 모던빨로 초보자가 하려면 충분히 할만하고 스킬 구성도 괜찮은 축에 속합니다. 물론 높은 MR로 갈수록 앉아약발,점프중발이 짤린게 아쉽긴한데 당장 지난 주말에 타치카와가 모던에드로 좋은 활약 보여주듯 결국 뭐 하기 나름이죠.
24/06/10 14:11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에드가 어렵긴 한데 그걸 제가 초보자라 이해를 잘못한 부분이 많나보네요
초보자 시선에서 틀린 내용 쓰는 것도 귀엽게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절대 제가 다른 캐릭들이랑 다르게 에드 혼자 승률이 4할대가 나와서 그러는건 맞습니다
24/06/10 10:39
수정 아이콘
처음 도전해보고 있는데 생각보다 조이스틱 컨트롤이 어렵더라구요(오토키?)
글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장기에프만 만나면 장기 털리는데 크크크
24/06/10 14:13
수정 아이콘
저는 사실 게임을 아예 패드로 시작했어서 상관은 없는데, 위에 있는 말처럼 모던으로 쓰면 장기는 나름 장점이 있는 것 같더라구요.
아무래도 제가 플레이한 캐릭 위주로 쓰다보니 설명이 모자라긴 한데 저도 랭매에서 장기만 만나면 골이 아프고 장기가 털립니다 크크
안군시대
24/06/10 16:31
수정 아이콘
초보가 운영하기엔 너무 어렵고 완전 똥캐같지만,
고수 만나면 진짜 사기캐도 이런 사기캐가 없는 장기에프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716 [LOL] 무신사 LCK 스폰서 합류 [4] SAS Tony Parker 4135 24/06/12 4135 1
79715 [LOL] 2025 LOL 이스포츠 APAC 지역 개편안 [3] BitSae2362 24/06/12 2362 1
79714 [LOL] 전세계 리그 대격변인건 잘 알겠다. 그러면 2025 LCK는 어떻게 되는건데? [65] Karmotrine4634 24/06/12 4634 4
79713 [LOL] 북미 남미리그에 대격변이 일어났습니다. [17] 매번같은6317 24/06/12 6317 1
79712 [LOL] 2025 시즌 롤 대회 대격변 공개 [45] Leeka5621 24/06/12 5621 4
79711 [LOL] 아케인 시즌2 티저 예고편 [9] SAS Tony Parker 2436 24/06/12 2436 2
79710 [디아블로] 디아4 시즌4 잘 즐기고 계신가요? (시즌4 소개) [41] TAEYEON3804 24/06/11 3804 1
79709 [LOL] DRX, 라스칼 제외 전원 재계약 [21] BitSae5612 24/06/11 5612 0
79708 [LOL] 24 LCK SPRING HYPE MOMENTS [14] 껌정2131 24/06/11 2131 2
79707 [모바일] [블루 아카이브] 6/11 업데이트 안내 [15] 캬옹쉬바나2738 24/06/11 2738 1
79706 [발로란트] 젠지가 퍼시픽 최초로 국제전에서 우승합니다 [31] 말레우스5970 24/06/10 5970 8
79705 [LOL] 라이엇 롤 IP 총괄이 디도스에 대해 트윗을 남겼습니다 [59] Leeka11855 24/06/10 11855 2
79704 [LOL] 피어엑스 폭스 1군 로스터 발표, 랩터 1군 승격, 윌러 2군 강등 [23] 반니스텔루이6745 24/06/10 6745 0
79703 [LOL] 형편없는 MSI 다큐멘터리. [186] 임의드랍쉽15019 24/06/10 15019 72
79702 [콘솔] 스파 6 캐릭터 선택 가이드 - 모던 캐릭터 11개 플레이해본 경험을 중심으로 [13] Kaestro3473 24/06/10 3473 2
79701 [기타] 나의 마음을 돌린 게임트레일러 best 3 [23] 꿈꾸는드래곤3932 24/06/09 3932 1
79700 [기타] '비싸다'는 기준은 어떻게 정해지는가 (feat.온라인게임) [14] 한입3156 24/06/09 3156 7
79699 [발로란트] 젠지가 지구최초로 라이엇 시리즈 석권가능할까요. [108] 김삼관7032 24/06/09 7032 1
79698 [기타] '비싸다' 는 기준은 어떻게 정해지는가 (feat. 패키지게임) [40] 한입6272 24/06/09 6272 8
79697 [LOL] [LPL] 탑라이너들의 탈주 경보(FPX, OMG) [11] 동동맘절밴4955 24/06/09 4955 1
79696 [LOL] 하노이 호텔에서 여성을 살해한 남성이 미드라이너 야하롱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68] 밤수서폿세주10498 24/06/09 10498 2
79694 [LOL] [LPL] 로스터 교체 이후 분위기가 심상찮은 팀 [16] 비오는풍경7500 24/06/08 7500 1
79693 [LOL] T1 스트리밍 무기한 중단 [77] 리니어11078 24/06/08 11078 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