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4/06/26 12:10:10
Name Leeka
Subject [LOL] 더샤이의 탑 에어컨론과 그걸 들은 킹겐 (수정됨)
바오란 : (구마유시의 원딜 계란론 설명)


더샤이 : 그럼 탑라이너는 에어컨이다.
있고 없고 큰 차이는 없지만 있으면 삶의 질이 더 좋아진다.
특히 더울때는(아마 힘들때 비유하는듯) 더더욱 좋음


----------

(더샤이의 탑라이너 에어컨 론을 듣고)

킹겐:  팀체급에 따라 다름.
강팀 대 강팀에선 탑차이로 게임을 끝낼 수 있음
하지만 팀 전력차가 나면 탑캐리로 못이김.
팀 전력 차이나도 캐리로 이길수 있는건 미드라인.

강팀 대 강팀은 오브젝트 싸움에서 갈리는 경우가 많고 오브젝트 싸움에 탑 영향력이 높은것같다.
사이드 관리, 한타 각 관리도 탑이 하게되서 이런 중요한 순간에 탑차이 낼 수 있음.
+ (덧붙여)  우리 팀은 탑캐리가 가능하다 말씀드리고싶다.


---------------


재미있는 말들이긴 했는데 듣다보니 어 맞는말 같은데?..
싶은 생각이 드는 멘트가...

실제로 최근 5꽉 시리즈들에선 탑 차이로 끝난 시리즈들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드리아나
24/06/26 12:15
수정 아이콘
기인형 그동안 어떤 싸움을ㅠㅠ
피를마시는새
24/06/26 12:17
수정 아이콘
킹겐보다는 기인에 한표
화자가 중요한 걸 다시 한번 깨닫게 되는 글
24/06/26 12:20
수정 아이콘
구마, 원딜 계란론 말고 에어컨론 이라는걸 또 만들어 냈나봐요?
계란론은 진짜 그럴싸 했는데
녀름의끝
24/06/26 13:26
수정 아이콘
글쓴 분이 잘못 옮긴거에요
첫 문장의 원딜 에어컨론을 원딜 계란론으로 바꿔 읽으시면 되요
24/06/26 13:37
수정 아이콘
엇 계란론인데 잘못 적은.... 수정했습니당
개념은?
24/06/26 12:22
수정 아이콘
그냥 갑자기 궁금한건데... 기인이 못한적이 있나요??
젠지 들어가기전에 기인에 대한 평가가 저점이 높다, 기복이 거의 없다, 고점이 최고점은 아니다(이건 젠지에서 멍멍이 소리로 이미 증명했고) 였던것 같은데...

예를들면 제우스 같은 경우는 고점이야 최고수준이지만, 저점이 가끔(특히 결승에서) 너무 낮게 뜨는게 단점이라고 보는데, 기인은 그런 경우는 별로 없었던것 같아서요. 기복이 거의 없는데 고점도 최고수준이다가 정설인거죠 이제?
24/06/26 12:35
수정 아이콘
기인은 평가가 항상 잘하는 선수긴 하지만 선수 성향이 리스크를 감수하려는 플레이보다는 안정적인걸 선호하기에 도란이나 제우스처럼 하위권 탑을 상대로 우주끝까지 벌리는 모습은 잘 안나옵니다. 팀이 전체적으로 이기고 있을때는 이 선수때문에 게임을 그르친다거나 이럴 일은 절대 없지만요. 탑베인을 해도 플레이 자체는 엥간해선 리스크 지는 플레이는 질 안하려고 하더군요.
개념은?
24/06/26 12:4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1등급 저지방 우유
24/06/26 16:59
수정 아이콘
이런 관점을 큐베가
기인은 고점이 낮다 도란보다도...로 해석해버린 유저들때문에 잠깐 시끌벅적 하던때도 있었더랬죠
담담펀치를땅땅
24/06/26 12:35
수정 아이콘
https://namu.wiki/w/%EA%B9%80%EA%B8%B0%EC%9D%B8#s-2.1
김기인 나무위키 기록

저도 2020 쯤에 오락가락 하던 장면 여럿 기억나네요.
2021 가서 바로 회복했지만요.
개념은?
24/06/26 12:44
수정 아이콘
오 감사합니다!
열혈둥이
24/06/26 13:08
수정 아이콘
기인이나 쵸비의 못했다의 기준은
상대를 찍어누르지 못했다. 게임에서 잘 보이지 않았다.

라서 다른 선수들이 터져서 사고친거랑 비교하면 없다고 봐야합니다.
레드빠돌이
24/06/26 13:53
수정 아이콘
한국 국대의 손흥민이죠..
다른 선수만큼 했어? 못 했네 못 했어
Easyname
24/06/26 13:40
수정 아이콘
팬이라서 압니다. 약팀 탑솔러가 이기려고 몸 비틀다 보면 척추 측만증이 안 올 수가 없다는걸...
개념은?
24/06/26 13:54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크
No.99 AaronJudge
24/06/26 16:59
수정 아이콘
통나무 혼자 들다 보니까 죽을라 했던 적은 아프리카 시절 있긴 했는데
이제 젠지에선 그럴 일이 없어서 크크..
김세정
24/06/26 12:24
수정 아이콘
계란론에 비해 촥 감기는맛은 아니네요 크크
24/06/26 12:25
수정 아이콘
강팀과 약팀 싸움은 탑 갈것도 없이 미드/원딜차로 게임이 끝나는데
어느 수준이상 강팀끼리의 대결에서 미드/원딜이 비벼지면 탑차이로 승부가 갈리는 경우가 제법 있더군요.
Rorschach
24/06/26 12:28
수정 아이콘
첫 줄이 잘못된거죠? 흐름상 "계란론"을 듣고 탑은 에어컨이라고 한 것 같네요.
24/06/26 12:38
수정 아이콘
네 저도 바오란이 해준 원딜 계란론 듣고 그럼 탑은 에어컨이라 한걸로 암
수뱍바
24/06/26 12:30
수정 아이콘
탑이 밀리면 운영할때 너무 고통스럽죠
언제 msi인지 기억이 안나는데 티원 rng 경기에서 탑 한번 밀어주니까 게임이 내내 편안하던 크크
근데 미드 바텀이 밀리면 그 운영전에 게임이 가고 있다는게 문제라면 문제려나요
다크템플러
24/06/26 12:35
수정 아이콘
탑은 밴드에서 키보드가 맞죠 흐흐
https://pgrer.net/humor/472874
파비노
24/06/26 17:36
수정 아이콘
다시보니깐 완벽한 qwer이네요. 최상급 미드라이너, 압도적 피지컬을 가진 정글러, 얼굴로 하드캐리하는 원딜러, 정글과 오랜시간 호흡을 맞춰온 서포터 크크 이거 구성부터 성공할수밖에 없는 구성이네요
티아라멘츠
24/06/26 12:41
수정 아이콘
강퀴가 말하길
탑은 라인이 멀어서 턴이 제일 늦게 온다, 미드 바텀 그 다음 맨마지막이 탑이다. 대신 성장 기대치는 탑이 보통 제일 높다
이정도로 설명하더군요.
키모이맨
24/06/26 12:45
수정 아이콘
그놈의 ~~론 크크
종말메이커
24/06/26 12:46
수정 아이콘
에어컨론은 그냥 계란론이랑 똑같은거같은데...
구마유시가 말한게 저거 아닌가요
있으나 없으나 별 상관없다
그런데 있으면 좋다.
특히 라면이 비슷비슷할때 그때 계란이 빛을 발한다.
응 아니야
24/06/26 12:49
수정 아이콘
에어컨이 있고 없고 큰차이가 없다고? 뭔소리여
서귀포스포츠클럽
24/06/26 13:04
수정 아이콘
더샤이 수족냉증이랍니다
로즈엘
24/06/26 12:54
수정 아이콘
에어컨은 필수인데다가 전기세 고려해야되니까 아닌거 같고. 선풍기가 더 적절하기 않을지.
24/06/26 13:02
수정 아이콘
당신은 죽을수도 있습니다?
24/06/26 13:26
수정 아이콘
서로 자기가 속한 팀과 본인의 역할에 대한 차이가 있나보죠 뭐 지향해야 할 롤도 각자 다를 수도 있고.
솔직히 정점을 찍어본 선수들이라 자기확신이 큰 것도 있을테고.
타르튀프
24/06/26 13:35
수정 아이콘
딱히 와 닿는 비유는 아니네요. 에어컨이 필수가 아니라는 것을 이 계절에는 동의를 못하겠어서 크크
무딜링호흡머신
24/06/26 13:43
수정 아이콘
비교대상이 지붕이라면?

집에 에어콘 없기 vs 지붕 없기
24/06/26 13:38
수정 아이콘
에어컨은 인권입니다
24/06/26 13:53
수정 아이콘
에어컨없으면 죽어욧
24/06/26 14:01
수정 아이콘
탑은 케일같은 류가 아니면 탑차이로 인한 승패보단 다른 라인 승패러 갈리는 경우가 많죠. 탑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게임이면 제가 생각나는건 예전 더샤이 케일대 소드 제이스에서 케일이 오히려 결과만 보면 상성 감안할때 찍어 눌렀다고 볼 정도였고 그 게임은 역대급 탑차이로 그리핀이 졌었죠.
닉네임여덟자기억
24/06/26 14:18
수정 아이콘
보통 선픽 탱커로 잠그면 좀 불편해도 그냥저냥 묻어갈 수 있는데, 균형이 깨지기 시작하면 대치 구도에서 상대가 다급해지고 바론 치면서 탑을 부르는 상황이면 좋다 대충 이런 느낌인 것 같네요. 탱커 대신 브루저 뽑아서 강한 타이밍 살릴 수 있으면 탑 차이 낼 수도 있고요.
오후의 홍차
24/06/26 14:21
수정 아이콘
에어컨이 [있고 없고 큰 차이는 없지만]여기서부터 틀렸습니다

여름에 초사이언이 되는거지
사시사철 에어컨의 영향력은 막강하죠 크크
폰독수리
24/06/26 14:22
수정 아이콘
탑뿐 아니라 다 그렇죠 뭐 옛날부터 고만고만한데선 캐리력이 높은데 하드캐리는 어려운게 정글 서폿이고
캐리도 잘하고 하드캐리도 가능한게 미드고
Betelgeuse
24/06/26 14:29
수정 아이콘
음 그러니까 서머때 빛난다는거죠?(아님)
곽한구대리운전
24/06/26 15:00
수정 아이콘
근데 킹겐은.. 
24/06/26 15:07
수정 아이콘
미드정글이 가장 첫 바톤으로 시작되서 원딜까지 이어받는 과정에서
그 양측이 팽팽할 때 그 줄을 당겨주거나 놔버리는게 탑이라고 봅니다.
결국 탑까지 턴이 오기전에 아래에서 균형이 무너지면 탑은 승패와 관련없는 경우도 많아지죠. 간혹 그걸 뒤엎는 경우가 슈퍼플레이구요.
24/06/26 15:24
수정 아이콘
롤드컵 빅게임에서는 탑이 중요합니다. 이 기조가 몇년 됐죠. 왜냐하면 라이엇이 적어도 롤드컵 패치에서만큼은 기를 쓰고 원딜게임을 막거든요.
다람쥐룰루
24/06/26 15:36
수정 아이콘
왕귀라는 표현이 있죠
탑이 이기고 있어도 아래쪽에서는 별로 느낌이 없습니다.
20분 넘어서 바론이 뜨고 5대5로 다 모인 그 순간 알게되는거죠
24/06/26 16:20
수정 아이콘
본문이 많이 생략된 건지는 모르겠는데
비유가 전혀 그럴싸 하지가 않네요

원딜 계란론은 듣고 끄덕끄덕 그럴싸 했는데.
1등급 저지방 우유
24/06/26 16:54
수정 아이콘
클템이 얘기한 그것과 일맥상통하네요
미드가 강하면 플옵이나 그 이상을 바랄 수 있는
체급이 되는데
마지막 방점 그러니까 대권주자가 되려면 탑이 강해야 한다고
러브어clock
24/06/26 16:58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결론은

미드망겜?
StimboIic
24/06/26 18:18
수정 아이콘
에어컨은 없으면 죽어요
딱총새우
24/06/26 22:11
수정 아이콘
썸머의 에어콘!!!
24/06/26 22:30
수정 아이콘
하긴 에어컨은 1년중 여름에만 필요하고 탑캐리도 여름같은 특이한 계절에나 나온단 말이군요
안철수
24/06/27 15:11
수정 아이콘
퍼포먼스 대비 캐리 욕심 제일 부리는 킹겐이 저런말을 한게 유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794 [스타1] (종합) 2024년 상반기 스타크래프트 방송 결산 [1] 김재규열사1177 24/06/29 1177 1
79793 [LOL] 젠지 올해 성적에 따른 역체xx 변화 [45] 잘생김용현3759 24/06/28 3759 1
79792 [LOL] 젠지, 서머 최단시간 기록 갱신과 함께 사우디컵 휴식기 전 전승 달성 [31] Leeka4127 24/06/28 4127 0
79791 [LOL] e스포츠팀 마케팅에서 T1홈그라운드가 가지는 의미 [13] 노틸러스3040 24/06/28 3040 3
79790 [LOL] T1 홈 그라운드의 묘미. 치어리더 대전 [50] SAS Tony Parker 6216 24/06/28 6216 2
79789 [LOL] T1 홈그라운드 관련 E스포츠 공정위 문의 결과 [99] Leeka6777 24/06/28 6777 1
79788 [LOL] 정부, e스포츠 토토 부정적 입장 전달 [26] 종말메이커7177 24/06/28 7177 6
79787 [모바일] 이번 여름은 설산이다.. (명조 1.1업데이트 승소산에서 울렸던 경칩 소리) [22] 대장햄토리2820 24/06/28 2820 0
79786 [스타2] 이스포츠 역사에 남은 짤이 1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2] MiracleKid3964 24/06/28 3964 8
79785 [LOL] 재미로 보는 젠지 경기를 제외한 픽들의 승률 [21] Leeka3737 24/06/27 3737 3
79784 [LOL] EWC 한국어중계 중계진이 확정되었습니다. [70] Rated8205 24/06/26 8205 9
79783 [LOL] 타도 젠지를 잠시나마 꿈꾸게 해준 한화생명. 고생했다 [156] Leeka12612 24/06/26 12612 4
79782 [LOL] 사우디컵 아프리카 뷰잉파티 상세 안내문 [5] 매번같은5557 24/06/26 5557 1
79781 [LOL] SOOP ( 아프리카 tv ) EWC 중계합니다 치지직은 중계 x [25] Rated5230 24/06/26 5230 2
79780 [LOL] 현 시점 기준 사우디컵 우승 배당 & 8강 매치 배당 [15] Leeka5499 24/06/26 5499 0
79779 [LOL] 글로벌 중계진들의 순위 예측 [15] Leeka3455 24/06/26 3455 0
79778 [LOL] 더샤이의 탑 에어컨론과 그걸 들은 킹겐 [51] Leeka5578 24/06/26 5578 0
79777 [PC] 약스포) 엘든 링 DLC 클리어 후기 [16] 김티모2913 24/06/26 2913 2
79776 [LOL] LCK 현 주전 선수들의 내년 샐러리캡 감면 % 정리 [28] Leeka7921 24/06/25 7921 1
79775 [기타] FF7R, 조작감에서 비롯된 불쾌한 경험 [26] 글곰5174 24/06/25 5174 7
79774 [LOL] 지난 10년 간, 스프링 ~ 서머 2주차 구간 최고 승률팀 리스트 [30] Ensis5331 24/06/25 5331 0
79773 [LOL] 젠지 : 지금 시점에서 경계되는 팀이 있다면? [41] Leeka8436 24/06/25 8436 1
79772 [기타] 사우디컵에 초청비는 존재하는가? [21] newness5593 24/06/25 5593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