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0/10/11 13:11:32
Name 이루까라
File #1 삼성87년후덜덜타선.jpg (119.2 KB), Download : 52
Subject [일반] 푸르딩딩 라이온즈는 제겐 운명같은 존재입니다.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전무후무했던 팀타율 .300을 기록했던 팀이 있습니다. 바로 1987년 삼성라이온즈 입니다.
당시 박영길이라는 당대 최고의 타격 조련가가 감독으로 부임했던 그 해에 삼성은 저런 놀라운 기록을 남겼었죠. 어떤 팀도 삼성의 타력을 넘어서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그 때가 제가 처음으로 야구라는 것을 제대로, 그리고 어떤 팀을 응원하면서 보기 시작했던 초등학교 2학년 때입니다. 더불어 저의 슬픈 야구팬 생활이 시작된 때이기도 하구요.

저는 서울에서 태어났고, 30여년이 넘는 지금까지도 서울에서 살고 있는 서울 토박이입니다. 그에 비해 삼성라이온즈는 대구를 연고로 하고 있는 팀이죠. 어쩌면 제가 삼성을 응원할 이유는 없을 수도 있는데요.
제가 삼성, 그것도 2002년 전까지 지지리도 한국시리즈 우승과는 거리가 멀었던 삼성을 응원하게 된 이유는 딱 하나입니다. 저희 아버지 때문입니다.

아버지는 고향이 대구 분이십니다. 대구에서 태어나셨고, 중학생 시절까지 대구에서 사셨습니다.
아버지가 대구에 사시던 시절까지는 아버지 집안이 지역 유지였다고 하네요. 저희 할아버지께서는 땅도 많고 도 많고, 수많은 소작농들을 거느린 지주같은 분이셨답니다.
그런데, 아버지의 형님(아버지는 늦둥이셨습니다.)께서 그 많던 재산을 사업 실패 등으로 날리신 관계로, 아버지는 저희 할아버지, 할머니와 함께 고향을 떠나실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고 중학교 시절부터 서울로 이사와서 공부를 하셨다고 합니다. 그리고 갑자기 바뀐 가난한 환경에서 아버지는 죽기살기로 공부해서 나름대로 언론계에 몸담게 되셨구요.

그래서 인지 저희 아버지는 고향인 대구에 대한 애착이 무척이나 강하셨습니다. 프로야구가 없던 70년대에도 고교야구 보시면서 자신의 출신교도 아닌 '대구상고', '경북고' 등을 응원하시며 야구장에 들락거리셨다네요. (정작 본인은 야구 명문 경동고 출신이심에도 말이죠.)
그런 분이 프로야구가 개막했을때, 그것도 정권에서 나름 의도적으로 지역색을 강화해서 국민들이 야구에 몰입하게 한 시점에 대구 연고인 삼성라이온즈를 응원하지 않았을 리가 만무했을것입니다.
더군다나 82년의 그 명승부 아시죠? (어쩌면 삼성에게는 불운의 시작이었지만....) 그 억울한 삼성의 시리즈 패배는 아버지를 더욱 야구에 집착하게 만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아버지 품에 안겨있던 세 살 때부터 야구를 봤습니다. (뭔지는 몰랐겠지만...) 아직도 잘은 기억이 안나지만 84년, 85년 경에 온 가족, 친척이 모여서 그 촌스러운 푸르딩딩한 유니폼을 입고 있던 라이온즈를 응원했던 장면의 기억이 있습니다. 안타치면 박수치고 홈런치면 환호하고.... 그런 모습이 야구가 뭔지도 모르는 저에게는 '저 푸르딩딩한 옷 입은 사람들이 이기는게 좋은거구나~'라는 무의식을 가져다 주었나봅니다.

그래서 이제 야구 규칙을 어느 정도 알게 되고, 어떻게 점수가 나며 이기고 지는 지를 알게 된 초등학교 2학년때 부터 저는 아버지의 팀인 삼성을 응원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 운명적인(?) 선택은 저를 비운의 팬, 슬픔의 팬, 애증의 팬으로 만들었습니다. 약 15년 가까운 시간동안 말이죠...

그 당시는 해태가 너무 미웠습니다. 삼성이 아무리 시즌에 잘해도(실제 1987년에는 팀타율 3할을 기반으로 전후기리그 모두 1위를 차지했었죠.) 이상하게 한국시리즈만 올라가면 해태에게 기를 못폈습니다. 선동열, 김정수, 문희수, 김성한, 김종모, 김봉연, 이순철, ... 정말 생각하기도 싫은 이름이었죠. 특히 당시 김응룡 해태 감독은 어린 저에겐 어디 없어져 버렸으면 하는 대상이었습니다. 그렇지 않고서는 도저히 삼성이 해태를 뛰어넘지 못할 것만 같았으니까요.

그런 해태를 삼성이 처음으로 뛰어넘은 적이 있었습니다. 바로 1990년입니다. 플레이오프에서 해태에게 3연승하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거죠. 더군다나 몇 년 동안 삼성에겐 넘사벽이었던 선동열을 두들기며 이긴 3연승이기에 너무도 기뻤습니다. 당시 한국시리즈 직행한 LG는 예전 80년대 해태에 비하면 충분히 이길 수 있는 팀일것만 같았거든요.
그런데, 현실은... 아시다시피 4:0의 참혹한 시리즈 스윕이었습니다.

그리고 3년 뒤... 삼성에게 다시한번 기회가 찾아옵니다. 양준혁과 박충식이라는 투타의 핵심 신인이 가세했던 1993년입니다. 정말 삼성은 우승에 한이 맺혔는지 죽기살기로 해태에게 덤볐습니다. 아직도 이름만 떠올리면 가슴이 짠한 박충식 선수는 넘사벽 선동열을 상대하며 15회 완투도 했었죠. 그러나 결국 선동열, 김성한과 혜성처럼 등장한 이종범을 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삼성은 몇 년간의 암흑기로 들어갑니다. 저 역시 그 때부터 삼성에 대한 암흑기라면 암흑기가 시작되었죠.
늘 깨지고 얻어터지는... 그렇다고 다른 야구팬들에게 인기도 없는 삼성을 내가 응원하고 있다는게 너무 싫었습니다.
반에 있는 친구들은 대부분 해태 아니면 LG, 롯데 등을 응원했고, 간간히 빙그레와 OB도 눈에 띄었습니다. 그런데 항상 삼성은 저 혼자였습니다. (특히 해태응원하는 친구들은 저를 무지 싫어했습니다. 이유 역시 제가 해태를 싫어하는 이유와 대동소이한 것 같더군요.)

그래서 저는 나름 결단을 내리고, 응원하는 팀을 옮기려고 무단 애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95년 OB베어스 우승 장면에 감동을 받아서 잠시 OB도 응원해 봤구요.  
친구가 LG팬이라서 같이 응원갔다가 LG의 응원 분위기와 치어리더(응?)가 맘에 들어서 LG응원하며 홈경기에 자주 가기도 했었죠. 그 해 한 1년 정도 LG팬이 되려고 정말 노력했습니다.
그 당시 저는 계속 저 스스로를 세뇌시켰습니다. '나는 서울 사람이니 서울팀을 응원하는게 맞다.', '내가 응원하는 팀의 홈경기를 갈 수 있어야 진짜 팬이다.', '삼성은 늙은 팀이고 LG는 젊은 팀이니 LG가 내가 응원해야 할 팀이다.' 등등... 별의별 합리화를 다 하면서 제 뼈속까지 스며있던 삼성의 파란색을 지우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참 이상한건... LG가 다른 팀과 경기할 때는(특히 해태^^;) LG이기면 너무 좋았는데... LG가 삼성과 경기할 때만큼은, 진짜 응원이 입에서 안나오더군요.
삼성 파란색이 너무 꼴보기 싫은데... 저 푸르딩딩한 촌스러운 옷을 입은 선수들 한 명 한 명이 너무도 꼴보기는 싫었는데... 도저히 LG가 삼성을 상대로 점수를 내는 것이 좋지는 않은 겁니다....
그렇게 LG를 응원하던 1년 동안 항상 삼성과의 경기는 제 마음을 복잡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렇게 1년 가까이 두 팀의 경기때 마다 저 자신을 혹사하다가... 결국......

97년 말에 저는 결국 제 스스로에게 항복해 버렸습니다. 이미 제 뼈속까지 스며든 파란색은 지울 수 없다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 푸르딩딩한 라이온즈가 꼴찌를 하든 1위를 하든... 나는 그들을 응원할 수밖에 없는 운명이라는 체념을 해버렸죠.
그리고 마음이 바뀌었습니다. 이기던 지든 열심히 응원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냥 한 배를 탔다는 생각이라고 해야 할 까요?
그리고 난 97년 플레이오프, 제가 잠시 응원했던 LG와의 플레이오프 혈투 때부터 저는 우승 여부와 관계없이 삼성을 응원해왔습니다.

그리고 돈성파동, 양준혁 트레이드, 이만수 퇴출 등 삼성 구단의 막돼먹은 행동에 분노하긴 했으나, 그냥 그런 부분때문에 운명같은 나의 팀을 버릴 수는 없었기에... 여전히 푸르딩딩한 라이온즈를 응원해 왔습니다.

그리고 2002년 한국시리즈 6차전 마해영 선수의 끝내기홈런에 눈물 흘리며, 첫 우승의 기쁨을 맛보았구요.
2005년과 2006년 두 번의 우승을 통해 여러 번 우승하는 강한 팀을 응원하고 있다는 자부심도 느꼈답니다.






참 신기한건 말이죠. 제가 푸르딩딩 라이온즈를 운명으로 받아들이니, 정말 운명이 되더라구요.

그렇게 간절하게 우승을 바래던 끝에 첫 우승의 감격은 누렸던 2002년은 제 어머니에게서 처음으로 위암이라는 병이 발견되었던 해입니다. 당시 군 복무 중이던 저는 너무 놀랜 나머지 급하게 정량제 긁어모아서 휴가를 내고 병간호를 했는데요. 그 휴가 기간이 삼성의 한국시리즈 기간이었습니다. 그리고 어머니를 간호하던 어려운 마음 가운데 삼성의 드라마티간 한국시리즈 첫 우승은 저를 참 많이 위로해 주었구요.

그리고 그 해 어머니께서 정말 기적적으로 나으셨습니다.
그런데 어머니에게 다시 암이 재발한 해가 바로 2005년이었습니다. 그 해 여름부터 재발하여 결국 그 해 말에 천국으로 이사가셨는데요. 한참 말라가시는 어머니 때문에 힘들었던 그 시기 때 삼성은 가을 시리즈를 치렀고, 그 때 역시 삼성이 우승을 했습니다. 그것도 강팀만이 가능하다는 시리즈 4:0스윕으로 말이죠. (두산팬에겐 죄송합니다. ^^;)

어머니 돌아가신 직후 맞았던 2006년은 제겐 너무도 힘든 시간이었습니다. 어머니를 제대로 간호하지 못했던, 어렸을때부터 속을 썩혀드렸던 죄책감에 잠도 제대로 잘 수 없었죠. 그런데 홀로 되신 아버지는 저보다 더 괴로운 시절을 보내셨습니다. 날마다 어머니 이름을 부르시며 눈물을 흘리셨구요, 가끔 약간 정신적으로 정상이 아닌 모습도 보여주셔서 저를 무척이나 당황스럽게 하시기도 했습니다. 어머니를 잃은 충격보다는 아내를 잃은 충격이 훨씬 더 크다는 것도 그 때 알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저보다 훨씬 더 힘드시고 괴로우신 아버지 앞에서 저의 약한 모습을 차마 보여드릴 수가 없었습니다. 그렇잖아도 지병이 있으신 아버지께서 행여나 그 충격에 어머니 뒤를 따르는건 아닐까하는 걱정마저 들더라구요...
2006년은 제게 정말 돌이키고 싶지 않은 괴로웠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어려웠던 시절 삼성이 또 한번 우승을 했습니다. 정말 시시하다는 느낌이 들만큼 시리즈 내내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1위를 지켰고, 역시 그 해 한국시리즈 역시 강력함을 과시하며 세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죠. 항상 제가 어려울 때 제 마음을 위로해 주던 좋은 친구인 푸르딩딩 라이온즈는, 제가 어려웠던 그 시기에 또 한번 제게 기쁨을 주었습니다. 정말 운명처럼......






2010년... 삼성은 지금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있습니다. 1차전때는 하루 휴가내고 KTX타고 대구 직관 다녀왔구요. 2차전, 3차전은 일하면서 TV로 봤습니다. (당연히 어제 경기 끝나고 나서는 1시간 동안 멍때렸구요. ^^;)

오늘 삼성이 져서 시리즈에서 탈락 할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선뚱렬 감독의 쩌는 가을야구 경력답게 역전해서 한국시리즈 올라가 SK랑 붙을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팬으로서 이기면 기쁘겠고, 지면 섭섭하겠죠.

그런데, 이기던 지던 저는 운명같은 친구인 푸르딩딩 라이온즈의 팬이라서 너무 행복합니다. 지더라도 그들의 최선을 다한 플레이에 고마워 할 것이고, 좋은 친구가 내년에도 멋진 모습 보여주길 기대하며 2011년의 봄을 기다릴 겁니다.

어쩌면 그 좋은 친구의 2010년 마지막 경기가 될 지도 모르는 오늘 저녁 6시...
비록 표를 못구했기에 그 푸르딩딩한 옷 입고 잠실야구장 3루 관중석에 앉을 수는 못가지만...
TV앞에서 평소와 다름없이 그들을 기다릴겁니다. 그들이 늘 평소와 다름없이 저 곁에 있어주었던 것 처럼요...


P.S) 예전 생각하다보니 너무 감성적인 글이 되지는 않았나 모르겠네요. 글도 길어지고... 스크롤 압박 드려 죄송합니다. 꾸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10/11 13:23
수정 아이콘
반대로 전 대구 사는 두산팬입니다.
그래도 서울에 사시면 삼성 경기의 절반 정도를 커버하실 수 있으시네요.
대구에서 두산 경기 보려면.. 한 시즌에 3연전 3번입니다. 총 9경기.. ㅠ
10/10/11 13:34
수정 아이콘
아~ 예전에 정말 선감독 몸 푸는 것만 화면에 잡혀도 한숨이 푹푹 나오곤 했었는데요...
요즘은 선감독 인터뷰를 보면서 한숨을 푹푹... -_-
선감독님 스타일이라고 생각을 해서 '취향'해 드리곤 있습니다만... 쩝.

그래도 KS는 삼성이 올라갈 겁니다.
겟타빔
10/10/11 14:13
수정 아이콘
불방망이 라이온스든, 물방망이 라이온스든

둘다 제가 믿고 응원하는 삼성 라이온즈입니다

선감독도 가끔은 속내를 드러내주는게 사람들 덜 답답하게 하는길일텐데요...

레전드 건드리는것만 아니면 저는 선감독 나름 좋아라하는편입니다
왠지모를카리스마
10/10/11 14:18
수정 아이콘
헛... 엠팍에서 방금 이글을 봤는데 여기서 또 보네요
제가 응원하는 삼성 라이온즈를 사랑하시는 이루까라님의 애정넘치는 글을 보니
어제 경기 지고나서 오늘 하루종일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던게 좀 풀리는듯 하네요

오늘은 이길겁니다!!! 화이팅!!!
(제발... 레딩딩이형...)
시케이더
10/10/11 14:54
수정 아이콘
팬심이 우러나는 좋은 글이네요..
전 원년부터 팬이었는데.. 이번 코시는 꼭 올라갈수 있게죠?

두산 화이팅!!!^^
삼분카레
10/10/11 15:49
수정 아이콘
엠팍에서 보고 여기에서 보내요.

전 반대로 아버지가 삼성을 강요하셨지만 끝까지 LG팬을 고수했구요.
그래서 지금은 후회 합니다.
그나마 가을에 야구보는 분들 참 부럽네요. 아
10/10/11 16:07
수정 아이콘
어제는 한국시리즈를 위한 삼성의 팬서비스였다고 생각하기로 했습니다(만 한동안은 멍~해지는걸 어쩔수 없더군요 흑)

사자야 한국시리즈 가면 제발 이런 아슬아슬한 경기는 그만보여주고, 그냥 연승으로 우승하자!
뱃살토스
10/10/11 20:20
수정 아이콘
아 올해~ 작년에 13연속 포스트시즌 실패한걸 만회하려면, 그 명분이 서려면, 올해, KS 가서 SK를 이겨야 할텐데,,
시즌때 무관심하다가, PS에 집중력향상되는 라이온즈 팬이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090 [일반] 아버지와 아들 (下) [14] happyend4005 12/02/02 4005 4
34651 [일반] PGR의 남편분들 보세요... [17] k`5208 12/01/13 5208 1
33462 [일반] 광개토 - (4) 동북아의 패자 [14] 눈시BBver.27504 11/11/28 7504 1
32757 [일반] 친구와 함께한 3박3일(??)여행 [6] kogang20015022 11/11/01 5022 0
31872 [일반] 강호동씨 평창땅이 과연 적법한 투자?? (세부기사) [208] 골든보이7223 11/09/22 7223 0
29972 [일반] 빨리 멸치 내놔! [19] 뜨거운눈물5882 11/06/26 5882 0
29589 [일반] 역사에 대한 잡상 - (13) 대륙과 반도 [25] 눈시BB6902 11/06/06 6902 2
28776 [일반] 정유재란 - 0.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25] 눈시BB9324 11/04/30 9324 4
27732 [일반] 나를 괴롭히는 것들 ㅡ 너무 힘드네요. [15] 해소5136 11/03/12 5136 0
26313 [일반] 농업인의 날입니다. [46] 박진호6257 10/11/11 6257 32
25682 [일반] 푸르딩딩 라이온즈는 제겐 운명같은 존재입니다. [13] 이루까라3298 10/10/11 3298 3
25581 [일반] 강아지 주인을 찾습니다(성남 요크셔-믹스 수컷) [12] 빵pro점쟁이4567 10/10/07 4567 0
25446 [일반] 배추값 폭등에 중간에서 심하게 장난질을 하는건가요 [12] 타나토노트5090 10/10/01 5090 0
23490 [일반] 눈이 소복이 쌓인 눈 에 발자국을 남기듯이(하루만에 PGR에 들어와서) [2] 아기돼지2861 10/07/16 2861 0
23144 [일반] '씨앗의 법칙',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0] 그랜드3479 10/06/26 3479 0
22160 [일반] [본격 동물재판] 개나 소나 닭이나 코끼리나 법 앞에선 만물이 평등하다! (진짜 동물글임) [8] Arata5006 10/05/23 5006 4
21580 [일반] 제갈량 북벌에 대한 진실 - 마지막 [24] sungsik9026 10/05/02 9026 1
20802 [일반] 김치를 구워먹는 사람들...(수정) [65] 녹용젤리7339 10/04/02 7339 1
20690 [일반] 실종자(박석원 중사)의 가족분이 쓴 글 전문과 기사입니다. [31] 최연발5064 10/03/30 5064 1
16810 [일반] 행복이란? 성공이란? [12] 부끄러운줄알3148 09/10/20 3148 0
16526 [일반] 슬픈 근대로의 초대 [13] happyend3767 09/10/08 3767 1
16213 [일반] (역사불판-중세사)조선 성리학, 그것을 말해보자 [22] happyend4513 09/09/24 4513 0
15548 [일반] [일본여행] 라벤더, 야경, 건담 - 1. 라벤더 [9] 정지연4018 09/08/28 401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