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3/30 20:36:23
Name Eternity
Subject [일반] [리뷰] 워낭소리(2008) - 팔순 노인과 마흔 살 소의 이야기 (스포있음)
*영화에 대한 스포일러 있습니다.*
*반말체인 점 양해바랍니다.*





[리뷰] 워낭소리(2008) - 팔순 노인과 마흔 살 소의 이야기



소가 있다. 그리고 할아버지가 있다.
소도 나이가 들고 할아버지도 나이가 들고, 소가 아프고 할아버지도 아프고.
그렇게 30년을 함께해 온 팔순 노인과 마흔 살 소의 이야기. <워낭소리>.

일반적으로 보통, 소의 수명은 15년이라고 한다. 하지만 영화 <워낭소리> 속의 소는 이러한 생물학적 상식을 뛰어넘어 마흔 살이 넘게 살아왔다. 편하게 사료를 먹여도 괜찮으련만 소의 건강을 위해 할아버지는 소 먹일 꼴을 베기 위해 매일 에 나가고 산에 오른다. 할머니는 이런 할아버지가 못마땅하다. 한 쪽 다리가 불편해서 제대로 거동하기도 힘든 아픈 몸을 이끌고 매일같이 에 나가고 산에 오르는 할아버지가 못마땅한 할머니는 자꾸만 소를 팔라고 잔소리를 하지만 할아버지는 요지부동이다.

머리가 아파 방 안에 몸져 누워있을 때에도, 귀가 잘 안들림에도 불구하고 소에 매달린 워낭에서 딸랑 딸랑 울리는 워낭소리만큼은 누구보다 먼저 알아채고 소에게로 고개를 돌리는 할아버지. 할머니는 남들처럼 논에 농약도 치면서 조금이라도 편하게 농사를 짓고 싶어 하지만, "농약 치면 소가 죽어."라며, 혹시라도 소에게 해가 갈까봐 논에 농약을 치지 않고 농사를 지어 온 고집쟁이 할아버지. 어느 날 풀썩 주저앉은 소를 진찰하러 온 수의사로부터 소가 1년을 못 넘길 거라는 얘기를 듣지만 할아버지는 애써 "안 그래, 안 그래.."라며 수의사의 말을 부정한다. 이 영화의 영어 제목인 [Old Partner]에서 알 수 있듯이 "사람보다 이 소가 나아."라고 말하는 할아버지에게 소는, 집에서 기르는 가축 이상의 소중한 식구이자 동반자이다.

소 또한 마찬가지다. 나이가 들어 비쩍 마른 몸집에 한 걸음 한 걸음이 힘에 부치는 나이든 소는 그러나, 할아버지가 고삐를 잡고 밖에 나가려고 하면 묵묵히 달구지를 이끈다. 할아버지가 몸이 아파 읍내 병원에 갈 때에도, 가을에 추수한 무거운 쌀가마니들을 달구지에 싣고 팔러 나갈 때에도, 겨우내 때기 위해 베어낸 땔감을 한가득 싣고서도 소는 아무런 불평도 없이 주인을 위해 힘든 걸음걸음을 옮기며 묵묵히 달구지를 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녹록치만은 않아서 소를 팔기를 원하는 할머니의 고집과 명절에 시골집에 내려온 자식들의 강권으로 인해 할아버지는 결국 마지못해 소를 팔기로 하고 읍내의 소시장에 소를 데려간다. 수명이 다 된 늙은 소를 보며 "거저 줘도 안 가져간다.", "이런 소는 고깃값도 안 나온다."며 비웃는 사람들. 100만원이면 많이 주는 거라며 100만원에 소를 팔라는 사람들에게 500만원 이하로는 절대 소를 팔 수 없다고 완강하게 말하는 할아버지에게는 진작부터 소를 팔 마음은 없다. 결국 할아버지가 고집을 부린 500만원이라는 액수는 소를 팔기 위한 최소한의 금액이라기보다는 30년을 함께해 온 소에게 담긴 할아버지의 마음과 소를 향한 할아버지의 정이 담긴 끈끈한 그 무엇이다. 그리고 그 와중에, 시끌벅적한 소시장 한켠에 묶여있던 소의 커다란 눈에서는 눈물이 한 방울 흘러 내린다.

이렇듯 <워낭소리>에는 현대 사회에서는 거의 사라져 버린 농사꾼과 소의 끈끈한 교감, 인간과 동물의 순수한 정이 담겨있다. 그래서 감동적이고 그래서 더 마음이 아프다. 영화를 본 누군가는 늙고 아픈 소에게 매일같이 무거운 달구지를 끌게 만드는 할아버지가 너무 심하다며 소가 불쌍하다고 말하지만, 현대적인 개념의 '동물 학대'라는 시각으로 쉽게 재단해버리기에는 30년이라는 긴 세월을 함께 해 온 할아버지와 소의 시간이 너무도 깊고 넓다.

영화를 관람한 어느 배우의 말처럼, 아픈 몸을 이끌고 아픈 소를 부리며 에 나가서 일을 하는 할아버지와 소의 하루는, 그렇게 함으로써 서로가 살아있음을 느끼고, 죽지 않고 함께 살아가고 있음을 확인하는 그런 시간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물론 정해진 각본이나 설정이 있는 것도 아니고 일반적인 상업 영화처럼 기-승-전-결이 뚜렷하지도 않은 다큐멘터리 독립 영화이다 보니 영화를 보는 사람에 따라서 '지루하고 밋밋하다'라는 평가를 내리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진부하고 통속적인 최루성 영화를 보며 쏟는 눈물 한 바가지보다 이 영화를 보며 떨구는 눈물 한 방울이 더 깊고 진하다.

인간이 인간에게 주는 감동보다, 한 마리 소가 인간에게 주는 감동이 더 깊고 진할 수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영화는, 정해진 틀 속에서 무미건조한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많은 울림과 메시지를 전달해준다. 영화 자체의 오락성이나 상업적 재미를 떠나서, 따뜻한 심장을 지닌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봐야 할 영화가 바로, <워낭소리>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3/30 20:4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이 영화 참 재밌게 봤는데,
문제는 추억에 잠겨서 영화관에서 중얼중얼 하시는 중년분들 때문에 참 힘들었었던 기억이 나네요. -_-;
어른들이라 한 마디 하기도 뭐하고, 한 마디 하자니 손 쓸수 없을만큼 많은 곳에서 중얼중얼 하셔서 ;;;
Eternity
13/04/01 08:33
수정 아이콘
사실 저희 어머니가 딱 그런 스타일이셔서 함께 영화관 갈때마다 제가 옆에서 노심초사하곤 하죠;;
마치 거실에서 드라마보시듯 영화를 보시더라구요ㅎㅎ
위원장
13/03/30 20:47
수정 아이콘
이 영화 붐이 일기 전에 독립영화 전용관에서 봤었는데 조조로 봐서 그런지 사람도 없어서 중간중간 지루한 부분에서 졸렸습니다. 그런데 그 때마다 기가막히게 할머니께서 웃겨주셔서 졸음을 떨쳐낸 기억이 있네요.
Eternity
13/04/01 08:34
수정 아이콘
저도 중간 중간 빵빵 터졌던 기억이 납니다ㅎㅎ
인위적이고 자극적인 코미디보다도 이런 웃음이 진짜 웃음이죠.
13/03/30 20:50
수정 아이콘
전 이런거 못보겠어요...왜죠??
동물 관련+ 슬픈 이야기 = 못보겠음 공식이 나오네요..

제목은 기억나지않지만 맞후임이 강력 추천한 '남극의 연구원들이 급하게 철수하느라 버리고 간 개들의 이야기'에 관련된 영화도

'그래서 그 개들이 죽어 안죽어?'로 시작해서 '몇마리는 죽어요...'라는말에 보질 못하겠고...

아무튼 동물이 죽는다는 것에 거부감이 크네요... 곤충은 아니니까 정확히는 표유류겠군요..
모데카이저
13/03/30 20:52
수정 아이콘
에이트 빌로우 말씀하시는건가 음...

참 재미있게 봤던 영화였는데...

오래전에 봐서 그런지 가물가물하네요.... 오랜만에 다시 봐야할듯
13/03/30 20:54
수정 아이콘
아 맞아요 그거네요!

그런데 개가 죽는다면서요..ㅠㅠ
Eternity
13/04/01 08:36
수정 아이콘
동물이 죽는 영화들이 슬프긴 하죠. 하지만 동물 영화에도 그 종류와 색깔이 천차만별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눈물을 짜내기 위해 신파적으로 연출한 <각설탕>류의 영화보다는 <워낭소리>가 훨씬 더 슬프고 감동적이더라구요.
양지원
13/03/30 20:51
수정 아이콘
눈물을 억지로 참고 있다가, 끝날 때 잔뜩 쌓여있는 땔감을 보고 아주 그냥 펑펑 쏟아냈던 영화입니다.
Eternity
13/04/01 08:36
수정 아이콘
저도 댓글을 읽고 나니 그 땔감이 떠오르네요.
푸른봄
13/03/30 20:54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 보고 정말 펑펑 울었던 기억이... 이 글만 봐도 다시 눈물이...ㅠㅠ
Eternity
13/04/01 08:37
수정 아이콘
저도 좀 울었던 기억이 납니다.
운수좋은놈
13/03/31 01:04
수정 아이콘
저도 엄청 울었었던 기억이 나네요... 소도 그렇고 할아버지도 그렇고.. 마지막을 함께할때.. 참 슬펐습니다ㅠㅠ
Eternity
13/04/01 08:39
수정 아이콘
운수님 많이 우셨군요ㅎㅎ
<워낭소리> 다큐영화라서 나름의 담담함이 있는 영화였는데 그 담담함이 오히려 더 슬프고 찡하게 다가왔던 것 같습니다.
13/03/31 11:17
수정 아이콘
친구녀석이랑 맘먹고 울 요량으로 극장 맨 앞에 앉아서 봤는데, 친구는 화면이 이쁘다고만 하고 전 말 없이 아주 펑펑 울었던 기억이 납니다. ㅠㅠ
Eternity
13/04/01 08:40
수정 아이콘
역시나 피지알에도 펑펑 우신 분들이 많으시군요.
유리별
13/03/31 14:18
수정 아이콘
아니 글만 봤는데 왜 저는 벌써 주룩주룩 울고 있는걸까요..
워낭소리보고 대성통곡을 하고 나왔던 뭔가 기억하고싶지 않은 것이 떠오르고 있는 것 같은데 말입니다..

저도 슬프고 동물관련된 영화는 못보겠더라구요.. 진짜 마음이 너무 아파서..
하지만 망고를 좋아했던 멍뭉이 영화는 정말 재밌게 봤었습니다.
잊을 수 없는 노란응가...
Eternity
13/04/01 08:41
수정 아이콘
멍뭉이 영화는 뭘까요? 노란응가라..;
제가 동물 영화는 잘 몰라서 감이 오질 않네요ㅎㅎ
Lovephobia
13/03/31 17:49
수정 아이콘
무려 소개팅..에서 워낭소리를 보고... 아웃빽-_-을 갔던 이도 있습니다 크크.....
Eternity
13/04/01 08:41
수정 아이콘
헉.. <워낭소리>를 보고나서 스테이크를 써셨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674 [일반] 이동진 영화 평론가가 추천한 영화 목록들 [46] 떴다!럭키맨18479 13/08/07 18479 2
45427 [일반] 대의멸친 외전 - 철벽불굴鐵壁不屈 [3] 후추통6997 13/07/25 6997 1
44533 [일반] 강희제 이야기(3) ─ 제국의 황혼 [11] 신불해7402 13/06/16 7402 13
44503 [일반] 진격의 거인 우익 논란의 전개와 배후들 [214] s23sesw15622 13/06/14 15622 0
43273 [일반] [역사] 정사 삼국지 저자 진수는 정말 제갈량까일까? [24] sungsik11042 13/04/18 11042 2
42988 [일반] 절대군주의 몰락 - 공포증 [17] 눈시BBbr8209 13/04/02 8209 2
42943 [일반] [리뷰] 워낭소리(2008) - 팔순 노인과 마흔 살 소의 이야기 (스포있음) [20] Eternity6097 13/03/30 6097 4
42810 [일반] 갑자사화 - 삭제, 삭제 [5] 눈시BBbr6602 13/03/22 6602 0
42677 [일반] 하느님의 나라 ⑧ 묘계 [1] 후추통4972 13/03/13 4972 1
42643 [일반] 늑대아이를 보며 - 미야자키 하야오 다음엔 확실히 호소다 마모루(스포약간) [48] 순두부8353 13/03/10 8353 2
41089 [일반] 외쳐! 제갈승상!!!(부제 : 전쟁이다!!!) [54] 후추통10714 12/12/15 10714 1
40930 [일반] [연애학개론] 아직은 GG를 칠 때가 아닙니다 (부제 : 밀당과 한타이밍 쉬기) [38] Eternity20436 12/12/08 20436 2
40229 [일반] 자식농사 [5] Animako3207 12/11/09 3207 1
39718 [일반] 제갈량에 관한 재미있는 이야기 [33] 후추통10540 12/10/16 10540 0
39448 [일반] 아버지 이야기 [31] happyend6126 12/10/02 6126 47
39344 [일반] [담배관련] 담배, 과연 피운자 만의 잘못일까? [30] 눈송이7725 12/09/25 7725 5
39029 [일반] RE) 조선시대 단체스포츠 혹은 예비군 훈련? '석전' [4] happyend5269 12/09/06 5269 1
38601 [일반] 오락실의 그녀 下 [69] 6615 12/08/13 6615 60
37623 [일반] 창군 - 충무공의 후예, 해방(海防)병단 - 1 [14] 눈시BBver.28007 12/06/09 8007 0
37406 [일반] 봄은 꽃의 계절이지요! [3] 알킬칼켈콜3077 12/05/26 3077 1
36123 [일반] 안녕하세요.. 저는 중국에 삽니다. [31] 백호5665 12/03/22 5665 0
35465 [일반] 깊고 깊은 언약 [1] 뜨거운눈물3373 12/02/21 3373 0
35191 [일반] 안녕, 내사랑 [44] happyend8678 12/02/07 8678 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