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2/04 13:59:21
Name Walkoff
Subject [일반] 혹시 이레전자를 기억하십니까?
지금은 한없이 작아졌지만, 이레전자라는 회사가 있었습니다.
정확히는 이레전자산업이죠.
저처럼 올드한 e스포츠 팬이라면 킹덤언더파이어 대회의 후원사로 기억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커프리그에서 전무후무한 제작사가 아닌 기업이 후원했던 슬림아트배 온게임넷 커프리그의 후원사이자 주최사였죠.
그 당시 슬림아트는 이레전자의 제품 브랜드였습니다.
중소기업으로써 내수보다는 수출을 택했던 어찌보면 당연한 경영방식을 한 회사였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커지다가 갑자기 몰락을 했었죠. 정확히 10년전에 정점을 찍었던 것으로 기억이 납니다.

- 시작 그 이후의 번영
당시 회사의 오너는 정문식 대표였습니다. 한참 이레전자가 잘 나갔을 적 '다섯 평 창고의 기적'이라는 저서를 출판했습니다.
그의 저서에 따르면 어릴 때 가난했던 시절에 돈을 벌어야겠다는 생각에 공부를 하지 않고
돈을 벌기로 마음을 먹고, 학생 때는 바리깡으로 친구 이발로 돈을 벌기 시작했고, 온갖 궃은 일을 다 겪었습니다.
공수부대 위험수당을 많이 준다는 말에 고소공포증임에도 불구하고 동생들을 먹여살리기 위해 입대를 했었죠.
군 전역 후 남한테 돈 버는 걸로 돈을 많이 벌지 못 할거라 생각하고 다섯 평 창고에서 창업을 시작한게 그 시작이었습니다.
스티브 잡스의 애플도 차고에서 시작해서 큰 기업이 됐었던 것처럼 본인도 그렇게 시작을 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하청업체로 시작해서 평범한 중소기업처럼 성장했지만, 어느 날 크게 번영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현대전자의 핸드폰 충전기 납품을 이레전자가 맡은 거죠.
당시 이름 없던 이레전자가 현대전자를 찾아갔을 때, 현대전자에서 계속 거절했었으나 끝까지 찾아가서 납품건을 얻었다고 하죠.
운이 좋게 현대전자의 하청업체들이 충전기 기능들이 죄다 불합격이었는데, 유일하게 이레전자만 합격을 한 게 그 원인이었습니다.
이후 이레전자는 전자/통신이라는 업종을 통해 회사 경영을 하려고 했는데, 이 충전기 사업이 그 물꼬를 트이게 해준 셈이었습니다.
그 뒤 때마침 터진 IMF는 그에게 호재였습니다. IMF 시절 과감하게 연구개발과 설비에 투자를 했고, 사내에서 TV의 개발이 완료됩니다.
이후 수출을 하게 되는데, 당시 IMF 시절의 환율을 고려했을 때 최고의 실적을 이루어내죠.
당시 이레전자는 다른 기업들이 줄줄이 도산할 때 고공성장을 기록하고 있었습니다.

- 정점을 찍다
다섯 평의 창고로 시작되었던 회사가 어느새 1200여명을 거느리게 되는 회사가 되어 있었습니다.
이후 정문식 대표가 자서전을 출판했고, 드라마 신화의 실제 주인공이라고 알려지면서 더욱 유명해졌습니다.(정작 드라마는 흥행 실패)
TV와 디스플레이를 메인으로 성장하는 기업이 되었고, 평면 TV, 벽걸이 TV가 대중화될 것임을 예측하여 승승장구를 하게 됩니다.
[2003년 4월부터 LCD TV를 양산하고 2,000만 달러 수출탑을 수상하였다. 2004년 미국과 유럽에 현지법인을 설립하였고,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수출중소기업인상에 선정되었으며, 7,000만 달러 수출탑을 수상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레전자산업(주) [E-Rae Electronics Industry Co., Ltd.] (두산백과, 두산백과)]


특히 이 때 저가형 PDP TV 개발이 이레전자의 리즈시절을 찍게 해준 원동력이었습니다.
그 이전에 수출 중심의 경영이 해외 국가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남겨준 사례가 되었고, 해외 인지도도 어느 정도 확보가 되어 해외법인 설립까지 하게 됩니다. 이 때까지 정점을 찍고 있었지만 이후 몰락하게 되죠.

- 모든 건 한꺼번에 와 (김국진, 라디오스타 中)
이후 걷잡을 수 없이 추락하게 되는데에는 정말 모든 건 한꺼번에 온 것입니다. 김국진 씨가 이상민 씨의 심정에 공감하듯 말했던 것처럼요.
정확히 이레전자는 2004년에 정점을 찍고, 2005년부터 당기순이익, 영업이익에서 큰 폭의 적자가 발생합니다.
큰 이익을 남기면서 투자했던게 바로 R&D 투자와 회사 복지 투자, 그리고 무리한 회사 M&A의 추진입니다.
특히 회사 M&A가 아시다시피 그 몰락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도 인켈이라고 불리는 이트로닉스와의 합병 추진이었습니다.
당시 회사가 워낙 잘 나갔기 때문에 무난하게 합병을 할 줄 알았으나, 무산이 되고 맙니다.
사실 이레전자가 충전기 사업으로 잘 나갔던 것은 핸드폰을 만드려고 핸드폰을 사와서 분해했더니 도무지 답이 없어서 충전이나 시켜야지 하다가 문득 떠올라 시작했던 사업이었습니다. 어찌보면 정문식 대표가 하고자 했던 사업이었습니다.
그 발판이 무산이 되자, 결국 모니터, TV 사업을 강화한다는 목표로 2005년 TV생산업체였던 택산아이엔씨를 인수합니다.
하지만 이 TV 시장에서 선전했던 이레전자는 평면TV의 가격이 급하락되는 것을 예측을 하지 못 합니다.
이게 2005년 경부터 시작이 되죠. 그리고 회사의 합병으로 인해 자금 압박이 시달리게 됩니다.
회사의 상장된 주식은 곤두박질 치기 시작하고, 회사의 막대한 자금을 가진 대주주를 물색하기 시작합니다.
이 대주주는 막대한 재산을 가진 재미교포였으나 사실 투기세력이었습니다. 2006년 회사의 상장폐지에 따른 갑론을박은 이 대주주가 옴으로서 상장폐지가 되지 않았습니다. 일단 급한 불은 끈 셈입니다. 이제 다시 회사를 원위치로 회복하면 좋으련만, 상장 폐지에 따른 주가가 급상승하면서 투기 세력이 모든 주식을 다 매도하게 되죠.
순식간에 이레전자가 사상누각이 되버린 것입니다.

-그 이후
이레전자는 이후 EDMS라는 새로운 회사로 다시 출발을 합니다. 무인 POS를 제작하는 업체가 되었죠.
평범한 중소기업이 된 것입니다.
하지만, 그 이전에 이레전자 이름으로 출시됐던 모니터와 TV는 A/S는 계속 유지를 하고 있습니다.
사실 많은 언론들이 이레전자가 부도가 났다고 말하지만, 이레전자사업이라는 사업체는 법인은 아직 유효하다고 합니다.
다행히 어음 발행을 하지 않아서 부도 처리는 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그 전부터 큰 규모의 기업의 폼을 회복하기에는 지금은 힘들어 보일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끝나지 않았으니 모릅니다.

정문식 대표가 기독교 신자라고 자서전에 밝혔었는데,
(실제 힘든 시절을 종교에 의지했고, 자서전의 내용 대부분 종교 관련한 이야기가 많습니다.)
몇몇 기독교 관련 사람들이 퍼나르는 글을 보면, 그가 밑바닥부터 2004년까지의 모습만을 언급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좀 안타깝습니다.
하기야 이레전자 상장 폐지가 된 뉴스가 끝이니, 이레전자가 부도됐으면 속칭 기레기들이 더 달려들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막상 쓰고 보니 두서가 없는 글이 된 것 같네요.
문득 기업 분석을 하다가 이 기업은 뭐하고 지내지 하다가 찾아봤더니 너무 소리없이 사라진 것 같아 글을 써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2/04 14:04
수정 아이콘
나름 LCD 분야에서 중견기업으로서의 위치를 가지고 있었는데 어느덧 사라졌더라고요.
모니터 살때 이레전자꺼와 오리온전자꺼를 두고 고민했었던 기억이 있어요
정지연
14/02/04 14:08
수정 아이콘
제 첫 LCD 모니터가 이레전자 15인치짜리였는데... 이게 가성비가 엄청 좋아 맘에 들어서 동생PC도 똑같은걸 사서 달아줬지요..
불과 2달전까지 부모님 PC에서 현직으로 활동하던 녀석입니다.. 그 이후에 산 모니터들은 벌써 고장나서 폐기처분한게 꽤 되는데 이거는 고장도 안나더라고요..
바꾼 것도 고장나서 바꾼게 아니라 마침 19인치 모니터가 한대 생겨서 바꾼거지 아니었으면 구입한지 10년이 넘은 지금도 현직 활동하고 있었을거예요..
14/02/04 14:19
수정 아이콘
나름 오래 버티는 회사가 알파스캔하고 오리온정보통신밖에 없는 거 같아요
야성엽기
14/02/04 14:51
수정 아이콘
비슷한 회사로 아이스테이션이 생각나네요 아이스테이션도 이제 폐업했을 겁니다.
화무십일홍이라는데 사실 5년만 버텨도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14/02/04 15:02
수정 아이콘
아이스테이션의 몰락은 A/S였죠. 업계 1위의 횡포라고 까이기도 했었고...
잘 나갈 때부터 문제였고, 추락하기 시작하면서 제품 폭발 사고 일어나고 사건사고가 다이나믹했죠
야성엽기
14/02/04 15:27
수정 아이콘
pmp 잘나갈 때 그랬나부네요 제가 아는 상황은 pmp 이후 시장에 대한 대응이 안되면서 몰락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이 글을 보면서 비슷하다고 느낀건 특정 킬러아이템이 터져서 성공한 중소기업이 결국 넥스트 아이템을 못잡고
시간낭비 1~2년(이 때 번돈을 다 까먹는 것도 같이 하죠)하고나면 회생이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는 패턴입니다.
14/02/04 15:46
수정 아이콘
네. 그건 맞는데...업계 1위일 때부터 PMP매니아들한테 많이 까였습니다.
일단 A/S에 진저리나서, 차기작이고 나발이고 거들떠보지 않게 되었고..문제는 사건 사고의 패턴이 같다는게 문제였습니다.
사건 사고 모두 배터리 폭발 사고였거든요. 그 전에는 쌩까다가 불만제로에 방영되자 리콜 조치 취했습니다.

넥스트 아이템이라...아이스테이션은 스마트북이라는 아이템을 꺼냈는데 그대로 망했습니다.
지금 아이리버는 살려고 닥치는대로 해서 지금까지 잘 운영되고 있구요.(칫솔살균기)
코원은 PMP로 꾸준히 잘 하다가 크게 적자보고 난 뒤 내비게이션으로 진출하고 있는데,
늦게 진출한 것 치고 기술력이 좋아서 인정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야성엽기
14/02/04 15:54
수정 아이콘
아 그런 문제가 있었군요.
아이리버는 살아있다는 것만으로도 높이 쳐줘야될 것 같아요 예전의 위엄은 사라졌지만...
14/02/04 15:17
수정 아이콘
오리온정보통신이라니 반갑네요. 제 모니터가 오리온에서 산 17인치 lcd모니터인데 아직 쓰고 있습니다.
2006년쯤에 샀으니..어휴 벌써 8년차네요. 컴퓨터도 그때 사서 부품 하나씩 갈다보니 케이스만 빼고 모두 내용물이 바뀌어버렸는데 이 모니터는 아직까지도 쓰고 있네요.

요즘 나오는 제품들에 비하면 해상도도 좀 부족해보이고 하지만 별 고장이 없으니 딱히 버릴 이유도 없고 계속 쓰게 되네요. 흐흐..

아이스테이션도 제가 쓰는 PMP 회사였는데요. 전자기기같은 걸 워낙 얌전하게 쓰는편이라 2005년쯤에 사서 오랫동안 잘 쓰고 있었는데 몇년전에 동생놈이 쓴다고 가져가서는 망가뜨려서(?) 보니 배터리쪽에 문제가 있어보여서 배터리교체를 문의했는데 요즘 나오지도 않는 기종이고 어쩌고 해서 배터리교체에만 9만원 달라고 해서 포기하고 새로 PMP를 샀었죠. 그리고나서 바로 스마트폰이 나오게 되는데...ㅠㅠ

어쨌든 지금 찾아보니 i2라는 기종을 썼었던것 같네요. 뜬금없이 추억돋는 물건들 이야기가 나오네요. 하하.
minimandu
14/02/04 15:37
수정 아이콘
저와는 정반대의 경험을 갖고 계시네요. 오리온 디지털;;
23인치 TV도 함께 되는 제품을 구매했었죠. 당시 회사에 대한 평이 나쁘지 않고,
중소 기업이지만 방문 AS해준다고 하여 구매했습니다.
1년 지나자마자 갑자기 전원켜도 화면 먹통인 고장 발생해서 1년에서 2년 주기로
같은 부품 교환 두번 받고, 4년째에 같은 고장으로 전화했더니, 해당 모델이 오래되서
(4년 밖에 안됐는데??) 방문 AS기사들이 부품 안갖고 있다고 본사로 택배 보내라고 하고 택배번호 주더군요.
그래서 보냈더니 전화로 부품값 3만원과 택배비 보내면 고쳐서 보내준다더군요. 지네가 부품 없어서 보내라놓고
택배비를 달라고!? 따졌더니 원래 그렇다고... PC대신 TV를 연결해 놓고 쓰던게 짜증나서 입금해주고 물건 받았습니다.
그런데 오자마자 같은 문제로 또 고장... 전화로 더 싸울 힘도 없고, 꼴도 보기 싫어서 버려버리고 대기업 제품 사버렸습니다.
두번째 방문했던 기사님은 부품 갈면서 몇년 있다가 또 그럴꺼라면서 사실상 해당 부품 부분에서의
제품 결함을 인정하더군요. 발열에는 어찌나 약한지 몇시간 연속으로 사용하고 나면 화면이 하얗게 되었다가
돌아왔다가를 반복, 이럴때는 모니터 뒷편에 아이스팩을 수건에 말아 붙여서 정상으로 돌린 적도 있습니다.
그리고 디지털 TV 같이 되는 모델이었는데 디지털로 틀면 소리도 안나요.
이것도 1년 지나면서 생긴 현상인데, AS기사는 소리 출력되는 전력이 약해서 그렇다나??
고쳐도 금방 다시 그럴꺼라고 그냥 아날로그로 보라 하더군요.
비슷한 증상을 호소한 사람을 많이 봐서 지쳐보일 정도라 더 얘기 안했습니다.
해당 모델 문제일 수도 있고 제가 뽑기를 잘못 걸린걸 수도 있지만,
어쨌든 저에겐 그게 오리온과의 경험의 전부네요. PC관련해서 단골 가게 가려고 전자상가 지날때
'오리온 디지털' 마크 들어간 제품만 봐도 치가 떨립니다.
그 이전까지도 괜찮은 회사인지 알아보고 중소기업 제품이라도 구매하곤 했는데,
이 제품 뒤로 중소기업 제품은 쳐다도 안보게 되어버렸습니다.
14/02/04 16:09
수정 아이콘
헐 되게 고생하셨네요. 그정도면 중소기업 물건 안쓰실만할거 같아요. 전 중소기업이든 아니든 전자기기 AS문제로 고생을 해본적이 별로 없어서요.

제가 MP3플레이어의 초기 모델도 사용해봤는데(무려 16메가..노래 네곡 들어가면 끝이었어요) AS는 불편함이 없더라고요. 좀 쓰다 안되서 중소기업인 그 회사 본사(?)에 찾아갔더니 너무 옛날꺼라고 그다음 모델 새제품으로 바꿔주고..-_-;;
한번은 LG전자 MP3P를 사용했는데 그때도 기기가 오래되면서 고장난 부분이 있어서 택배로 수리보냈더니 예전모델이라고 다음모델 새제품으로 바뀌어서 오더라구요.
지금쓰는 PMP도 중소기업 제품이지만 그회사의 경기도 AS센터가 제가 사는곳에서 걸어서 30분정도거리에 있는곳이라 편했고요. 정작 AS받은일도 없지만서도..

전 AS로 고생을 안해봐서 그런지 아직은 가격이랑 구매평들보고 중소기업제품도 잘 쓰고 있네요.
엘레노아
14/02/04 15:27
수정 아이콘
집사람이 여기 다녔었죠. 뭐.. 직원들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었죠.
정문식 대표가 나쁜 사람은 아닙니다만, 오너가 컨트롤 할 수 없을 정도로 조직이 커진 회사의 전형적인 말로가 아닐까 합니다.
14/02/04 16:19
수정 아이콘
급성정하는 조직은 저렇게 되는 경우가 많죠.

특히 방만한 R&D운용, 자기가 가진 역량과는 상관없는 무리한 M&A 시도 때문에 망하는 경우가 진짜 부지기수입니다.
꽃보다할배
14/02/04 16:55
수정 아이콘
대기업으로는 stx가 있죠 비단 중소기업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싸이유니
14/02/04 17:25
수정 아이콘
아직 저희회사 창고에는 이래전자란 태그를 단 15인치 모니터가 수두룩하답니다....몇개 작동해보니 잘돌아가기도 하구요
朋友君
14/02/05 09:02
수정 아이콘
저도 이 회사 모니터 썼는데 이런 사정이 있었군요. 가성비가 아주 좋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디자인도 무난했구요.
녹용젤리
14/02/05 10:34
수정 아이콘
이레전자 PDP를 2005년에 290만원이란 돈을 주고 삿습니다. 같은 인치수의 삼성이나 LG보다 150만원정도 저렴한 가격이라 가게 영업용으로 딱이다 싶어서 바로 구입을 했죠.
아니나 다를까 딱 14개월만에 고장이 났습니다. 패널문제가 아니라 컨트롤보드의 문제였고 AS신청후 딱 두달후에 겨우겨우 수리 받았습니다.
수리후 또 1년이 안되어 또 고장이 났습니다. 그리고 AS기간 지나니 그냥 배째라로 나오네요.
주요부속을 자체 생산할 능력이 안돼서 국내 양대 회사의 부품을 쓰고 있었고 2006년이후 더이상 그 부속을 구할수 없는 상황이라 하더군요.
중소 제조업체에 더이상 패널이외의 부품(컨트롤보드,메인보드 등등)을 공급해 주지 않는다는 거였습니다.
어찌됐건 저는 구매자의 입장에서 너희사정이라는 말과 제 권리를 찾기위해 고군분투했지만 장렬하게 패배했고 목마른 자가 우물을 판다고 중고전자제품 매장에서 겨우 동일부품을 찾아 제가 직접 수리했습니다.
그러나 다섯달 버티다 또 사망....

저는 그이후로 두번다시 중소기업의 제품은 거들떠 보지도 않습니다.

덧.
2005년 같은날에 삿던 삼성PDP(이건 450만원 줬네요;;;)는 아직도 화질 쌩쌩하게 현역에서 활동중입니다. 고장한번 안나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514 [일반] 지어지지 못한게 너무나 아쉬운 노선.jpg [13] 군디츠마라11044 15/12/12 11044 3
62359 [일반] 한명숙 불법자금수수 판결에 대한 파파이스 방송. [126] 솔로11년차12010 15/12/04 12010 1
62131 [일반] [야구] 트루볼쇼가 예상한 FA계약금액(+FA공시명단추가) [58] 이홍기10099 15/11/21 10099 0
61661 [일반] 국내 철도역 이용객 순위 (2014) [47] D.TASADAR13141 15/10/24 13141 2
60940 [일반] 대법 "바람피운 배우자 이혼청구 허용 아직 안돼" [12] endogeneity7094 15/09/15 7094 2
60339 [일반] 아버지와 박정희 [166] 하정우10935 15/08/13 10935 17
57656 [일반] [WWE] 스티브 오스틴을 스타로 만들어준 오스틴 VS 하트 파운데이션의 대립 [15] 신불해8947 15/04/19 8947 3
57241 [일반] 문란한 세대 허구론 [36] AhnGoon7829 15/03/28 7829 1
56815 [일반] 역이름으로 낚시하는 수도권 전철의 역들 [65] Fin.9722 15/03/01 9722 4
56813 [일반] 국내 힙합 추억팔이 [2007~2009 한국힙합 Golden Era] (2) [10] 에일리4224 15/03/01 4224 0
55911 [일반] 경부고속도로 대신 동서고속도로가 먼저 지어졌다면? [31] 발롱도르8186 15/01/12 8186 0
50822 [일반] [백 투 더 퓨처 2] 제작진을 고소합니다... [16] Neandertal10798 14/04/01 10798 0
50782 [일반] 소년탐정 김전일 신 File 시리즈를 봤습니다. [26] Duvet6802 14/03/31 6802 0
50643 [일반] 인간 인큐베이터 [50] 미모진6434 14/03/24 6434 13
49637 [일반] 혹시 이레전자를 기억하십니까? [17] Walkoff13231 14/02/04 13231 0
48538 [일반] 부산대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입니다. (파업 반대) [128] 낙하산10257 13/12/15 10257 18
48175 [일반] 하이패스 차량만 통과할 수 있는 고속도로 요금소가 두 군데나 있다네요. [32] 광개토태왕8360 13/12/03 8360 0
47538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8. 광주발 S-트레인 [15] ComeAgain6667 13/11/07 6667 9
47354 [일반] 알기쉬운 자동차보험 - 중구난방 자동차보험 상식(1) [12] 기쁨아붕3519 13/10/28 3519 0
47008 [일반] 교통 사고를 당했습니다. [39] ♡효연♡세우실6524 13/10/12 6524 0
46944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7. S-트레인 패스 [2] ComeAgain9700 13/10/09 9700 5
46767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6. 남도해양관광열차 [23] ComeAgain10751 13/10/01 10751 -10
46698 [일반] 코레일, 호남·전라선에 '노후 열차' 집중 배차했다 [108] 보고픈8512 13/09/27 851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