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6/04 09:14:13
Name 대한민국질럿
Subject [일반] 긴급통고(紧急通告).
新华社北京6月3日电 中国人民解放军戒严部队指挥部紧急通告

中国人民解放军奉命在北京市部分地区执行戒严任务,履行制止动乱,维护首都社会安宁的神圣使命,得到了各级政府和广大人民群众的支持。但是,近日来,极少数人制造谣言,恶意丑化、攻击戒严部队,用极其恶劣的手段,挑拨人民群众和戒严部队之间的关系,煽动一些人堵砸军车、抢夺武器,殴打干部战士,盘查、围攻军人,阻拦戒严部队的行动,蓄意制造事端,扩大动乱。极少数人的这种严重的违法行为,引起了广大人民群众和部队官兵的极大愤慨,已经到了忍无可忍的地步。

我们郑重宣告:任何人不得以任何借口非法拦截军车,阻拦、围攻解放军,妨碍戒严部队执行勤务。军队行动时间、方式、着装均属军务,任何人不得干预。我们坚决执行国务院戒严令和北京市政府一、二、三号令,如果有人不听劝告,一意孤行,以身试法,戒严部队、公安干警和武警部队有权采取一切手段,强行处置,一切后果由组织者、肇事者负责。希望北京市的广大人民群众严守戒严令的规定,支持军队制止动乱、维护安定团结的行动。

      中国人民解放军戒严部队指挥部
      一九八九年六月三日



신화사(언론사명)베이징6월3일 중국인민해방군계엄부대지휘부긴급통고

중국인민해방군은 베이징시내에서 계엄임무, 동란저지, 사회안녕수호 등의 신성한 사명을 받들어 각급정부와 인민대중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근래들어 극소수의 반동분자들이 루머를 퍼뜨리고 계엄부대를 공격하는 등 각종 악랄한 수단을 동원하여 인민군중과 계엄부대를 이간질하고 있으며 사람들을 선동하여 군용차량을 막고 무기를 탈취하고 간부전사들을 구타하고 검문하며 군인들을 에워싸는 등 계엄부대의 임무수행을 방해하고 소란을 일으키며 동란을 확산시키고 있다. 극소수 반동분자들의 이런 엄중한 위법행위는 인민대중과 군,관의 커다란 분노를 샀으며 묵과할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정중히 선포하는 바이다: 불법으로 군용차량을 막아서고 해방군을 에워싸는 등 계엄부대의 임무수행을 방해하는 행위는 어떠한 이유로도 용납되지 않을것이다. 군대의 행동시간, 방식, 무장 등은 모두 군의 일이며 그 누구도 간섭할 수 없다. 우리는 지금 이 시간부로 국무원계엄령과 베이징시 1,2,3호령(수도긴급경계령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듯 합니다)을 발효한다. 만약 이 권고를 무시하고 단독행동을 하는자가 있다면 법의 힘을 몸소 체험하게 될 것이다. 계엄부대와 공안 그리고 무장경찰은 통제에 불응하는 자들을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강력하게 처벌할 권리가 있고, 이 모든 책임은 동란조직자와 가담자들이 지게 될 것이다. 부디 베이징시의 인민대중들은 하나로 단결하여 계엄령의 규정을 엄수하고 군대의 동란저지를 지지해주기를 바란다.

중국인민해방군계엄부대지휘부

1989년 6월 3일.







오늘이 톈안먼사태 25주년이라고 하길래 웹서핑좀 해보다가 흥미로운 글이 있어 한번 번역해보았습니다. 톈안먼사태 당시 인민군이 본격적인 무력진압을 시작하기 직전 시위대에게 보낸 최후통첩이라고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밀레니엄단감
14/06/04 09:26
수정 아이콘
이건 왜 '민주화운동'이 아니라 '사태'라 그럴까요
최종병기캐리어
14/06/04 09:33
수정 아이콘
아직 그때의 정권이 유지되고있어서겠죠.
14/06/04 09:43
수정 아이콘
모바일로 읽다가 깜짝 놀랐네요.. 오늘일이 아니라 참 다행입니다
요정 칼괴기
14/06/04 09:51
수정 아이콘
아직 민주주의를 특수성 취급하는 나라인지라 이 사건이 재평가 되려면 멀었죠.
뭐 과연 고도성장과 경제 침체 콤보에도 중국 공산당이 견딜 수 있을지는 아직 본격적인
경제 침체가 오지 않은 상태인지라 상당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14/06/04 11:38
수정 아이콘
현재 이야기인 줄 알고 완전 놀랐습니다!!
대한민국질럿
14/06/04 12:36
수정 아이콘
톈안먼사태에 대해 짧게나마 기술하자면 당시 갑작스런 개혁개방으로 관의 부패가 극에 달했으며 피고용자들과 고용주들간의 양극화가 매우 심화되었고 이것에 문제의식을 느낀 대학생들과 인민들이 들고일어났다..라는 식입니다. 실제로 톈안먼 사태 이후 중국에서는 개혁개방을 이끌었던 세력들이 책임을 지고 실각했고 반대로 개혁개방에 부정적이었던 보수파들이 집권했고요. 당시 덩샤오핑의 후계자로 중앙정부 내 실력자 중 한명이었던 자오쯔양은 시위대를 달래는 등 평화적 해결을 시도했지만 무산되었고 이후 덩샤오핑의 무력진압 명령을 반대했다는 이유로 평생을 자택에 구금된 채로 살아가게 됩니다. 그리고 당시 동란주도혐의로 수배되었다가 홍콩,대만 등으로 도피한 사람들은 아직까지도 중국 입국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또 첨언하자면 이 '긴급통고'는 6월 4일 오전 0시~1시 즈음에 발표되었다고 합니다. 긴급통고 발표 후 대부분의 시위대가 해산하고 도주했으나 끝까지 남아있던 일부 시위대는 당일 새벽 5시 즈음에 인민해방군에게 무차별 진압(시위대를 향해 발포하는것도 모자라서 무한궤도로 밀어버렸다고 합니다)을 당했다고 해요..
너구리구너
14/06/04 13:49
수정 아이콘
당시 온화파인 완리부주석?(이였던걸로 기억합니다)가 해외방문을 긴급취소하고 귀국하는걸 당시상하이시당위서기였던 장쩌민이 훙챠오공항에서 연금하면서 강경파가 일거에 주도권을 잡았다고하죠. 장쩌민은 그 공으로 중앙으로 입성하고 후일 총서기자리에 올라서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764 [일반] 제노사이드 (Genocide) [24] 모모스201310034 16/11/19 10034 6
68746 [일반] 청와대는 충분히 계엄을 고려했을 수 있습니다. [125] aurelius15904 16/11/18 15904 17
68743 [일반] 길가에 버려지다 part2가 공개되었습니다. [9] 紓優6139 16/11/18 6139 13
68741 [일반] 추미애 "박근혜 계엄령 준비한다는 정보" [334] UniYuki27173 16/11/18 27173 1
68648 [일반] [피쟐문학] 각하전 [13] 감모여재3679 16/11/15 3679 12
68601 [일반] 역사는 반복된다. 이승만의 하야과정을 되돌이켜보며... [10] Camellia.S9778 16/11/13 9778 22
68536 [일반] 문재인 "내외치 구분못해…계엄권·군통수권·인사권 전반 손떼야" [121] ZeroOne12746 16/11/10 12746 16
68417 [일반] 오늘의 집회 허가는 명분을 위한 빌미?(계엄을 명분으로 수정했습니다) [80] Credit11226 16/11/05 11226 5
68373 댓글잠금 [일반] 새누리 중앙위 "언론·야당 거대한 음모로 정국 혼란" [112] 부두술사13431 16/11/03 13431 6
67998 [일반] [정치] 인권결의안 관련 더불어 민주당의 반격 [111] 아우구스투스11275 16/10/16 11275 3
67124 [일반] 투표권은 공짜가 아니다, 한국 투표권의 역사 [6] 이순신정네거리4850 16/08/21 4850 13
66366 [일반] [터키 쿠데타] [71] 달과별14315 16/07/16 14315 0
65299 [일반] 5. 18 책임을 부정한 전두환씨 인터뷰를 보고 든 단상 [38] 이순신정네거리5911 16/05/21 5911 19
61512 [일반] 킹콩 : 원숭이만이 이해할 수 있는 위대함(스포일러) [19] 구밀복검9667 15/10/15 9667 17
61303 [일반] 이순진 합창의장 후보자의 역사인식 논란에 대하여 [20] 이순신정네거리5807 15/10/04 5807 7
53626 [일반] 대몽항쟁 - 우리는 무엇을 위해, 누구를 위해 싸우고 있는가? [23] 신불해8356 14/09/04 8356 12
52157 [일반] 조선의 으으리는 내가 지킨다 -효종, 송시열, 그리고 윤휴- [17] 기아트윈스6357 14/06/09 6357 4
52090 [일반] 긴급통고(紧急通告). [7] 대한민국질럿6810 14/06/04 6810 0
51840 [일반] 5.18. 34주년 + 2일 기념 [12] 김승남3722 14/05/20 3722 16
51831 [일반] 1980년 5월 18일 전후 어느 한 청년의 이야기 [13] 하나4810 14/05/19 4810 34
51628 [일반] 어젯밤에 일이 꽤나 급박하게 전개되었습니다. [124] 당근매니아17026 14/05/09 17026 13
50604 [일반] 패망 직전에서 기적적으로 승리한 왜구와의 일전, 해풍 전투 [10] 신불해7575 14/03/21 7575 16
50148 [일반] "어르신들이 느끼는 박통에 대한 생각...?"에 달린 댓글들 '관견'(管見) [17] endogeneity4895 14/03/01 4895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