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6/17 19:17:26
Name MoveCrowd
Link #1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21&aid=0001475450
Subject [일반] 신경숙 표절 의혹에 대한 출판사 창비의 해명
요약하여 적자면
1. 미사마 유키오는 극우 민족자이며 원문도 천황을 신봉하는 극우 민족주의자의 이야기이다.
반면에 신경숙 작품은 한국전쟁을 소재로 인간의 근원적 사랑을 다룬 작품이다.
2. 두 작품은 시대적 배경과 주제, 의도 등에서 유사성을 찾기 어렵다.
3. 또한 인용 장면들은 두 작품 공히 전체에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 따라서 해당 장면의 몇몇 문장에서 유사성이 있더라도 이를 근거로 표절 운운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표절시비에서 다투게 되는 ‘포괄적 비문헌적 유사성’이나 ‘부분적 문헌적 유사성’을 가지고 따지더라고 표절로 판단할 근거가 약하다는 것이다.

현재 문제가 되는 것은 토씨 하나도 안빼먹고 연속적으로 문장이 '동일'한건데 왜 다른 이야기를 가져와서 호도하려는건지 모르겠네요.
덕분에 그게 말이 되는 해명이냐며 창비를 비난하는 여론이 들끓고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닭이아니라독수리
15/06/17 19:21
수정 아이콘
글로 먹고사는 인간들이 이게 말이여 개똥이여
호구미
15/06/17 19:21
수정 아이콘
아 몰라 난 모른단말야 극우작가랑 비교해서 상처된단말이야

거의 이 수준이네요
눈시BBand
15/06/17 19:22
수정 아이콘
그러려니 하고 지나갈랬는데, 이 해명이 더 열받게 하네요
깡디드
15/06/17 19:22
수정 아이콘
유체이탈화법도 전염되나? 조기종식 시켰어야 하는건데.. 그게 아니라면 신경숙이 뭔가 밉보인게 틀림없는 듯.
아이지스
15/06/17 19:22
수정 아이콘
제 성향하고 좀 달라도 좋은 출판사라고 생각해서 계간지도 사보고 주간논평도 구독하고 그랬었는데 이건 아니죠.
15/06/17 19:23
수정 아이콘
극우라서 파쿠리해도 괜찮습NIDA!!
15/06/17 19:25
수정 아이콘
이게 뭔 소린가요? 표절했지만, 원작가가 극우이니 괜찮습니다?
할머니
15/06/17 19:25
수정 아이콘
미시마 유키오는 극우작가이기 전에 개쩌는 작가이니, 누구라도 배끼고 싶어하는 작가이란걸 창비가 모르진 않겠죠..
스타카토
15/06/17 19:25
수정 아이콘
극우작가보다 더 나쁜건 표절작가일텐데...
it's the kick
15/06/17 19:25
수정 아이콘
아몰랑...
15/06/17 19:26
수정 아이콘
왜 본인이 아니라 출판사가 나서는지 잘 이해가 안 갑니다. 가수들이 표절시비에 휘말리면 본인이나 소속사가 대처하지 음반회사가 나서지는 않을 텐데요. 출판사와 전속계약을 맺어서 반쯤 소속사 개념이 되었다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찾아보니 창비보다 문학동네에서 책이 더 많이 나온 거 같은데요.

그리고 저 해명은 얼음과 불의 노래 국역본을 보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대체 무슨 소릴 하고 있는 거야?"
호구미
15/06/17 19:27
수정 아이콘
얼불노 국역 크크크크 해야 할 말 안하고 헛소리하는 게 비슷하네요
macaulay
15/06/17 19:40
수정 아이콘
혹시 이번 집필하는 책이 선계약 되었을수도...?
MoveCrowd
15/06/17 19:26
수정 아이콘
몇 가지 생각을 덧붙이자면
어차피 문장 계속 똑같은건 뭐라 해명할 길이 없으니 다른 부분을 부각시키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게 말이야 똥이야...
15/06/17 19:26
수정 아이콘
하아.....
15/06/17 19:27
수정 아이콘
스스로는 저걸로 해명이 된다고 생각하는건지...
부끄럽지도 않나.
마스터충달
15/06/17 19:27
수정 아이콘
오호~ 그럼 시대적 배경과 주제, 의도를 달리해서 소설 한 편을 내도 되겠네요. 물론 문장이 비슷하게 느껴지겠지만 표절은 아닐테니;;;
yangjyess
15/06/17 19:27
수정 아이콘
미시마 유키오는 극우작가이기 전에 개쩌는 작가...(2)
15/06/17 19:28
수정 아이콘
문제를 키우네요. 모르쇠로 일관했으면 신경숙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감안했을때

잘못된 일일지언정 유야무야 끝날 가능성이 높았는데, 이럼 점점 일이 확대 재생산되죠.
jjohny=쿠마
15/06/17 19:30
수정 아이콘
기름을 아주 들이붓네요. 헣헣
15/06/17 19:31
수정 아이콘
개소리 하고 있네요.

그럼 번역문 베낀더랑 다른 작품들 - 윤대녕 작가건 등- 은 어떻게 설명할건데.

창비도 쳐 돌았군요.

신경숙씨 남편한테 신경숙 이름 빼고 글만 갖다 주면 이거 빼박캔트 표절이라고 거품물면서 달려들텐데 자기 마누라라고 입 싹 닫고 모르쇠 하는거 보소.

신경숙씨도 작가 자격 없고 그 남편도 평론가 자격 없고 창비도 순수문학 출판사 자격 없네요.

에이 더러운것들. 퉤.
아리마스
15/06/17 19:31
수정 아이콘
저 작가지망생인데 신경숙 소설 문장 배껴서 lol에 관한 판타지 소설쓸건데 이거 표절아니죠 ? 헤헤
人在江湖
15/06/17 19:48
수정 아이콘
기쁨을 아는 롤...
그리고또한
15/06/17 20:37
수정 아이콘
LOL 소설이면 제목은 그대로 쓰시게요...?
[엄마를 부탁해]
아틸라
15/06/17 21:04
수정 아이콘
그들의 밤은 격렬하였다. 소환사는 바깥에서 돌아와 흙먼지 묻은 얼굴을 씻다가도 뭔가를 안타까워하며 서둘러 소나를 픽하는 일이 매번이었다. 첫 게임을 가진 뒤 두 달 남짓, 소나는 벌써 기쁨을 아는 몸이 되었다.
15/06/17 19:32
수정 아이콘
궁금한데 이번 표절로 인해 신경숙씨가 받은 각종 상들은 반납해야 되는 건가요 ???
이상문학상이라든지 등 등....
jjohny=쿠마
15/06/17 19:32
수정 아이콘
최근에 제 관심분야 출판업계에서도 표절의혹 러시가 좀 있었는데, 권위자/권력자의 저서일수록 출판사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방어해주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생각해보면 자연스러운 생리인 것 같긴 한데, 일단 쉴드를 치려면 좀 그럴 듯하게 쳐야...
소독용 에탄올
15/06/17 20:14
수정 아이콘
너무 노골적으로 표절에 가까워서 '그럴듯한 실드'가 어려운걸로....
기사 내용을 보며 먹고살기 참 어렵다는것을 새삼 다시 느낍니다.
it's the kick
15/06/17 19:33
수정 아이콘
잘 됐네요... 이번 기회는 문학계 카르텔과 그를 옹호하는 창비와 같은 출판사도 같이 털어버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인듯
15/06/17 19:33
수정 아이콘
와 미시마 유키오 무시하나요? 그의 말로와 극우 사상은 극혐이지만 쩌는 작가인데...
출판사의 무리수인듯 그리고 지금 주제가 표절이 아니라 문장 자체를 가져다 쓴게 문제일텐데...
요샌 유체이탈 화법이 대세인듯...
jjohny=쿠마
15/06/17 19:36
수정 아이콘
"표절시비에서 다투게 되는 ‘포괄적 비문헌적 유사성’이나 ‘부분적 문헌적 유사성’을 가지고 따지더라고 표절로 판단할 근거가 약하다는 것이다."

→ '부분적 문헌적 유사성'은 판단근거가 충분할텐데...?
Shandris
15/06/17 19:37
수정 아이콘
이건 해명을 할 생각이 없다는 의미 같은데요...
미스캐남
15/06/17 19:37
수정 아이콘
아빠를 부탁해 한편 출간하고싶은 심정이네요 크크
전립선
15/06/17 19:39
수정 아이콘
차라리 소설 쓸 때 미시마 유키오가 강제 빙의되었다, 나는 피해자일 뿐이다 드립을 치는 게 나았겠네요.
15/06/17 19:41
수정 아이콘
창작과 비평 말고 표절과 쉴드라고 출판사 이름을 바꿔야 할듯.
人在江湖
15/06/17 19:49
수정 아이콘
창피와 비리 어떻습니까 크크
15/06/17 19:56
수정 아이콘
것도 괜찮겠네요. 크크
종이사진
15/06/17 19:41
수정 아이콘
참...여름부터 풍작이로군요.
냉면과열무
15/06/17 19:43
수정 아이콘
창비 미쳤네요. 진짜
15/06/17 19:46
수정 아이콘
http://www.kyosu.net/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1587
검색해보니까 같은 내용의 표절시비가 15년 전에 있었네요. 이번에도 넘어가리라 생각하는듯.
지나가다...
15/06/17 19:47
수정 아이콘
1번은 그냥 반일 감정에 호소하는 거네요. 표절하고 작가의 성향하고 무슨 상관이 있다고..
15/06/17 19:49
수정 아이콘
역설적으로 완전 결백하면 그 내용을 객관적으로 증명했겠죠
그렇지 못하니까 다른쪽으로 물타기 하는거 같고...
이명박
15/06/17 19:49
수정 아이콘
어제 검색하다가 봤던건데..올라오는군요!
15/06/17 19:50
수정 아이콘
뭔 말 같지도 않은 변명이여 이게 ㅡㅡ
15/06/17 19:51
수정 아이콘
라노벨작가는 시구사와 작품은 표절해도 되고
만화가는 윤서인 작품 트레이싱해도 되고

아아 세상에 극우가 가득해
15/06/17 19:59
수정 아이콘
이참에 '진격의 근혜'라도 하나 그리는걸로...
15/06/17 19:52
수정 아이콘
멍멍!!! 진짜 개소리네요 -_-

토씨하나 안틀린 단어가 수두룩에, 누가 읽어도 갖다 쓴 문장배열 아닙니까...
노자비
15/06/17 20:00
수정 아이콘
아 진짜 이런 양심없는 사람들 안데리고가고 뭐하시나 저승사자님...일좀해주세요
닭강정
15/06/17 20:01
수정 아이콘
이 참에 우리나라에서도 이념으로 다투는 사람들 논문이나 창작물은 죄다 표절해도 되겠어요?!
눈시BBand
15/06/17 20:05
수정 아이콘
공지영이 이문열을 표절하게 되고...
닭강정
15/06/17 20:16
수정 아이콘
남북이 서로의 담화문을 바꿔 읽... 음?
란츠크네히트
15/06/17 20:06
수정 아이콘
"이 또한 지나가리라" 생각인것 같네요.
창비에서는 제가 이 문장 을 혼자서 생각해냈다고 하면 믿어주려나요. 겨우 세 단어인데 그정도쯤 유사성은 있을수 있는거 아닙니까!
15/06/17 20:07
수정 아이콘
미시마 유키오 극우론으로 물타기 하고 앉았다니 참 한심하기 짝이 없습니다.
닭장군
15/06/17 20:09
수정 아이콘
창비라니.
저 신경쓰여요
15/06/17 20:11
수정 아이콘
1번 2번 3번 다 문제의 본질이랑은 하나도 상관이 없는 이야기들이군요.

누가 해당 작품의 배경이나 그런 게 유사하다고 뭐라 그랬나, 문장을 빼다 박은 듯이 썼으니까 뭐라 그랬던 건데
미남주인
15/06/17 20:12
수정 아이콘
창비...창피하네요.
SuiteMan
15/06/17 20:20
수정 아이콘
1. 그게 무슨 상관이여
2. 그게 무슨 상관이여
3. 몇몇이 아니여
어설프다. 물타기 신공을 우리가 얼마나 질리도록 봤는데. 어설프도다
스타벅스
15/06/17 20:24
수정 아이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6171711341&code=960100
이 기사에 따르면, 이미 한국 문학계는 돈의 노예가 되었다는 이야기...

저는 당분간 창비 불매할 생각입니다.
드라고나
15/06/17 20:46
수정 아이콘
대형 출판사들이 매출 때문에 작가들 실드만 쳐주고 거기 종속되는 비평 문제는 90년대 말부터 제기되던 문제입니다. 문제는 저런 문제들에 대한 지적이 게속 나오면서도 큰 흐름을 가지고 판을 엎지는 못했단 거죠.
15/06/17 20:25
수정 아이콘
잘못을 했으면 반성하고 부끄러워할줄 아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김연아
15/06/17 20:32
수정 아이콘
에라이... 신경숙도 그렇다지만, 진짜 창비까지.... 젠장......
플라잉니킥
15/06/17 20:37
수정 아이콘
일단 문제가 되는 출판사에서 "표절이다, 아니다" 판단하는 것 자체가 우습고 고작 퍼블리싱하는 회사에서 표절을 판단하면 공신력이라도 생긴답니까?
판단을 해도 이해관계가 없는 3자가 판단을 해야지. 왜 저렇게 나서서 제 살 깍아먹는짓을 하는지 모르겠어요.

항상 더러운일이 터지면 그와 관련되어있는 모든 것들이 일제히 기어나와 한 목소리를 내는건 이제 한국사회의 고질병이 되어버린 것 같네요.
물만난고기
15/06/17 20:40
수정 아이콘
정말 의도적으로 배끼지 않았다면 남은 가능성은 신경숙이 과거 우국에서 문제의 저 장면의 문장을 인상깊게 읽었고 자신의 작품을 집필도중 같은 장면을 묘사하다 무의식 중에 그 문장을 떠올렸고 그게 자신이 창작했다는 착각을 했다는거겠죠.
문제는 어느 쪽이든 문장자체를 통체로 배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고 그래서 저런 식으로 쉴드를 쳐서 논란을 피해가고 싶겠죠.
그림자를잃고
15/06/17 21:05
수정 아이콘
그러나 그럴 수가 없는게 이미 신경숙은 해당작가의 작품은 '금각사' 외에는 읽어본 적 없다고 의견 표명했죠. 쉴드를 받을거면 출판사와 말이라도 좀 맞췄어야 했을텐데, 싶네요.
Sydney_Coleman
15/06/17 20:53
수정 아이콘
수준하곤 정말... 이게 해명인가요? 물타기에 변명이지;
아무리 팔은 안으로 굽고 고인 물은 썩는다지만..
15/06/17 21:06
수정 아이콘
표절이 아니면 뭐라고하나요?

샘플링??
뿌넝숴
15/06/17 21:07
수정 아이콘
참.. 우리나라에 창비만한 출판사가 없는데. 정말 안타깝네요. 그리고 표절과는 별개로 신경숙 작가는 어처구니가 없을 정도로 과대평가란 작가라고 생각합니다.
멜랑콜리
15/06/17 21:14
수정 아이콘
그 옛날 문동에서 마르고 닳도록 빨아주던걸 이해 못했던 입장에서 완전 동감합니다. 남모가 있었던것도 한몫하겠지만..
해달사랑
15/06/17 21:08
수정 아이콘
출판사답게 x혜체를 한수위로 구사하네요.

한줄 덧붙이면 이런 해명 고맙네요. 일을 키워야죠.
매직동키라이드
15/06/17 21:18
수정 아이콘
미시마 유키오가 빙의한 걸로... 아니 번역문과 문장이 거의 동일하다고 했으니 번역가분의 생령이...?
최종병기캐리어
15/06/17 21:41
수정 아이콘
고스트 소설왕
저 신경쓰여요
15/06/17 21:38
수정 아이콘
신경숙 '표절 의혹', 문인들 견해 엇갈려(종합)
http://news1.kr/articles/?2286054

[정 사무총장은 "표절 여부는 논외로 하고 한국문학이 이 만한 작가를 만들어 낸 데는 엄청난 공이 들었다. 해외에서 이만큼 알려진 우리나라 작가는 고은 시인 외에 신경숙이 처음이므로 이 귀함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귀하신 분이시니까 표절도 마음대로 해도 되신답니다 천룡인 작가님 괴롭히지 말아주세요!
카롱카롱
15/06/17 22:19
수정 아이콘
와 욕밖에 안나오내요
똥눌때의간절함을
15/06/17 21:59
수정 아이콘
와 썩었네요 진짜 ;;
스프레차투라
15/06/17 22:02
수정 아이콘
뽀록났으면 인정좀 하지 거참

하기사 남의 글 베끼다 걸려 잠수타놓고, 아무 일 없었던 양
팬덤빨로 버티는 그림이 낯설지만은 않네요
15/06/17 22:20
수정 아이콘
이 표절사태가 묻히기를 간절히 원한다면 온 우주가 나서서 신경숙씨의 무고함?이 밝혀지는걸 도와줄겁니다.
제랄드
15/06/17 22:36
수정 아이콘
충격이 남다르네요. 문학계 맞죠?
도들도들
15/06/17 22:51
수정 아이콘
문학을 한다는 사람들이 정치인보다 더러운 짓거리를 하고 있네요.
15/06/17 22:58
수정 아이콘
창비가 어떻게 이럴수가..
랍상소우총
15/06/17 23:24
수정 아이콘
뭔가 아로새기고픈 밤이네요..
매직동키라이드
15/06/17 23:27
수정 아이콘
나랏일 하셔도 되겠어요.
15/06/17 23:52
수정 아이콘
창작과 비평이 아니라 표절과 변명이군요.
15/06/18 07:19
수정 아이콘
참 실망이죠.

신경숙 처럼 필사로 실력을 끌어올린 작가가 한 둘도 아닌데 유난히 신경숙이 표절 얘기가 많이 나오죠. 필사한다고 해서 어지간한 암기력이 아닌 이상 그게 똑같이 외워지진 않을텐데요.

필사하면서 좋은 표현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해서 쌓아두지 않은 이상....

만약 그렇다면 글이 안 풀릴 때 찾아보면 참 베끼고 싶은 유혹에서 벗어나기 힘들겁니다.
안암증기광
15/06/18 07:29
수정 아이콘
필사한다고 저렇게 된다는건 진심 헛소리가 아닌가 싶네요. 아니 작가 중에 솔직히 필사 과정 안 거친 작가들이 얼마나 된다고 크크 그러면 그 사람들 다 저렇게 표절쟁이 됐어야 되는데..
15/06/18 09:01
수정 아이콘
예술하는 사람이 부끄러움을 모르는 건 참 추악해보이네요
The xian
15/06/18 09:09
수정 아이콘
누구나 정치적인 판단은 합니다. 문인이라고 다르지는 않습니다. 다만 그 정치적인 판단을 어떻게 해도 된다는 분위기가 무엇이냐, 그게 문제이지요. 사회에서 자기 소신대로 해도 아무도 해를 끼치지 않는 분위기라면, 정말 소신대로 하고 잘못은 잘못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아집니다. 반대로 지금처럼 갖은 못된 짓을 해도 돈 잘 벌고 사회에서 성공하면 그만이라는 식의 풍조가 사회 전체에 퍼져 있으면, 문학의 근간을 흔드는 표절 건에 있어서도 이런 어처구니없는 소리가 나오는 거지요. 지도층이 조성하는 정치, 사회 분위기가 철저히 무슨 짓을 해도 나는 살고 보자는 식이니 문학도 그리 망가지는 겁니다.

PGR은 게임 사이트이니 게임 베끼기 가지고 이야기 가끔 나오는데 거기에 대한 변명과 이번 신경숙씨 건은 제가 보기에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문학계라고 다를 게 없어요. 거기에 출판사가 껴 있다면 말 다 한거죠. 자기 밥줄 짤리기 싫고 출판사와 이해관계에 있는 사람이라면 이제 와서 왜 10년 전 일을 비판하고 나서느냐부터 시작해서 쉴드를 쳐주거나 이만한 작가를 만들어 낸 데는 엄청난 공이 들었다는 식으로 나서는 것은 소위 협잡질 하는 정치꾼들의 언행과 다를 게 없지요. 그런데 그런 식으로 표절 덮어주며 이름 알려진 작가 하나 만들었다 한들, 대체 대한민국 문학계에 무슨 공로가 있을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퐁퐁퐁퐁
15/06/18 10:18
수정 아이콘
터질 게 터졌네요. 언젠간 터질 일이라고 생각했던지라, 그냥 덤덤합니다.
15/06/18 10:43
수정 아이콘
창비사는 오히려 괜히 어설프게 쉴드치려다가 역공 맞는 모양새고,
생각보다 문학동네가 전략적으로 조용하네요.
본진은 문학동네라고 생각하는데, 일단 사태의 추이를 지켜본 연후에 대응책을 내려는 것 같습니다. 똑똑하네 문학동네.
사람의아들
15/06/18 11:01
수정 아이콘
미시마 유키오가 극우건 극좌건 로리콘이건 게이건 할복에 성공했건 실패했건 병신이건 아니건 간에

베낀 건 너고, 잘못한 건 너고, 그걸 출판했으면 사죄와 용서를 구해야함에도 불구하고 극우로 물타기하는 너희는 쓰레기들이다.
15/06/18 16:43
수정 아이콘
작가중에 제일 안좋은 작가는 표절작가.. 정말 실망이네요 정말.. 인정을 할줄 모르는 사람이 그 직업에서 좋은 위치에서 활동한다는 이유만으로 남의것을 도둑질 하는것이 정당화 되는 세상이라니. 프로는 그 사람만의 고유한 세상을 보여주는거라 믿는것인데....안타깝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225 [일반] 카미카제는 정말로 비효율적인 전술인가? [109] 류지나10558 16/01/22 10558 7
60874 [일반] 재미로 보는 세계 여러 나라의 헌법 1조. [47] Dj KOZE9571 15/09/11 9571 5
60341 [일반] 서대문 형무소에서 사죄하는 하토야마 前총리 [31] 어강됴리6082 15/08/13 6082 21
60089 [일반] 박근령 "日에 '과거사사과' 자꾸 이야기하는 것 부당" [66] 마빠이9921 15/07/30 9921 5
59538 [일반] [역사] 1763년, 조선 사절단이 본 일본 [21] aurelius6154 15/07/03 6154 3
59134 [일반] 신경숙 표절 의혹에 대한 출판사 창비의 해명 [90] MoveCrowd8459 15/06/17 8459 2
58944 [일반] [역사] 물러나야 할 때 물러날줄 아는 리더 [33] aurelius6263 15/06/10 6263 7
58860 [일반] [역사] 메이지 유신 직후의 권력투쟁사 (2) [12] aurelius5704 15/06/07 5704 1
58815 [일반] [역사] 메이지 유신 직후의 권력투쟁사 (1) [5] aurelius5339 15/06/06 5339 4
57990 [일반] [DATA주의] 환율도 떨어졌는데 일본 여행을 가볼까? - 7.<윤동주시비><니조성><세이메이신사> [8] 페르디난트 3세4953 15/05/06 4953 0
54164 [일반] "우리는 언제 타인과 마주할 수 있을까", 레비나스의 윤리학에 대해 - [바람의 검심 추억편(るろうに剣心 追憶編)]을 보고 [57] 삼공파일5767 14/10/06 5767 13
53848 [일반] 사인소추주의에 관한 에세이. [33] endogeneity6034 14/09/18 6034 5
52716 [일반] 평양냉면집 소개 - 우래옥, 을밀대, 옥천냉면(황해식) [90] 제랄드12531 14/07/14 12531 5
51830 댓글잠금 [일반] 이제는 말 해야겠습니다. 피지알(PGR21.COM)에 대한 소고. [291] 가는세월15715 14/05/19 15715 38
51318 [일반] 한반도 정세는 어떻게 흘러 갈것인가? [13] 마빠이5551 14/04/25 5551 1
51169 [일반] '그것이 알고 싶다' 일베편을 기다리며 [60] 마빠이7750 14/04/20 7750 2
49878 [일반] 일본 황녀가 한국사람? 일본 욕할게 아니다. [67] Duvet9326 14/02/15 9326 1
49706 [일반] 옛날 유행했던 구일본군 오사카 제4사단 이야기 [5] 요정 칼괴기10304 14/02/06 10304 0
45552 [일반] 청일전쟁 - 시작 [7] 눈시BBbr6585 13/07/31 6585 9
44885 [일반] 강화도 조약, 문을 열다 [9] 눈시BBbr8268 13/06/29 8268 5
44853 [일반] 공자가 인육을 먹었다는 '공자 식인설' 의 진실 [13] 신불해12071 13/06/28 12071 13
43647 [일반] 일본, 제국의 길로 [27] 눈시BBbr11052 13/05/09 11052 16
43624 [일반] 일본, 근대화의 길로 [15] 눈시BBbr13168 13/05/08 1316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