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3/11 15:21:46
Name 삼성그룹
File #1 통장.jpg (103.1 KB), Download : 74
Subject [일반] 군대를 가실 계획이 있는 피지알러에게 드리는 꿀팁(?)입니다.


음.. 이제 3일후면 군대를 가게 되는군요.

뭐 그동안 정신없이 이것저것 처리를 했습니다만, 혹시 모르는 분들이 있을까봐 끄적거려봅니다.

혹시 군인적금 들어보신 적 있으신지 모르겠습니다만, 제 생각에는 군대 가기 전에 들어놓으면 좋은거 같습니다. 흐흐

저도 이걸 안지는 얼마 안되었는데, 혹시라도 꿀팁이 될 수 있을 거 같아서요.

군인적금은 현재 KB국민, 신한, KEB하나(구 하나), 우리, 농협, IBK 기업, 그리고 지방은행 중에서는 대구은행이 상품이 나와있더군요.

그런데 이 중에서 신한, KEB하나, 우리, 대구은행은 입영통지서와 신분증 가져가시면 만들 수 있더라구요.

대구은행 서울 영업부가 서울 소공동 롯대백화점 맞은편에 있는데 처음 가봤네요.

(광주은행은 서울 영업부가 6층으로 옮겨가서 힘들었네요. 크크 군인적금 있을줄 알았는데 없어졌다고 얘기들을땐 좀 허탈했어요. 크크)

대구은행이라 그런지 창구 직원분의 말투에서 경상도 사투리가 묻어나오더라구요. 크크

농협, KB국민 같은 경우는 휴가증이나 현역병일때 가입이 가능하게 되어있구, IBK 기업같은 경우는 군번이 필요하네요.

최대 20만원까지 넣을 수 있는데 보통 우대금리를 다 받는다고 치면 5%대 금리더라구요.

요즘 시중은행 금리가 1%대인걸 감안하면 매우 높은거죠...

검색해보니 광주은행도 재작년에 군인적금 기사가 있길래 가봤더니 없어졌더라구요. 거기는 최대 30만원까지 넣을 수 있었는데 없어졌습니다. ㅠㅠ

사실 시중은행에 그냥 넣어두어도 상관은 없지만 군대도 가는데 이런거 챙기시면은 이자 조금이라도 많이 받으시면 나중에 복학할때 조그마한 도움이 되지 않나 싶어서 올려봅니다.

일단 저 같은 경우는 우리, KB국민, KEB하나, 대구은행 만들었는데 휴가나올때 나머지는 만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 그리고 저같은 경우는 나라사랑카드를 2기 시작할때 발급받아서 국민만 들고가는데 보니까 국민,기업 2개 다 발급이 가능한가 봅니다.

검색해보니까 제대한 분중에서는 신한, KB, 기업 3개 나라사랑카드 발급받으신 분도 있던데 신한 신규가입 안한게 아쉽군요. 쩝..




추가 : 구 하나은행과 구 외환은행 금년 6월 7일?부로 전산 통합한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비둘기야 먹자
16/03/11 15:23
수정 아이콘
잘 다녀 오세요
삼성그룹
16/03/11 15:26
수정 아이콘
네 건강히 잘 다녀오겠습니다!
16/03/11 15:29
수정 아이콘
말차나와서 군인 적금드는 것도 가능하다더군요
근데 군인적금 여러 개 한꺼번에 들 수도 있나요?
삼성그룹
16/03/11 15:29
수정 아이콘
네 가능하더라구요. 크크 저도 처음엔 은행 한 곳만 되는 줄 알았는데 다 되더라구요.
16/03/11 15:32
수정 아이콘
아는 동생이 현직에 있다 군대갔는데 군에 있는 동안은 군인 월급 그냥 다 쓰고 말차 때 군인적금 여러 개 한꺼번에 들어서 넣었다고 하길래 좀 제도적으로 가능한건가 싶어서요. 신기하네요.
전자오락수호대
16/03/11 15:29
수정 아이콘
군대 적금은 잘 생각하셔야 합니다
월급을 정말 하나도 쓰지 않으실거라면 추천하지만
흡연에 군것질도 자주한다면 부모님에게 손만 벌리게 됩니다

뭐 요즘엔 생필품 산다며 이미 벌리고 있다고는 하는데...
삼성그룹
16/03/11 15:31
수정 아이콘
크크 사실 기존 통장에 있는 돈을 불릴까(?)생각하고 넣는 거라서요. 흐흐 월급도 조금씩이나마 모아볼 수 있으면 모아볼까 생각중이지만 힘들겠죠..?ㅠㅠ
전자오락수호대
16/03/11 15:45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심지어 공군이시네요
어디로 배속받으실지는 모르겠지만
6주마다 휴가같은 외박인데 그 때 마다 교통비 지원안해줍니다
교통비는 정기휴가라는 이름으로 일,상, 병장때 한번씩 (그거도 거리비례로)주는것이 전부라 교통비 만으로도 엄청 깨질겁니다.
Break Away
16/03/11 16:19
수정 아이콘
돈만 다른 가족이 부어줘도 무조건 개이득입니다. 무조건 하세여 이자 반띵하더라도
기니피그
16/03/11 15:37
수정 아이콘
외박 나오면 한달 월급 넘게 쓰는거에요. 술을 안먹어도 대충 20만원???
요즘은 차비(후급)도 잘 지원안해줘서 휴가 왔다갔다 하는데만... 8만정도고..
치약, 구두약은 물론 세제랑 휴지도 보급이 안나와서 돈드는게 더하죠 (위생비명목으로 오천원주지만 그걸누구코에)

초반에는 막 담배친구 담배필시간에 댈꼬다니기떄문에 담배값도 배로 나오고
계급이 올라 월급오른다한들 나중에 코쟁이들 사줘야되기땜에 더더욱 돈이나가버리고.
Outstanding
16/03/11 15:40
수정 아이콘
군대에서 적금이 가능할지 크크
암튼 잘 다녀오세요~
싸이유니
16/03/11 15:52
수정 아이콘
자주보던 닉네임이라 군대는 갔다오신줄 알았는대 아니셧군요...
건강히 잘다녀오세요.~~
휴가때 요즘 군대는 어떻다 이런글 올려주시면 재밌을거 같습니당..~
Cazellnu
16/03/11 15:52
수정 아이콘
혹시 흡연하시면
요즘은 담배값만 해도 만만찮다고 하더군요.

게다가 어떤 글 보니 요즘은 생필품도 다 사서쓰 ... 라던데

여담으로 KTX 생기기전에는 휴가비 받아도 밥값은 조금 나왔는데 KTX생기고 나서는 휴가비 받아도 열차에 투입하니 없다더군요
성동구
16/03/11 15:5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집에서 손 벌리기 싫으면 군대에서 쓸 돈 모아가는거 추천합니다.
생필품뿐만 아니라 군대에서 작은 유희거리인 군것질도 은근슬쩍 돈 많이 깨지고, 휴가 나오면 돈 왕창 깨집니다.
군인이라고 친구들에게 얻어먹는것도 한 두번이죠.

한 100정도 모아가면 여유 있게 생활 할 수 있을것 같고, 150~200정도 모아가면 풍족한 군생활을 보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저도 군생활하면서 집에 손 많이 안 벌렸다 생각했는데, 곰곰이 생각해보니 휴가나올때마다 용돈 꼬박꼬박 받았네요.....
김정석
16/03/12 00:30
수정 아이콘
이게 더 꿀팁인듯;
Tyler Durden
16/03/11 15:58
수정 아이콘
군대에서 적금이라니! 군대에서 적금이라니~~!!
건강히 잘 다녀오세요 크크
The Variable
16/03/11 16:02
수정 아이콘
762기 분 환영합니다!
BlazePsyki
16/03/11 16:04
수정 아이콘
꿀팁이라길래 가지마세요 일줄 알았건만....
잘 다녀 오시길.
토다기
16/03/11 16:12
수정 아이콘
글처럼 꿀팁은 아니지만 조언하자면 특기 받고 군대가세요. 되도록 후반기교육 있는 걸로
삼성그룹
16/03/11 16:13
수정 아이콘
네 이미 특기병 선발됬습니다! 정보보호병으로요. 흐흐
Break Away
16/03/11 16:20
수정 아이콘
군인의 노예월급으로 채우기 힘드시면 취직해 소득이 있는 가족분들이 부어주면 됩니당 나중에 갚으면 돼죠 가족인데. 요즘에 4-5% 이자면 최상급이에요!
예루리
16/03/11 16:26
수정 아이콘
제가 02군번 의무소방 월급 5만원 대였는데, 27개월 월급을 책사는데 몰빵했더니 제대할 때 YES24 플래티넘 회원이 되어 있더군요.

돈 모으기는 할려면야 할 만 합니다.
마스터충달
16/03/11 16:36
수정 아이콘
요즘 같은 시대에 5% 이자라니요!! 이런 꿀팁을 실행하실 수 있다니 전혀 부럽진 않습니다?
Riffrain
16/03/11 16:46
수정 아이콘
저도 공군 갔다 왔는데 저 때는 훈련소에서 나라사랑카드 만들 때 신한은행에서 일괄적으로 적금 신청을 받았었네요.
그때 월 4만원 적금 들었는데 그러고도 월급이 남아서 개인적으로 또 따로 월 4만원씩 저금했습니다.
월 8만원씩 모으니까 제대할때 200만원 정도 되더라구요.
일병때까지는 확실히 좀 팍팍했는데 상병때부터는 BX 가는데도 크게 문제 없었던 것 같습니다.
6주 외박때는 부대랑 집이 교통비가 왕복으로 12000원정도 밖에 안나왔던데다 어디 놀러다니질 않고 맨날 집에서 컴퓨터만 했더니 돈이 얼마 안들었네요.
이 때 모았던 돈으로 100만원은 제대하고 옷이나 신발 등에 투자하고, 나머지 100만원으로는 일본 놀러 갔다 왔네요.
유리한
16/03/12 01:20
수정 아이콘
우와.. 저는 전역 직전 월급이 4.3만원이었는데..
그나마도 노무현때 월급이 팍팍 오를 시점이었는대ㅜ말이죠..
이등병때는 2만원도 안됐..ㅠㅠ
Igor.G.Ne
16/03/11 17:03
수정 아이콘
제대하는 날 가입해도 인정될겁니다
ClickerHeroes
16/03/11 18:05
수정 아이콘
제가 입대했을 때에는 훈련소에서 신한에서 한번, 자대 배치 받고 ibk에서 한번 와서 적금을 신청한 적이 있네요.
뭐 흡연도 안하고, 군것질도 잘 안하고, 휴가 나와도 집에서 컴터 좀 하다가 복귀하고 해서 그렇게 월급이 부족하다고 느낀 적도 별로 없어서,
전역할 때 많지도 적지도 않지만, 조금이나마 돈이 있는게 생각보다는 좋더라구요.
요즘 군대 가는 것도 힘들다던데 입대하는 걸 축하(?)드리구요. 몸 건강하게 다녀오세요.
16/03/11 18:50
수정 아이콘
이런 댓글 조심스러운데...곧 만나뵙겠군요. :)
이름없는자
16/03/11 19:03
수정 아이콘
군대에서 적금을 든다니 면제인 저는 너무 신기하네요 하긴 그때 안쓰기만 해도 2년간 강제!!!! 적금이겠지만 크크크크크크크 군대는 가기 싫지만 저 상품은 가입하고 싶네요 크크!!!!!
카이노스
16/03/11 19:36
수정 아이콘
적금까지 들다니 대단하시네요!!
건강히 잘 다녀오시길.....
동네형
16/03/11 19:50
수정 아이콘
개인의견 하나 하자면..

5% 두번 먹어야 백만원에 십만원인데
큰 금액 아닌이상 의미가 없고

큰 금액이면 부모님이 들어주셔야 되지 않나요? 미필이 돈이 없을껀데..

신나게 여행을 다녀오거나
정말 원하시면 미국 레버리지나 전기차 섹터 같은거 이년 묶어두는게 낫지 않나 싶은데요
오마이러블리걸즈
16/03/11 19:53
수정 아이콘
건강히 무사히 잘 다녀오세요!!!
16/03/11 21:26
수정 아이콘
총사가지고 가야하는데
16/03/11 21:47
수정 아이콘
개이득이긴 한데 적금이다 보니 생각 보다 초반 스노우볼링은 약합니다 크크
16/03/12 10:21
수정 아이콘
저의 꿀팁은 안가는게 가장 좋다는 겁니다. 간다면 가깝고 복무일수가 적은 곳이 좋다.
구들장군
16/03/12 11:01
수정 아이콘
허허.... 원래 군대가기 전, 입대직후에는 이런저런 계획과 꿈이 있죠.
저도 군대가기 전에는 짬 안될 때 체력단련하고 짬 차면 책 좀 봐야지 생각했고,
자대배치받고 얼마 뒤에는 '짬 차고 저 쉑들처럼 되지는 말아야지' 생각했는데,
짬 차니 무사히 제대하는 거 말고는 꿈이 사라지더군요. 뭐 조용히 처박혀서 운동하고 책보고는 했습니다만.

군대는 무사히 제대하는 게 최고에요.
다다다닥
16/03/12 11:07
수정 아이콘
건강하게 잘 다녀오세요.뭐든 무리하지 마시구요. 힘내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096 [일반] 영국 대학 졸업장의 가치는 왜 하락할까? [26] santacroce13724 16/03/14 13724 13
64095 [일반] [프로듀스101] 우리도 해보자 1인1표 인기투표! [315] ZZeta12615 16/03/14 12615 7
64094 [일반] [프로듀스101] 2차 투표로 보는 4차 경연 팀 지표 (약스포) [27] Leeka6891 16/03/14 6891 0
64093 [일반] '귀향'을 본 소감 (스포 有) [6] 블루투스5090 16/03/14 5090 5
64092 [일반] 레드 벨벳의 멤버별 티저 이미지가 모두 공개되었습니다. [18] 효연덕후세우실7954 16/03/14 7954 6
64091 [일반] [야구] 올해도 작년과 동일한 5개 방송국이 중계를 합니다. [43] 어리버리8367 16/03/14 8367 0
64089 [일반] 수비바둑 [16] 이치죠 호타루11749 16/03/14 11749 22
64088 [일반] 논문... 막막하네요(+자랑글 오해 주의+우는 소리 주의) [31] 착한아이8444 16/03/14 8444 3
64087 [일반] 출사 : 삼국지 촉서 제갈량전 19 (4. 쫓는 자와 쫓기는 자) [27] 글곰5227 16/03/14 5227 54
64086 [일반] 기 관람자들을 위한 삐딱한 주토피아 감상 [19] 마나통이밴댕이5637 16/03/14 5637 3
64085 [일반] <단편?> 카페, 그녀 -39 (부제 : 연애하고 싶으시죠?) [20] aura4444 16/03/14 4444 5
64084 [일반] 선배와 나 [5] schatten5036 16/03/13 5036 3
64083 [일반] [프로듀스101] 등급 별 생존 현황 및 순위 [27] Leeka7765 16/03/13 7765 0
64082 [일반] 알파고의 약점이라기 보단 대응법을 찾은게 아닐까 생각해보며... [32] 친절한 메딕씨11304 16/03/13 11304 1
64081 [일반] AI에 문외한이지만 구글의 AI의 문제점은 이런게 아닐까요? [31] ArcanumToss9537 16/03/13 9537 0
64080 [일반] 실종자를 찾습니다(분당 구미동) [44] 삭제됨11465 16/03/13 11465 10
64079 [일반] 이세돌 기사가 알파고의 약점을 찾았을지... [26] jjune10287 16/03/13 10287 2
64078 [일반] 연애를 포기하게 된 원인 [278] 삭제됨14077 16/03/13 14077 1
64077 [일반] 누가 미국의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가? 2 [7] santacroce5129 16/03/13 5129 17
64076 [일반] 누가 미국의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가? 1 [9] santacroce7918 16/03/13 7918 17
64075 [일반] 알파고는 상용화가 될까요? [28] minyuhee7179 16/03/13 7179 0
64074 [일반] 만약 알파고가 아직은 그저 올빼미 새끼일 뿐이라면...? [41] Neanderthal11418 16/03/13 11418 11
64073 [일반] 이탈리아 함선 이야기(1) - 약 한사발 들이킨 Guidoni 항모 계획안 [9] 레이오네4448 16/03/13 4448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