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1/15 12:07:58
Name 군디츠마라
File #1 20170114000021_0_99_20170114092503.jpg (44.2 KB), Download : 55
Subject [일반] 올해 전세계 실업자 2억명 돌파…불안·이민촉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16&aid=0001184261

국제노동기구(ILO)가 연례 보고서를 통해 2017년에 전세계 실업자 수가 2억을 넘고 실업률도 5.8%로 작년비 0.1% 상승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2억이면 거의 우리나라 인구(5천만)의 4배에 달하는 수입니다.

선진국의 경우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로 인해 실업자 수가 조금씩이나마 줄고 있지만 반대로 개발도상국과 후진국의 실업자 수가 폭증하고 있어 더 큰 문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인공지능의 등장과 자동화는 이러한 실업자들에게 제공할 일자리마저 줄이고 있는 실정입니다. 더욱이 보고서에서는 비정규직과 같은 제도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취약한 형태의 고용은 전체 고용의 42%에 달하는 14억명 선에서 줄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개발도상국에서 하루 3.1달러(한화 3600원) 미만을 받는 노동자가 앞으로 2년간 500만명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즉 일자리의 질은 떨어지면 떨어졌지 나아지지 않고 있습니다.

결국 이런 후진국의 실업자들은 더 나은 삶을 위해 선진국으로 대거 이민을 원할 것이고 이에 따라 트럼프와 같이 반이민·보호무역을 외치는 사람들 또한 힘을 얻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동의 난민사태와는 비교할 수가 없을 만큼의 대혼란이 벌어진다는 것이죠.

이에 ILO는 대책으로 선진국과 개도국이 협력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각국의 사정을 감안한 대규모의 공공투자가 필요하다고 결론내렸습니다. 하지만 자동화로 대표되는 일자리 감소 문제의 해결이 요원한 가운데 이러한 실업자의 증가는 전 지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 같아 걱정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밴가드
17/01/15 12:11
수정 아이콘
그나마 동질성이 강한 유럽연합 회원국들이 지난 몇년간 그리스 위기, 난민사태, 브렉시트를 겪으면서 보여준 모양새를 보니 범지국적 차원의 경제적 협조라는건 솔직히 기대가 안되더군요.
17/01/15 12:13
수정 아이콘
이런걸 보면 우리 나라의 저출산도 그렇게 나쁘지 않을 것도 같군요. 지금 일자리 절반이 날아간다는데 그럼 인구도 줄여야겠죠.
고통은없나
17/01/15 12:24
수정 아이콘
일자리 문제하면 나오는게 기초소득제인데 전 솔찍히 기초소득제가 대안이라고 생각하기 어렵습니다.현재 제시하는 기초소득은 그야 말로 최소한도의 먹고사는 액수만 보장하는 액수고 빈곤층으로 나가 떨어지는 거나 다름없거든요.이걸로 도데체 뭐가 해결되겠습니까?

그렇다고 이걸 또 중산층 수준으로 올리면 거기 들어가는 재원도 재원이고 .노동의욕 문제도 있을겁니다.일자리가 많이 사라진다고 해도 여전히 많은 일자리는 사람을 필요로 할텐데 말이죠.
하심군
17/01/15 12:31
수정 아이콘
요즘 추세가 고숙련 저강도의 직업이 자동화로 사라지고 저숙련 고강도의 직업이 늘어나는 추세니 고강도의 노동에 대한 가치를 재설정해야죠. 자본가들이 비용절감만 눈에 불을 켜고 찾아다니는데 모든 자본가가 자기만 자본을 들고 있다는 의미가 어떤건지 알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돈은 쌓이기만 하면 그냥 데이터예요.
절름발이이리
17/01/15 18:00
수정 아이콘
일단 기초소득제에서 얼마만큼을 지급할 것이냐에 대해서는 논의의 바리에이션이 크고, 어떻게 가닥이 잡힐지 아직 짐작하기 힘든 상태입니다.
그리고 최소한도의 먹고 사는 액수만 기초소득으로 지급한다 해도, 추가로 일해서 벌 수 있는 길이 막히는건 아닙니다. 이게 아무리 부족하다 가정하더라도, 기초소득도 없는 경우에 대비해 보면 "뭐가 해결되겠냐"고 묻기엔 엄청난 차이죠.
그리고 기초소득에서 목표하는 가장 중요한 사항은 단순히 빈민들이 먹고살 돈을 주냐 마냐의 문제가 아니라, 고용을 창출하지 못하는 산업구조하에서도 소비를 발생시키는 것이지요. 냅두면 소비가 침체되고, 기업이 망하고, 일자리가 더 없어집니다. 한번 이 순환으로 들어가면 지독하게 힘들어지는데, 반대로 기초 소득에 의해 소비가 발생하면 기업이 유지되고 악순환을 막아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기초소득제가 성공할 수 있느냐 없느냐와는 별개로, 기초소득제가 겨냥하는 건 단순히 빈민이 먹고살만큼만 줌 같은 차원의 문제가 아닙니다.
솔로12년차
17/01/15 18:25
수정 아이콘
기초소득은 기초소득일 뿐이죠. 기존처럼 일해서 버는 돈에 기초소득을 더하는 거지, 기초소득만으로 생활하라는게 아닙니다.
고통은없나
17/01/15 18:43
수정 아이콘
본문과 같은 상황이면 일자리를 얻고 싶어도 일자리가 없을텐데 어떻게 일을 해서 추가적인 소득을 기대할수 있을까요?
솔로12년차
17/01/15 18:50
수정 아이콘
돈을 쥐고 있는 사람들은 우릴 개돼지로 봅니다. 대충 대부분의 사람들은 먹고 살 수는 있을 만큼이 유지되게 되어 있어요.
말씀하신대로 어떻게든 먹여살려야하면 기초소득액이 증가하게되는데, 그러느니 일을 나눠시키게 되는 방향이 될 겁니다.
써니지
17/01/16 05:22
수정 아이콘
모든 사람이 똑같다는 가정을 하시네요. 하지만 제 경험상 사람들마다 생산성의 차이는 꽤 크더군요. 제대로 할줄아는 한명이 어설픈 서너명보다도 낫다고 생각하고요. 웃돈을 주더라도 회사측에선 그 한명을 최대한 활용하는 게 나을겁니다.
솔로12년차
17/01/16 07:21
수정 아이콘
회사야 그렇죠.
하지만 지금도 회사가 하면 나은 것들 중에 못하는 것들 많이 있습니다. 법이라는 사회적합의에 의해서요.
결국 사회적필요가 생기면 회사들도 받아들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일을 하든 안 하든 최소한의 수입은 주어져야하고, 그 것을 기본소득으로만 감당하려면, 기업과 일하는 사람들의 부담이 지나치게 증가하니까요.
그런 합의가 이뤄질 리 없다는 가정은 큰 의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럴거면 기본소득이 이뤄질 수 없는게 먼저니까요. 그래도 최소한의 수입도 없어서 대부분이 빈곤층이 된다거나, 혹은 다수가 일을 안해도 될 만큼의 소득이 주어진다는 양극단의 예로 기본소득을 이야기하는건 본질을 벗어날 수 밖에 없는 거죠. 양극단만 가정하니까 필연이죠.
17/01/15 12:31
수정 아이콘
로봇이 대체할 수 있는 직업중 하나가 서비스 업이라고 생각하는데.. 로봇을 만드는 선진국에서, 선진국 일자리의 대부분인 서비스 업을 대체하는 로봇 개발에 집중 안할것 같다는게 당연하지만 아이러니하네요.
lifewillchange
17/01/15 12:32
수정 아이콘
부의 재분배를 다시 정립해야 겠네요..
아라가키
17/01/15 12:47
수정 아이콘
흔히 인공지능 이야기하면 마차가 사라졌지만 자동차의 발달로 그만큼 일자리가 늘었다는 말들을 하는데..
아무리봐도 인공지능 발달속에 우리 위치는 마차시대 "말" 같단 말이죠 흠..
거기다 지금도 일자리가 없어서 난리인데 지금보다 더 인공지능이 발전하면 일자리가 새로 생겨날거야! 하는건
행복회로를 돌리는거 같기도 하고
17/01/15 13:06
수정 아이콘
갑자기 생각난건데 콜센터가 로봇으로 대체되면 수많은 일자리도 사라지고 수많은 진상들은 사라질까요.
김철(32세,무직)
17/01/15 14:48
수정 아이콘
그래도 어느 시점에서는 사람이 그들을 상대해야하지 않을까요? 인공지능이면 다 해결될까요...흠 ㅠ
냉면과열무
17/01/15 13:25
수정 아이콘
제가 자주 가는 박물관이 있는데 거기 매표소도 직원들이 다 사라지고 자동매표 기계가 있더라구요.

어렸으면 와~~ 신기하다 그랬을텐데 그거 보면서 참 씁슬하더라구요.

학교 편의점도 자판기 형태로 변할거고 자주가는 카페 이쁘고 잘생긴 알바생분들도 셀프기계로 거진 될 것 같고.. 저도 직장을 잃을 수도 있곘죠.
나이스후니
17/01/15 13:49
수정 아이콘
일자리가 줄어들고, 먹고살기 힘드니 점점 아이를 안가지게되고, 노인은 늘어나니 미래가 점점 어두워지네요.
쎌라비
17/01/15 13:53
수정 아이콘
내가 1/2억 이라니........ 이게 무슨 소리요?
imemyminmdsad
17/01/16 10:39
수정 아이콘
전세계가 카타르 노르웨이 같이 되는건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965 [일반] 서울지하철 적자 중 무임승차 비중 90% 넘어섰다 [107] 군디츠마라11711 17/09/27 11711 1
73666 [일반] [뉴스 모음] 자유한국당의 보이콧 철회 외 [20] The xian8832 17/09/10 8832 31
73343 [일반] 영양군수 "불과 40년 만에 4분의 1로 줄었다… 인구 死守가 가장 절박한 과제" [105] 군디츠마라17383 17/08/17 17383 40
73315 [일반] 대입정책이 꼭 수시 위주여야 하는 정치적 이유 [96] 재활용10983 17/08/16 10983 29
73172 [일반] 교원수급 문제가 출생률 때문이라는 건 [49] 싸가트8788 17/08/05 8788 11
73153 [일반] 현재 우리나라의 출생아수와 인구절벽 [167] 루스터스15480 17/08/03 15480 20
73151 [일반] 올해 서울 초등교사 선발인원이 1/8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합니다. [248] 홉스로크루소18732 17/08/03 18732 1
73095 [일반] [뉴스 모음] 이철우 정보위원장의 사족 외 [21] The xian9053 17/07/30 9053 28
73021 [일반] 무한도전 국민제안 임산부 주차장법 발의 [74] 홍승식11255 17/07/25 11255 0
72834 [일반] 지하철 노인 무임 논란에 신분당선이 사실상 총대를 맸네요 [103] 군디츠마라13816 17/07/14 13816 9
72532 [일반] 저출산 고령화는 좋은 현상입니다. [121] 미사쯔모14154 17/06/25 14154 8
72500 [일반] 미국 전문가 "한국 저출산 해법? 쉽지 않겠지만 이민 받기를" [228] 군디츠마라16927 17/06/21 16927 6
72439 [일반] 인구감소로 지방의회 폐지논의가 나오기 시작한 일본 [37] 군디츠마라11592 17/06/17 11592 4
71334 [일반] "인구 주는 나라 미래없다…이민 적극 수용을" [124] 군디츠마라11626 17/04/04 11626 0
71320 [일반] '저출산' 정말 우리에게 출구는 없는것일까? [215] The Special One16706 17/04/02 16706 12
70834 [일반] 저출산 해결? ..졸업 늦게 하면 채용 불이익" 제안 [93] 아라가키13307 17/02/25 13307 5
70094 [일반] [강좌 소개] 정해진 미래 인구 변화와 경제 [27] 스타로드5502 17/01/19 5502 5
70005 [일반] 올해 전세계 실업자 2억명 돌파…불안·이민촉발 [19] 군디츠마라7459 17/01/15 7459 0
69983 [일반] 저출산·고령화로 30년내 84개 시군 및 1383개 읍면동 소멸 "비상" [71] 군디츠마라9291 17/01/13 9291 0
69464 [일반] 더불어민주당에 필요한 것은 대북정책보다 경제정책 [33] wlsak6270 16/12/17 6270 13
67736 [일반] 지구 멸망 피하려면 저출산을 장려해야 한다? [85] 군디츠마라9713 16/09/28 9713 1
67724 [일반] 일손 부족한 일본, 외국인 노동자 본격 수용하기로 [31] 군디츠마라9517 16/09/27 9517 2
67418 [일반] [공익광고] 저출산문제 - 아기의마음 광고의 비판에 관해 [119] 삭제됨9174 16/09/04 9174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