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4/05 19:41:51
Name 이치죠 호타루
Subject [일반] [7] 징하 철로 - 중국 근현대사의 파란을 함께한 증인 (수정됨)
독소전쟁 연재를 하다가 스톱하고 쉰 지 한 달이 이미 넘었네요. 잊어먹지 않고 있습니다. 몸이 영 안 따라줄 뿐... 멘탈 깨진 건 이미 지났으니 이제 펜대를 들 때가 오긴 온 모양이네요.



징하 철로. 중국의 베이징(京)과 하얼빈(哈)을 잇는다고 하여 붙여진 징하 철로입니다. 그 위상은 징후 철로(京沪铁路, 베이징과 상하이를 잇는데 상하이를 호(沪)라 부릅니다. 고대에 이 지역에서 물고기 잡을 때 쓰던 통 비슷한 낚시도구 이름에서 유래했다는군요), 징광 철로(京广铁路, 베이징과 광저우), 징주 철로(京九铁路, 베이징과 주룽 반도 - 즉 홍콩)와 엇비슷한 5종3횡이라 하여, 현 중국의 고속철도 계획인 8종8횡계획 이전의 주축 노선으로 인정받는 중요한 노선이죠.

이 징하 철로는 완전개통만 놓고 보면 징후 철로보다도 빨리 건설되었습니다. 징후 철로에서 가장 늦게 건설된 부분이 양자강을 건너는 다리인데 이게 1968년에 개통되었고, 이 다리를 기점으로 해서 북쪽은 1912년, 남쪽은 1908년에 완공되었습니다. 그런데 징하 철로는 완전개통된 것이 1907년입니다. 우리로 치자면 경부선보다도 호남선 같은 간선철도가 빨리 개통된 셈인데... 첫 공사의 삽을 뜨는 시점부터 징하 철로는 중국 현대사와 얽혀들어가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할 내용은 바로 그 철도에 얽힌 현대사 이야기입니다.



2015313151525422.jpg
노란색 중 베이징과 하얼빈을 잇는 부분이 오늘날의 징하 철로.

징하 철로라고 해서 베이징 구간부터 공사가 진행되었다고 여기기 쉬운데... 징하 철로에서 가장 먼저 개통된 구간은 베이징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정 반대인 하얼빈(哈尓滨, 합이빈)에서 창춘(长春, 장춘)을 거쳐 선양(沈阳, 심양)까지 잇는 구간이었습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인선의 개통이 일본의 손으로 이루어졌듯이, 이 징하 철로도 시작부터 외세에 의해 개통되었습니다. 첫 삽을 뜬 게 자국의 발전을 위해서가 아니라 타국의 이권을 위해서였던 셈입니다.

때는 1894년, 청일 전쟁에서 중국이 대패하고 일본에게 막대한 배상금과 랴오둥 반도를 할양하게 된 바로 그 시기. 이를 아니꼽게 보았던 러시아와 프랑스, 독일은 소위 삼국 간섭이라 하여 5천만 엔을 대가로 랴오둥 반도를 중국이 되돌려받도록 일본에게 압력을 넣었고, 이에 아직 국력이 미진하던 일본은 굴복합니다. 그 결과로 러시아는 바로 그 랴오둥 반도의 항구인 다롄과 뤼순을 조차하게 되죠. 이 과정에서 러시아가 다롄과 자기 본토 - 시베리아 철로상에 있는 도시인 치타(Chita, Чита)를 잇는 철도부설권까지 따냅니다. 이게 소위 말하는 둥칭 철로(东清铁路, 동청철로)입니다. 이 철도가 완전 개통된 것은 1903년. 물론 철도의 운영권 역시 러시아가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러일전쟁이 터지면서 일본은 어쨌든 가까스로 승리했고, 창춘 역을 기점으로 하여 북부는 러시아가, 남부는 일본이 관할권을 갖기로 합의를 보았습니다. 이러면서 남부의 철도를 기반으로 일본이 세운 회사가 그 유명한 남만주철도주식회사(1906). 남만주철도가 있으면 북만주철도도 있어야 할 거 아닌가 싶으신 분들에게 답이 되었을까요? 이후에도 이야기하긴 하겠습니다만 북만주철도는 기실 둥칭 철로를 의미하던 것이었습니다. 역사상 북만주철도라는 이름이 나온 적은 없었지만.

아무튼 창춘을 기점으로 무슨 익양대치에서 유비와 손권이 상수를 기점으로 영토 분할하듯 이권을 러시아와 일본이 서로 나눠 가지게 됩니다. 한동안은 별 일이 없었죠. 그런데 1914년에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더니, 1918년에는 아예 러시아가 폭싹 망해 버립니다. 그 뒤를 이은 게 다들 아시는 소련인데, 정확히 말하면 소련 전에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라고 해서 소비에트 연방이라고 하지는 않았죠. 아무튼 각지에 널려 있는 왕당파와의 싸움은 바로 그 유명한 적백내전이었습니다. 중국으로서는 어찌 보면 이권을 되돌려받을 좋은 기회였겠습니다만...

이쯤에서 나머지 절반, 즉 베이징과 선양을 잇는 철로를 이야기해야겠죠. 징하 철로의 남쪽 절반은 1907년에 개통되었습니다. 다만 이 때는 선양이 아니라 펑톈(奉天, 봉천)이라 불렸고, 노선도 지금처럼 베이징과 선양을 직통으로 잇는 것이 아니라 톈진(天津, 천진)을 거쳐 가도록 되어 있었죠. 아무튼 신해혁명기까지도 별 일 없었는데... 엄청난 돈을 뿌리면서 황제에 오른 위안 스카이(원세개)가 죽고, 이 위안 스카이의 든든한 뒷배경이 되어 주었던 북양군벌이 장 쭤린(张作霖, 장작림)이니 뭐니 하며 줄줄이 갈라지면서 치열한 내전을 벌이게 되죠. 봉천군벌이니 뭐니 하던 게 바로 이 때 이야기입니다(봉천군벌의 수장이 장 쭤린). 어쩌면 중국 입장에서는 전국이 통일되어 있었으면 이 기회에 소련에게서 자국의 이권을 되돌려받을 기회였겠으나, 중국 입장에서는 안타깝게도 위안 스카이 사후 그야말로 전국이 군벌로 분화되어 있던 대혼란기였습니다.

한편 러시아 입장에서는 왕당파와의 적백내전을 치열하게 벌이던 중이라 아군이 없다시피했고, 세계 속에서 아군을 만들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러시아의 부외무상이었던 레프 카라한(Lev Mikhailovich Karakhan, Лев Михайлович Карахан)이 1919년에 중국에게 둥칭 철로의 모든 이권을 조건 없이 되돌려준다는 카라한 선언(Karakhan Manifesto)을 하게 됩니다. 이 영향은 꽤 컸습니다. 마침 그 해 5월 4일에 중국에서는 대규모 운동이 벌어지고 있었고(5.4 운동), 이 카라한 선언을 보고 공산당에 호의적인 뜻을 내비치는 중국인이 많아지면서 중국 공산당이 창설된 것입니다. 하지만 공산당을 별로 좋게 보고 있지 않던 일본의 지지를 강력하게 받고 있었던 군벌들은 이러한 카라한 선언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고, 여기에 더불어 소련도 만주 지역에서의 이권을 내주고 싶어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카라한 선언 6개월 이후 소련은 '실수였다', '그런 말한 적이 없다'는 식으로 어물쩍 넘어가게 되죠. 여담으로 레프 카라한은 트로츠키주의자로 몰려 대숙청 때 처형당합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1924년에 제1차 국공합작이 성립되었고 국민당은 소련의 영향을 받기 시작합니다. 중국 내부를 정리하는 것에 여념이 없던 국민당이, 그것도 처음에는 세력이 미약했던 국민당이 소련에게서 쉽사리 이권을 가져올 수 있을 리는 만무했고 결국 국민당은 1924년과 1925년에 성립된 몇 차례의 회담 결과에 따라 러시아가 제정 시기에 가졌던 모든 이권을 소련이 승계하는 데 동의하고 맙니다. 당연히 여기에는 둥칭 철로의 운영상 이권 역시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남의 집에서 불난 처지에 뒤통수 친 거죠. 그게 역사고 그게 피도 눈물도 없는 외교무대의 현장일 뿐이지만... 그래서 자주자강이 중요하다 하나 봅니다.

아무튼 국민당은 쑨 원(孫文, 손문)의 뒤를 이은 장 제스(蔣介石, 장개석)의 지휘 하에 이번에는 성공적으로 북벌을 이루어냈고, 장 쭤린은 지속적으로 밀려나는 처지가 되었습니다. 이에 더 이상의 이용가치가 없다고 판단한 일본의 군부가 선양 서쪽 3 km 정도 떨어진 황구툰(皇姑屯, 황고둔)에서 장 쭤린을 폭살합니다.

Huanggutun_Incident.jpg
황구툰 역에서 폭발한 장 쭤린의 기차.

c995d143ad4bd11390b8888a5aafa40f4bfb0514.jpg
오늘날의 황구툰 역 구내. 1등역입니다. 세월이 참으로 무상하네요.

장 쭤린이 폭살당하고 이어 등장한 것은 아들인 장 쉐량(张学良, 장학량)이었습니다. 장 쉐량은 장 제스에게 협력하여 국민당군 아래로 들어가기로 합의를 보았고, 이를 동북역치(东北易帜)라 합니다. 그리고 장 쉐량은 동북 3성의 수장이 되었죠. 이 때 펑톈 성을 랴오닝 성(辽宁省, 요녕성)으로 개칭하게 됩니다. 베이징 역에서 펑톈 역을 잇던 징펑 철로 역시 베이닝 철로(北宁铁路, 북녕철로)로 개칭되죠. 새로 동북의 지배자가 된 장 쉐량은 만주 내부 경제 문제도 있고 해서 소련으로부터 무리하게 철도의 이권을 되찾으려 했습니다. 이 당시 펑톈 북부의 둥칭 철로는 중동로(中东路)라 통하고 있었고, 그래서 이 둥칭 철로의 이권을 회수하고자 소련과 무리하게 붙은 것이 바로 중동로 사건(1929)입니다.

이건 소련으로서도 자국의 이권을 위해서는 결코 좌시할 수 없는 문제였고, 군대를 보내 아주 장 쉐량을 흠씬 두들겨 패버리고 둥칭 철로의 이권을 공고히 합니다. 이 당시 소련군을 지휘하던 사람이 바로 그 유명한 소련의 다섯 원수 중 하나인 바실리 블류헤르(Vasily Blyukher, Васи́ли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Блю́хер). 할힌골 전투 당시 큰 피해를 봤다는 죄목으로 문책당하고 결국 대숙청 때 목숨을 잃게 되는 바로 그 인물입니다. 병력은 중국군 10만, 소련군 4만으로 중국군이 갑절 이상이나 많았지만 잘 훈련되고 적백내전으로 인해 단련될 대로 단련된 소련군의 상대가 될 수는 없었고, 결국 소련군이 사망 및 실종자 300명 미만의 피해를 입는 동안 중국군은 그 열 배가 넘는 3,500명에 달하는 피해를 입고 소련과 합의를 볼 수밖에 없었습니다. 소련이라고 해서 결코 약하지도 않았고, 그들 스스로 제국주의를 비판했으면서도 정작 그들의 입장에서는 제국주의적이라 할 수 있는 아국의 이권을 결코 포기한 적 역시 없다는 역사의 말없는 증언이기도 합니다. 국제 정세가 그래서 무섭죠. 영원한 적이 없듯이 영원한 친구도 없고, 선의를 바탕으로 진행된다고만 낙관하며 믿지 말고 항상 뒤통수를 맞을 것을 대비하고 있어야 하는 법이라 생각합니다. 당장 카라한 선언이 이 때 완전히 휴지조각이 된 걸 생각해 보시면...

그렇게 잠시 잠잠해지나 싶더니 이번에는 일본이 또 일을 만들었습니다. 1931년 9월 18일에 류탸오후(柳条湖, 류조호) 사건이라 하여 펑톈 북쪽 7.5 km 정도 되는 곳에 폭약을 설치한 자작극을 벌인 것이죠. 폭약이 양이 적어서 터지지는 않았습니다만, 일본에게 있어서 그런 것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중요한 것은 바로 그들이 중국을 칠 빌미를 만드는 것이었기 때문이죠. 이로 인해 만주 사변이 발생하고, 일본은 삽시간에 만주 전역을 석권합니다. 그렇게 세워진 것이 바로 그 유명한 만주국(1932). 이렇게 되면서 중동로, 그러니까 둥칭 철로 역시 소련과 만주국의 합작관리라는 식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둥칭 철로가 북만주철로(北滿铁路)로 개칭된 것이 바로 이 때의 일이에요. 일이 이렇게 되자 소련은 아예 둥칭 철로의 이권을 만주국에 팔아버렸습니다. 그렇게 징하 철로, 정확히 하면 선양 이북의 둥청 철로는 시작부터 제국주의자들의 손으로 건설되어 격변의 시기와 전간기의 중대 사건(장 쭤린 폭살 사건, 중동로 사건, 류탸오후 사건)을 함께 겪으면서 이제 제국주의의 극의인 파시스트들에게 운명을 맡기게 되었습니다.

Manchukuo_Railmap_en.png
당시 만주의 철도망. 붉은색이 남만주철도주식회사가 관할하던 철로이고, 파란색 및 하얼빈에서 서쪽으로 만주리, 동쪽으로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어지는 부분이 바로 둥칭 철로입니다. 이 당시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 본부는 창춘(당시 신징 : 新京, 신경)에 있었습니다.

그리고 아시다시피 일본은 전쟁에서 패배했고, 이 이권을 잡은 것은 또다시 소련이었습니다. 그러다가 1949년에 중국 본토를 통일한 중국 공산당과 소련이 협상을 벌여 최종적으로 소련이 둥칭 철도의 경영권을 반환하였고, 마침내 징하 철로는 오롯이 중국인의 손에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이 당시에 베이핑(北平, 북평)이라 불리던 것을 베이징이라 개칭함에 따라서 둥칭 철도와 베이닝 철로도 마침내 징하 철로라는 이름 아래에 하나의 노선이 되었습니다. 이후 1990년에 들어 노선 구간에 두 차례 큰 변동이 있었는데 최종적으로 환원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습니다. 하다 철로(哈大铁路, 하얼빈 - 다롄)니 징산 철로(京山铁路, 베이징 - 산하이관 : 山海关 산해관)니 하는 이름은 그런 변경의 흔적들이죠.



징하 철로는 이처럼 격동의 중국 현대사의 중요한 산 증인입니다. 우리 나라라고 해서 관계가 없지도 않죠. 당장 하얼빈역이 바로 안중근 의사가 이토를 저격한 장소이며, 만주 벌판에서 수많은 독립 운동가들이 일본과 싸워 왔습니다. 또한 일제가 우리 나라에서 쌀을 가혹하게 수탈해 가며 농민들을 먹여살린답시고 내세운 방책으로 만주 지역에서 생산한 좁쌀을 우리 나라에 들여오기도 했구요. 더구나 근현대사보다도 더 과거인 여몽전쟁의 한 결과인 심양왕이나, 더 과거로 거슬러올라가 고구려나 발해 등... 여러 모로 우리 나라와도 인연이 깊은 노선이라 할 수 있겠네요.

징하 철로는 베이징과 하얼빈을 이으면서 동북 3성의 중심지를 모조리 통과하는데, 랴오닝 성의 선양, 지린 성의 창춘, 헤이룽장 성의 하얼빈을 모두 잇습니다. 이 세 도시는 모두 부성급시인데, 우리 나라로 치면 특례시 정도에 해당하죠. 가히 동북 3성의 뼈대라 불릴 만한 노선입니다.

과거의 뼈아픈 역사의 흔적을 뒤로 하고, 중국은 2019년에 징하 고속철로를 완전 개통하려고 하고 있습니다(현재는 고속철도는 톈진을 거쳐 산해관에서 합류하여 선양까지 고속전용노선으로 달리다가 선양에서 하다 고속철로를 이용하여 하얼빈까지 갑니다). 현재 베이징 북역이 폐쇄되어 있는데 이 징하 고속철로의 완전개통시기에 맞춰 다시 연다는군요. 8종8횡계획의 북쪽의 주축이 될 징하 고속철로를 바탕으로 동북 3성은 다시 도약할 수 있을까요?

시작부터 제국주의자의 돈으로 건설되어 러시아에게, 소련에게, 그리고 일본에게 이권을 팔리며, 자국민이 아닌 남의 나라의 자본가들과 제국주의자들의 배를 살찌웠고 그 피는 고스란히 중국인(그리고 우리 나라도)들이 떠안았기에, 착공이 시작된 1897년부터 중국인의 손으로 되돌아온 1949년까지 50년을 중국인들과 만주의 조선인들의 피눈물 속에서 달렸던 징하 철로. 과연 이번에는 백 년 동안 동북 3성의 사람들을 위한 철로로써 중국인의, 중국인에 의한, 중국인을 위한 철로가 될 수 있을지, 아니면 단순히 시진핑 황제의 치적 사업 정도로 끝날 것인지... 그 모든 것을 의문으로 조용히 남겨둔 채 오늘도 고속열차는 하얼빈 서역과 베이징 남역을 잇고, 일반열차는 하얼빈 역과 베이징 역을 이으며 달리고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일은
18/04/05 19:52
수정 아이콘
1938년 조선철도 시간표를 가지고 있는데 부산 시발역으로 (도쿄가 중심이라) 노조미 기준으로 경성을 거쳐 신의주 봉천, 신경까지 24시간 좀 넘게 끊는거 보면서 참 신기했습니다. 남북대화에서 경원선 복원 이야기가 나오는데 우리 철도로 중국 철도와 바로 접속하게 되는 날이 언제나 올려나요.
이치죠 호타루
18/04/05 20:05
수정 아이콘
저 역시 중조우의교가 한중우의교(中韓友谊桥)로 바뀌고, 서울발 하얼빈행 고속열차가 뜨기를 고대하고 있습니다. (선양과 단둥을 잇는 선단 철로가 일부 구간이 단선이라는 게 함정이지만...)
TheLasid
18/04/05 20:02
수정 아이콘
반가운 글이네요.
이치죠 호타루
18/04/05 20:05
수정 아이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TheLasid
18/04/05 20:41
수정 아이콘
한참을 즐겁게 읽고 나서 추천 버튼을 누르면 '이미 추천하셨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는 글. 이치죠 호타루님의 글은 늘상 이런 식이지요 :)
Je ne sais quoi
18/04/05 22:48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평소 글보다 잘 읽혀서 좋네요 :)
이치죠 호타루
18/04/06 09:52
수정 아이콘
역시 글은 딱 생각날 때 술술 쓰는 글이 가장 잘 쓴 글인 것 같습니다.
18/04/06 02:00
수정 아이콘
최고입니다요!!
이치죠 호타루
18/04/06 10:0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
18/04/06 02:17
수정 아이콘
중국과 소련과 일본의 혼란기에 펼쳐진 만주의 철도 이야기들... 크고 자세하고 신기한 이야기들이군요. 깔끔한 글 잘 읽었습니다.
이치죠 호타루
18/04/06 10:03
수정 아이콘
이게 철도를 떠나면 위안 스카이나 북양군벌 등과 얽힌 이야기가 더 많은데 다 파다가는 책이 세 권은 족히 나오겠더라구요.
낭만없는 마법사
18/04/06 02:45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피지알 접으신 줄 알고 독소전쟁 글 더는 못보나 했는데 복귀하셨군요. 환영합니다!
이치죠 호타루
18/04/06 10:07
수정 아이콘
사실 2주 전에 복귀각 재고 있었는데 서브컬쳐계에 태풍이 크게 몰아치는 바람에 멘탈이...
18/04/06 09:22
수정 아이콘
잘 보았습니다
이치죠 호타루
18/04/06 10:07
수정 아이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Multivitamin
18/04/06 21: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잘 봤습니다. 독소전쟁도 곧 올려주실거죠?

역시 근대의 철도는 전쟁과 제국주의 확장의 역사와 밀접하군요..

그리고 곧 저 철도와 한국이 연결되어 대륙을 기차타고 갈 날이 오면 좋겠네요.
이치죠 호타루
18/04/08 21:14
수정 아이콘
대량의 물자 수송이 상대적으로 손쉽게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대규모 부대와 화물을 굴릴 능력이 있는 제국주의자들의 확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건 어쩔 수 없는 역사의 숙명일지도 모릅니다. 비단 철도만의 문제는 아니죠. 수에즈 운하 개통 당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환호했던 걸 생각하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483 [일반] 경부고속도로 50주년과 중국, 일본 [46] 흰둥10068 20/08/02 10068 0
84464 [일반] 실제 의심환자로 격리된 이야기 [15] AttackDDang8929 20/02/19 8929 7
82488 [일반] 평소에 포경을 허용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10] 한종화11693 19/08/30 11693 1
80721 [일반] 일본 F-35 실종... 해상 수색중 [44] 한국화약주식회사13323 19/04/09 13323 1
80475 [일반] [일상잡담] 차에서 고주파 음 삐~ 소리가 나던 문제 해결 후기 [22] d5kzu29551 19/03/18 29551 6
80197 [일반] 국빈 방문으로 출근길 경부고속도로를 통제했다고 합니다. [256] 지성파크24820 19/02/21 24820 15
79916 [일반] 국가균형발전프로젝트를 위해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된 사업들 [157] 아유14309 19/01/29 14309 12
79601 [일반] 석 달째 추리소설을 읽으며 - 스포 無 [10] 잠잘까7297 19/01/03 7297 7
79563 [일반] D사 이야기 [13] 콧등10241 19/01/01 10241 4
79548 [일반] 2019년 개통 예정인 수도권 전철역 [24] 光海9799 18/12/31 9799 6
79010 [일반] 용인 시민들의 숙원사업 신갈-대촌 국도 대체 도로가 드디어 개통됩니다. [11] 아유7987 18/11/25 7987 0
78839 [일반] 영국의 역사 - 노르만 왕조의 성립까지 [21] 신불해11402 18/11/12 11402 55
78380 [일반] [영화] 명당, 화가 난다. (스포잔뜩) [57] 항즐이10354 18/09/29 10354 12
77728 [일반] 인랑, 이대로 묻히기는 아까운 영화...라기보다 영상물?(스포있음) [16] 앙겔루스 노부스6653 18/07/26 6653 0
76499 [일반] [7] 징하 철로 - 중국 근현대사의 파란을 함께한 증인 [17] 이치죠 호타루7382 18/04/05 7382 16
76349 [일반] 정봉주 성추행 의혹 사건에 대해 [380] GogoGo16791 18/03/27 16791 15
76203 [일반] 고환의 비밀과 거세의 역사 (고환의 원리에 얽힌 인터섹슈얼의 비밀) [26] 카랑카24774 18/03/18 24774 68
75990 [일반] [뉴스 모음] 특집 - 이명박 정부 국정농단 특집 Vol.2 [20] The xian9866 18/03/03 9866 45
75697 [일반] 서울에서 대구까지 ... [2] 싸구려신사6843 18/02/03 6843 3
74976 [일반] 유방과 항우의 싸움 (4) 암흑책사 진평 [10] 신불해10365 17/12/14 10365 19
74302 [일반] "일반철도 운영손실 1조원…3개 노선만 흑자" [129] 군디츠마라13644 17/10/23 13644 0
73816 [일반] 남녀의 성별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인터섹슈얼의 원리) [11] 카랑카17357 17/09/17 17357 17
73471 [일반] 청색 작전 (8) - 필사의 탈출 [18] 이치죠 호타루5719 17/08/27 5719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