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3/03 10:09:51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토막글] 1942년부터 미국은 히로히토를 괴뢰로 삼으려했다 (수정됨)
2001년 무렵 에드윈 라이샤워 (Edwin Reischauer) 가 1942년에 작성한 메모가 발견되어, 일본사 전문가 타카시 후지타니에 의해 논문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아 먼저 에드윈 라이샤워에 대해 말씀을 드려야겠군요. 중국사에 존 킹 페어뱅크가 있다면, 일본사에는 에드윈 라이샤워가 있습니다. 하버드 대학교의 중국 연구소는 옌칭연구소인 반면 동 대학의 일본연구소는 라이샤워 연구소라 불립니다. 라이샤워는 당대 미국 최고의 일본전문가로 후일 주일미국대사까지 지냈는데,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1942년에 그가 이런 메모를 작성해서 국무부에 발송했다는 게 참 어떻게 보면 대단하고 또 어떻게 보면 소름돋는 일입니다. 그 메모의 내용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우리는 나치나 파시스트들에 대한 강력한 반감을 예상할 수 있고, 따라서 인구 다수의 협조를 구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다. 일본에서는 반대로 그러한 전후 처리가 쉽지 않다. 이념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우리는 치밀하게 계획된 전략이 필요하다. 그 첫번째 단계로, 우리와 협조할 수 있는 한 그룹을 확보해야 한다. 그러한 그룹이 일본인들 중 소수라면, 일종의 괴뢰정부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또한 괴뢰정부를 설치하는 정책을 수차례 구사한 적이 있다. 하지만 그들은 대부분 성공하지 못했는데, 그 괴뢰들의 자질 때문이었다. 하지만 일본에는 모든 괴뢰 중에서도 가장 우수한 괴뢰가 있으며, 그는 우리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이 중국에서 설치한 괴뢰와는 달리 현지에서도 엄청난 권위를 지니고 있다. 그렇다. 나는 지금 일본 천황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전쟁이 끝난 이후 천황을 우리의 동맹 또는 괴뢰로 만들려면 그를 (현재 전쟁으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사람으로 만들어야 한다. 다시 말해, 그는 아시아의 히틀러나 무솔리니처럼 묘사되거나 아시아 전체주의의 상징처럼 묘사되어선 안 된다. 우리 라디오와 언론이 그를 그렇게 묘사하는 것은 전후 그의 효용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 이는 미국인들이 그와 협조하는 것을 주저하게 만들 것이며, 또는 그를 도구로 사용하는 것조차 반대할 수 있다. 그리고 천황은 물론 그의 측근들이 우리와 협조하지 못하게 되는 이유가 될 수도 있다. 

전후처리를 염두에 두고, 우리 정부는 천황을 직접 언급하는 것을 최대한 피해야 할 것이며 그 대신 특정 개인들을 공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도조나 야마모토 아니면 그 어떤 Mr. 모토 던지 간에, 그들이 우리의 적이라는 점을 선전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인 통사에 따르면 미국이 일본에 대한 정책을 급선회한 이유는 1949년 중국공산화였습니다. 그런데 라이샤워 메모를 보면, 미국의 대일정책과 전후구상은 이미 꽤 이른 시기에 형성이 되어있었던 것 같습니다. 

여담이지만, 미국에서는 인문학적/역사적 소양이 있는 인물들이 국가정책에 관여하는 일이 잦은데 (라이샤워 뿐만 아니라 미국 60-70년대를 지배했던 키신저도 역사가 주전공) 우리나라에서도 아카데미에 있는 인물들이 정책에 능동적으로 관여할 수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ownTeamisDown
20/03/03 11:38
수정 아이콘
미국입장에서는 아쉬운게 히로히토 밑에 있을 실질적인 수장에 중국공산화 이후 기존의 우익들한테 맡겨야했던게 싫었을것 같습니다.
뭐 선택의 여지가 그시점되면 그것밖에 없었을테니...
20/03/03 12:44
수정 아이콘
인간 천황과 쇼균 맥아더...
及時雨
20/03/03 13:00
수정 아이콘
진짜 쇼군될뻔
코사카 호노카
20/03/03 13:28
수정 아이콘
MR모토라니 뻘하게 터지네요
20/03/03 14:45
수정 아이콘
최근에 아우렐리우스님 덕분에 일본사에 관심을 가져서 입문서인 '처음 읽는 세계사'를 읽고 있습니다.

이걸 다 읽고 난 후에는 아틀라스 일본사도 읽어볼 계획인데 에도막부시절과 메이지유신 시절 관련한 좋은 책들이 있다면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edi Woon
20/03/04 00:49
수정 아이콘
현재 연재중인데, 굽시니스트의 '본격 한중일 세계사' 추천드립니다. 한중일 삼국을 왔다갔다하며 흐름을 보여주는데 삼국의 근대사를 비교하며 볼 수 있습니다.
aurelius
20/03/04 08:20
수정 아이콘
입문서로는 저도 굽시니스트의 한중일 세계사 추천드립니다. 솔직히 국내 일반 교과서보다 훨씬 많은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6808 [일반] "8월의 폭풍"으로: 소련과 일본의 40년 충돌사-서문 [32] PKKA9070 20/06/19 9070 38
86597 [일반] 겐페이나 한판 칠까. [19] Love&Hate11591 20/06/06 11591 11
86157 [일반] 중국은 패권국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가? [67] 아리쑤리랑26806 20/05/11 26806 133
85676 [일반] 일본의 덧없음과 멋 [104] UMC22411 20/04/13 22411 93
85446 [일반] [토막글] 요시다 쇼인이 옥중에서 쓴 서신 [5] aurelius7608 20/03/30 7608 0
84843 [일반] [토막글] 1942년부터 미국은 히로히토를 괴뢰로 삼으려했다 [7] aurelius8529 20/03/03 8529 8
84833 [일반] [역사] 일본의 조선침투는 어떻게 전개되었나? (1) [3] aurelius7499 20/03/02 7499 8
84441 [일반] [단상] 일본과 중국에 대한 첫인상 (1) [4] aurelius6598 20/02/19 6598 3
84331 [일반] [도서] 오쿠보 도시미치와 동아시아 [3] aurelius6545 20/02/09 6545 1
84120 [일반] [역사] 청일수호조규는 어떻게 체결되었는가? aurelius8062 20/01/22 8062 5
84073 [일반] [역사] 1919년 김규식은 파리에서 무엇을 주장했는가? [2] aurelius6630 20/01/18 6630 4
84067 [일반] [역사]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정말 아무것도 몰랐을까? [23] aurelius10370 20/01/18 10370 4
84017 [일반] [역사] 19세기 일본의 세계일주 미구회람실기의 서문 [4] aurelius7188 20/01/13 7188 5
83495 [일반] [역사] 메이지 유신에 대한 간략한 요약 [18] aurelius8451 19/11/22 8451 9
83405 [일반] [역사] 이토 히로부미 이야기 [16] aurelius9114 19/11/13 9114 20
83294 [일반] [역사] 일본 최초 방미사절단의 반응 [11] aurelius13023 19/11/01 13023 18
83198 [일반] [역사] 메이지 유신을 만든 4명의 영국인 [14] aurelius7681 19/10/22 7681 12
83192 [일반] [단상] 왜 갑신정변은 실패할수밖에 없었나? [29] aurelius9805 19/10/21 9805 13
83188 [일반] [역사] 러일전쟁에 대한 짧은 이야기 [12] aurelius8782 19/10/21 8782 21
82247 [정치] 국가혁명당(國家革命黨)이 창당되었습니다 [89] 에어크래프트13551 19/08/16 13551 10
82201 [일반] [역사] 패전 직후의 일본, 그리고 미국 [25] aurelius11417 19/08/13 11417 19
81636 [일반] (스포)개인적으로 본 신선한 소재나 파격적인 전개로 충격을 받았던 영화 베스트10(2부-1장. feat.감각의 제국, 실락원 그리고 지하상가) [8] 파멸성8932 19/06/29 8932 1
81541 [일반] [단상] 한국에는 국가적 신화가 없다 [113] aurelius12081 19/06/20 12081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