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4/13 14:30:09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유럽] 부활절, 홀로 미사드리는 교황

 mania-done-670ee48159f0cb2640cbcf5f86971a09.jpg


mania-done-9d6509558283eb9fc1d80c4cdbcbd132.jpg




mania-done-534e8cbbe9f200cc59eb4ceb35380563.jpg




mania-done-604d7a6965991f0a6ae4e84b3c9af5ed.jpg


mania-done-43150347ca387c6962fc485e1713f18a.jpg


wayofcross.jpg

Pope Francis calls for “contagion of hope” – Reuters Dispatches ...


Easter: in an almost empty St. Peter's basilica, the pope's ...


성베드로대성당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신도들 없이 측근 추기경 및 일부 사제들과 함께 미사를 집전했습니다


거룩하고 엄숙하다는 말이 어울리는 광경입니다. 


지금까지 바티칸을 방문할 기회가 여러번 있었는데, 매번 그곳의 규모와 찬란함에 놀라곤 했습니다. 


여담이지만, 로마의 성베드로대성당이나 라테란대성당은 모두 바로크+고전주의의 묘한 혼종(?) 건축양식인데


신구교 대립 당시 가톨릭 교회의 위엄을 더욱 높이기 위해 로마시대의 모티브를 많이 차용했다고 합니다. 


(역설적으로 당시 교회의 반개혁운동- counter reformation - 이 고전학문 연구를 촉진하면서 계몽주의를 잉태했다고 하네요) 


그렇게 거대한 곳에 홀로 단 몇명과 함께 미사를 집전한다는 게 어떤 느낌일지


왠지 [나는 전설이다] 영화의 한 장면이 떠오릅니다. 


아무튼 어제 교황성하는 전세계로 생중계되는 방송을 통해 부활절 미사를 드리고


전세계 신도와 그 외 세계인들을 강복했습니다. 


아픈자와 가난한자, 난민과 환자들을 위해 기도를 하셨고


이기심과 탐욕에 빠지지 않도록 사람들에게 용기를 달라고 기도하셨습니다. 


계속 무책임하게 예배를 강행하는 우리나라 일부 개신교 교회들과는 극명히 대비되는 모습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ardaukar
20/04/13 14:36
수정 아이콘
이분은 오래 사셨으면
쿠키고기
20/04/13 15:01
수정 아이콘
+1
카톨릭 신자는 아니지만
이 분에게 참 여러가지로 감동 많이 받았습니다.
Janzisuka
20/04/13 15:31
수정 아이콘
적어도 각 종교의 대표자들이라면 진짜 이정도는 되야하는데 멀이죠
20/04/13 15:08
수정 아이콘
일부 개신교는 진짜 반성해야...
본인들이 믿는 게 종교가 아니라 돈벌이수단이 아닌 지 생각해 보길...
20/04/13 15:34
수정 아이콘
교황청이 면죄부 판다고 500년전에 종교개혁을 부르짖던 개신교가
이제는 종교개혁의 대상이 되어도 할말없을 아이러니...
CozyStar
20/04/13 16:34
수정 아이콘
저는 한국 기독교는 (주)예수 느낌을 너무 강하게 받아서....
20/04/13 16:38
수정 아이콘
엌... 센스 있으시네요 흐흐
타츠야
20/04/13 19:30
수정 아이콘
유한회사가 너무 많죠...
이시하라사토미
20/04/13 15:08
수정 아이콘
영화 한장면 같네요... 사진만 봐도 뭔가 신성해지는 느낌입니다.
나른한날
20/04/13 15:58
수정 아이콘
코로나 19 모티브한 영화가 나오면 이 씬은 꼭 나올듯
롯데올해는다르다
20/04/13 15:15
수정 아이콘
기왕 시국이 이래된 거 각국의 관광지들을 영상으로 잘 찍어서 나중에 VR에서 각국 관광지를 제대로 둘러볼 수 있으면 장관이겠다 싶네요.
사람이 없는 관광명소들은 참 압도적입니다.
20/04/14 06:16
수정 아이콘
유비 소프트 게임들이 VR 지원하면 어느 정도는 비슷하게 느낄 수 있을 것 같아요.
묘이 미나
20/04/13 15:31
수정 아이콘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IVwgKi-Fza4

넷플릭스 [두 교황] 추천
니나노나
20/04/13 20:21
수정 아이콘
저도 추천합니다. 지루하지 않고 두 교황들의 설전? 티키타카?가 재밌어요 크크
20/04/13 20:26
수정 아이콘
저도 추천!
두 할배(?)가 액션신도 없이 수다나 떠는 게 영화의 중심인데(?!), 근데 괜찮습니다. ?!
20/04/13 15:33
수정 아이콘
영화의 한장면 같네요

멋지고 거룩해지네요
스웨트
20/04/13 15:38
수정 아이콘
신성하다 단어 그자체네요..
20/04/13 15:43
수정 아이콘
저 장대한 바티칸에서 몇명이 꽉채우는 느낌이네요.
신성 그 자체네요.
루트에리노
20/04/13 15:54
수정 아이콘
장엄하군요
종교에 기대하는 요소가 여러가지 있겠지만, 장엄함이 남아있는 몇 안되는 종교인듯 합니다.
ExedExes
20/04/13 15:54
수정 아이콘
교황 한 사람의 압도적인 존재감...
손연재
20/04/13 15:59
수정 아이콘
종교를 떠나서 사람 자체가 위대하게 보이네요.
20/04/13 16:10
수정 아이콘
평화를 빕니다.
헤이즐넛주세요
20/04/13 16:11
수정 아이콘
정말 영화의 한 장면같네요.
2020년 원더키디의 해라고 해서 인공지능이 발전한 초미래로 한발짝 내딛일 줄 알았는데
가장 원시적인 이유 때문에 인류가 주춤하고 있네요. 참 알 수 없는 세상입니다.
Chronic Fatigue
20/04/13 16:29
수정 아이콘
정말 영화의 한 장면....
저기서 오함마로 바닥 깨고 들어가면 딱 디아블로 시네마틱 느낌인데....

모쪼록 평안을 바랍니다
Horde is nothing
20/04/13 16:42
수정 아이콘
와 이거 독점 할려고 사람들 못오게 ...
여수낮바다
20/04/14 12:24
수정 아이콘
아니 이렇게 제 감동을 부숴 버리시면 ㅠㅠ 크크

진짜 이번 교황님은 오래오래 빛이 되어 주셨으면 해요
간손미
20/04/13 17:47
수정 아이콘
개신교가 잘 이해가 안되는데, 돈때문이라면 어차피 십일조나 헌금 낼사람들은 계좌 입금식으로 낼 수 있을거 같은데, 굳이 현장(오프라인)예배를 고집하는 [일부] 교회들은 뭘까요?
20/04/13 17:54
수정 아이콘
온라인으로 해보니 헌금액이 급감했거든요..
20/04/13 18:0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교회 특성상 기복신앙과 결부 되어서 목사님의 직접 은혜를 안받으면 대가를 안 지불합니다.
텅구리
20/04/13 18:16
수정 아이콘
제가 속한 교회 두 곳은 2월 말부터 계속 온라인 예배를 드리는 중이고, 그 중 한 곳은 이번주에 사전 참여희망자를 조사하여 지정 좌석을 두고 정해진 원칙을 준수한 채로 예배드렸는데요.
헌금 문제를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고 교인들 중에도 그런 생각을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만 저는 헌금이 주된 문제인 것 같지는 않습니다. 헌금이 당연히 줄기는 했을테지만 헌금의 대부분은 십일조에서 나오고 십일조는 밖에서 생각하는 것과 달리 모든 교인들이 꼬박꼬박 드리지 않습니다. 십일조를 매달 드리는 교인들은 온라인 헌금 등으로 냈을 거라고 생각하면 주일 헌금액이 줄기는 했겠지만 예배를 드리지 않음으로 인해서 3, 4월에 잡혀있던 예산들도 지출이 되지 않아 재정적인 문제가 심각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희 교회도 대형교회 정도의 규모는 아니지만 거의 한 달 전부터 구호헌금을 모금하고 있었고 재난 기금 및 작은 교회들을 위한 후원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물론, 교회 건물을 임대해서 임대료를 지불해야 하는 교회라면 좀 사정이 달라지겠죠...
저는 주된 이유는 오히려 현장예배를 중단하는 것 자체에 대한 반감(?)이 아닐까 하는데요. 보수적인 색채(정치적인 의미와 별개로)의 기독교인들에게는 매주 성전에서 예배하는 것을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를 중단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나 싶습니다. 코로나 사태와 같은 형태로 예배가 다시 중단되는 일이 반복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사실 저도 그렇고 현장예배인지 온라인예배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자리에 있지 않아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현재 "일부"교회들은 개학하는 선에 맞춰 현장예배를 시작하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할러퀸
20/04/13 19:20
수정 아이콘
이 의견에 개신교인으로서 동의합니다. 예배=헌금계수기 아니에요..
간손미
20/04/13 20:38
수정 아이콘
다른 시각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만 비신자로써는 이성적인 이유, 종교의 근본 자체 문제라기보다는, 관성과 우려의 문제로 이해가 되기는 합니다.
20/04/13 23:23
수정 아이콘
조금 다른 생각입니다.
보수적이라면 더 보수적일 천주교에서는 일사불란하게 오프라인 예배를 하지 않는 거를 보면, 개신교의 지금 일부(?) 행태는 목사들이 아웃오브사이트, 아웃오브마인드를 꺼려해서 억지로라도 현장예배를 오게끔 하는 게 아닌가 싶네요. 교회를 일정 기간 안 오게 되면 목사의 영향력이 사라질까봐 두려워하는 부분도 있는 것 같구요. 헌금은 부차적인 문제이지요.
텅구리
20/04/14 01:10
수정 아이콘
그런 부분도 있을 수 있을 것 같네요. 천주교가 더 보수적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지금 교황님은 꽤 진보적인 색채를 가지신 분이기도 하구요. 사실 개인적으로는 이미 정년 보장 받은 담임 목사가 영향력에 그렇게 연연할까 싶기는 합니다만 말씀하신대로 멀어지면서 성도들이 교회로부터 멀어져 가는 것을 염려하는 부분은 분명히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생각보다 성도들이 현장예배를 요구하는 경우가 꽤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쨌든 저는 긍정적인 이유를 찾다보니 시각이 다른 것 같기도 하네요. 물론 저도 문제 있는 교회가 없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고 대부분 그런 이유는 아니지 않을까 하는 의견입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20/04/13 20:32
수정 아이콘
“당장의 돈”보다는 “교회를 안나가도 되는구나?!”에 익숙해지는 게 가장 두려운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교회의 존재 자체가 부정되는거죠.
예수가 가르친 “마음속의 성전”이 모두에게 세워지면 지금의 교회들중 과연 몇이나 남을까요? 흐흐
루크레티아
20/04/13 18:54
수정 아이콘
요즘 어머니께서 주구장창 유튭 예배 동영상을 틀어두시는데, 그 수 많은 목사 설교들 중에서 단 하나도 저런 프란치스코 교황과 궤를 함께하는 설교들이 없더군요. 주절주절 하더니 결국 예수 믿으면 코로나 물리친다는 내용들의 향연..
텅구리
20/04/13 20:44
수정 아이콘
보는게 저와 많이 다른가보네요. 저는 매주 예배 설교나 겨우 듣는 특별할 것 없는 신자이지만 이웃을 사랑하자는 얘기 자주 듣는 것 같은데...
후쿠시마농수산물
20/04/13 19:06
수정 아이콘
간지라는 면에서는 오히려 더 강렬한 포스가 뿜어나오는듯 덜덜
포인트가드
20/04/13 19:19
수정 아이콘
천주교도 사실 기본은 십일조 정신입니다. 강요하거나 강조하지 않을뿐이죠.
대신 헌금의 십일조보다는 '하느님과 함께 하는' 시간의 십일조를 더 우선시합니다.
호야만세
20/04/13 19:27
수정 아이콘
신자는 아니지만 언제나 감동을 주시는 분..
20/04/13 21:03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oVCrfNqQLWQ&feature=emb_title

저는 프란치스코 교황 관련해 이 영상이 오래 기억에 남습니다.
영상 배경 설명하는 기사: https://www.huffingtonpost.kr/2014/06/26/story_n_5532261.html
GRANDFATHER__
20/04/13 22:07
수정 아이콘
어우 눈물이 핑도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고란고란
20/04/13 21:49
수정 아이콘
제목을 홀로 마시더라는... 이라고 봤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679 [일반] [유럽] 부활절, 홀로 미사드리는 교황 [43] aurelius14404 20/04/13 14404 23
85648 [일반] [도서] 교황청의 역사, 로마제국부터 21세기까지 [6] aurelius7658 20/04/11 7658 2
85614 [일반] [도서] 유럽에 대한 최고의 개설서 "문명의 그물" [24] aurelius12375 20/04/08 12375 9
85613 [일반] Samsung Rising 한국어판 출간 예정 [9] 간옹손건미축9141 20/04/08 9141 11
85602 [일반] [유럽] 왜 가톨릭이 개신교보다 EU에 더 우호적인가? [12] aurelius11141 20/04/07 11141 8
85595 [일반] [경제] 휴지·손소독제·쌀… 세계 곳곳서 한국에 "수출해달라" [147] aurelius17942 20/04/07 17942 7
85585 [일반] [유럽] 메르켈의 후계자로 거론되는 3인방 [13] aurelius11791 20/04/06 11791 5
85579 [일반] [단상] 크림반도는 다시 우크라이나로 귀속될 수 있을까? [31] aurelius11481 20/04/06 11481 5
85576 [일반] aurelius님께서 추천해주신 기사를 번역해보았습니다. [27] 간옹손건미축14232 20/04/06 14232 68
85560 [일반] [기사] 키신저 "코로나19 팬데믹, 세계 질서 영원히 바꿔놓을 것" [21] aurelius13210 20/04/05 13210 2
85546 [일반] [외신] 독일, 프랑스행 마스크 미국이 가로채 [44] aurelius14084 20/04/04 14084 0
85533 [일반] [외서] 삼성을 본격적으로 해부하는 책이 나왔네요 [37] aurelius16308 20/04/03 16308 3
85474 [일반] [유럽] 독재국가화 하는 헝가리, 무력한 유럽연합 [32] aurelius12421 20/03/31 12421 0
85464 [일반] [도서소개] 동남아시아에 대한 포괄적 통사 [27] aurelius9017 20/03/31 9017 17
85446 [일반] [토막글] 요시다 쇼인이 옥중에서 쓴 서신 [5] aurelius7664 20/03/30 7664 0
85423 [일반] [단상] n번방, 다크웹 - 디지털 시대의 지하세계 [24] aurelius13004 20/03/29 13004 2
85413 [일반] [코로나] 주일독일대사관, 일본 통계 공식 비판 [122] aurelius19354 20/03/28 19354 21
85382 [일반] [외신] 팬더믹은 어떻게 끝날 것인가? [40] aurelius16449 20/03/27 16449 4
85336 [일반] [단상] 서구보편주의, 코로나19, 그리고 한국 [30] aurelius10397 20/03/25 10397 14
85307 [일반] [코로나] 중국의 경악스러운 멍청돋는 외교 [39] aurelius14727 20/03/23 14727 6
85294 [일반] [프랑스] 루이뷔통, 입생로랑 마스크 생산에 동참 [49] aurelius13572 20/03/23 13572 2
85275 [일반] [외신] 코로나바이러스는 프랑스의 퇴보를 보여준다 [86] aurelius18740 20/03/21 18740 32
85273 [일반] [외신] 포린폴리시, "코로나바이러스가 바꿀 세계" [23] aurelius13512 20/03/21 13512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