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4/29 20:30:45
Name 렌야
Subject [일반] [정산회담] 국민연금의 오해와 진실(스압) (수정됨)
처음에는 유튜버 슈카월드의 슈카님이 출연한다고 해서 그냥 봤었는데,
생각보다 유익하고 재미있어서 최애 프로그램이었습니다.
(과거형인 이유는 이번주가 마지막화 ㅠㅠ)

아무튼,
마지막 주제로 국민연금에 대해서 다루어주더라고요.

아마 피지알에 계시는 대부분의 유저들이 반강제(?)로 가입중인 국민연금일텐데,

인터넷을 돌아다니면서 뉴스나 커뮤니티 글같은걸 보다보면,

지금같은 저출산 고령화 시대가 계속 되고,
나중에 일하는 인구는 적어지고 수령자들만 누적되면서
국민연금 기금이 고갈되면
우리가 수령할 때 쯤되서 국민연금 못받을 수도 있다더라 하는 얘기를
한 번쯤을 들어보셨을겁니다.

그 이야기들에 대한 의문점이나 걱정들이 상당히 많이 풀리는 유익한 회차였습니다.


001002003004005001002003004005006007008009010011012013014015016017018019020021022023024025026027028029030031032033034035036037038039040041042043044045046047048049050051052053054055056057058059060061062063064065066067068069070071072073074075076077078079080081082083084085086087


저도 사실 작년에 주식 하기전에는 국민연금 기금들을 그냥 놔두는줄 알았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0/04/29 20:35
수정 아이콘
사실 생각해보면 진짜 어느 정권이 나 죽여줍쇼(시체도 못찾을거같은데)하는거 아니면 연금은 무슨 수를 쓰더라도 지급은 해야죠...지급연령을 늦추거나 하는 식의 시도는 들어가고 지급액을 어느정도 줄일려는 시도는 할지언정 말이죠...
데브레첸
20/04/29 20:38
수정 아이콘
큰 틀은 맞습니다만, 지금대로 하면 2055년-2060년쯤 고갈된다는 부분은 잘 설명이 안 됐네요.
지금 추세대로라면 지급 중단은 없을지라도 더 내고 덜 받는 '불리한' 조건에서 연금을 수령하게 될 건 분명합니다. 이미 그런 식으로 두세 번 연금제도가 조정되었지요.
닉네임을바꾸다
20/04/29 20: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지간히 이상하게 바꾸지 않는한 그래도 사적 연금보단 무조건 투입대비 받는 돈은 좋긴할겁니다...아마도?
사적연금은 받은 돈으로 수익을 내더라도 상당부분을 자기 유지하는데 써야되서요...
거기에 망해도 기업이 먼저 망하지 국가가 먼저 망할 케이스는 드물테니 말이죠...
데브레첸
20/04/29 20:52
수정 아이콘
고갈된다는 건 과장일지 몰라도 전보다 불리한 조건에서 받을 건 거의 확실한데, 충분히 납득되는 설명 없이 '못 받을 일은 절대 없으니 안심해라' 정도로 퉁쳐서 말하는 건 별로 안 좋게 보입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0/04/29 20: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적립금이 고갈된다는것 자체도 일단은 확정이긴합니다...단지 고갈된다고 못받을 가능성은 낮다는정도요...
전보다 불리한건 맞는데 그렇다고 국민연금 안하고 그 돈으로 다른 데 투자한다해서 너프 먹을 국민연금 이상으로 뽑아낼 수 있냐면 그때부터 확률이...좀 그렇긴할겁니다...
에우도시우스
20/04/29 20:49
수정 아이콘
잘 모르지만 그래도 한국에 현존하는 그 어떤 민간상품보다 조건이 좋지 않나요?
데브레첸
20/04/29 20:52
수정 아이콘
고갈된다는 건 과장일지 몰라도 전보다 불리한 조건에서 받을 건 거의 확실한데, 충분히 납득되는 설명 없이 '못 받을 일은 절대 없으니 안심해라' 정도로 퉁쳐서 말하는 건 별로 안 좋게 보입니다. (2)
Dancewater
20/04/29 21:32
수정 아이콘
현재까지는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하지만 앞으로가 문제라는거죠. 주식도 문제가 되는게 고갈이 시작되면 팔아야 돈이 되기 때문에 계속 매도할 수 밖에 없는데 그러면 스스로 주가를 낮추는 형태가 되죠. 현재의 투자 수익률은 허상일 수도 있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0/04/29 20:43
수정 아이콘
슈카는 이제 진짜 메이저네요...
20/04/29 20:47
수정 아이콘
전현무 옆분은 편집때문인지 모르지만 이상한 소리하네요. irp 16.5프로 효과는 납입한 해에만 적용되니깐 연 1프로도 안되는거죠. 그냥 일시적으로 땡길뿐이지
traveldrum
20/04/29 20:48
수정 아이콘
이것도 역시 제일 중요한 부분을 대충 퉁치고 넘어가네요.

아무리 노예라도 인간이 달고 있는 뇌가 있는데,
그냥 숫자 계산상 지금처럼 줄 수 있는 각이 안나오니까, 젊어서 뜯기기만 하고 제대로 못받는 거 아니냐는 소리가 계속 나오는건데
매번 거창하게 시작해서 그부분 되면 그냥 나라가 세금으로 줌 하고 넘어감.

현실적으로 지금보다 어느 정도 불리해져야 유지가 가능하고, 세금으로 커버치려면 재원이 얼마나 들어가고, 이런 걸 계산해야 분석이지. 전문가라고 나와서 국정홍보물 읊는 수준으로 떠들고 있음.
닉네임을바꾸다
20/04/29 20:51
수정 아이콘
그냥 적립금 떨어지면 유럽처럼 부여식으로 가긴하겠죠...
이리스피르
20/04/30 12:58
수정 아이콘
그 부과식이 제대로 돌아가려면 젊은 층 숫자가 받쳐줘야죠... 안될꺼 다 아는데 눈가리고 아웅하니...
스타벅스
20/04/29 20:49
수정 아이콘
정산회담 저도 챙겨보던 프로였는데 아쉽더라고요.

시즌 2 해줬으면...

그리고 77억의 사랑은 비정상회담 시즌2로 돌아오기를.
피쟐러
20/04/29 21:09
수정 아이콘
그렇게 좋은거니 선택가입하게 해줘라 이놈들아
난 탈퇴하게
20/04/29 21:09
수정 아이콘
그 동안 젊은 감성에 맞는 경제, 재테크 프로그램이 없었는데 종영한 게 참 아쉽습니다. 예능와 경제를 잘 버무린 좋은 프로였다고 생각했는데..
나름 전문분야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월요일 심야시간대에 평균 1.5% 정도 시청률이면 그렇게 나쁘지 않은 거라고 봐서 시즌2를 기대해봐도 좋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을 한 번 해봅니다.
NoGainNoPain
20/04/29 21:26
수정 아이콘
기금 고갈이 되면 현재 국민연금에서 약속하고 있는 금액을 기금 고갈 시점에는 못받는다는게 주된 우려 내용인데, 그걸 연금 못받을 일이 없다는 걸로 돌려서 퉁쳐버리네요.
말돌리기로 교묘하게 논점을 피해는 전형적인 수법입니다.
SigurRos
20/04/29 21:32
수정 아이콘
국민연금 당연히 주겠죠. 수령나이 70세 75세로 늘리고 수령액을 얼마로 줄이든 주긴 줄겁니다. 막말로 10만원이라도 주겠죠
내우편함안에
20/04/29 21:34
수정 아이콘
국민연금 차라리 없애면 좋겠네요
툭하면 미래세대 피를 빨아먹는데
우리 청년들 등골휘게 한다 등등으로
세대간 갈등이나 일으키고
실재 지금도 연금을 등골휘게 부어대는 4-50대는 정작 연금
받을때즘이면 계속 연장 연장으로 80살즘 되야
받을 모양새인데 정작 벌써 젊은세대는 이난리이니
그냥 이세대가 운이 나빴다고 퉁치고 연금낸거
무이자 저금이었어로 셈셈하고 다 일괄지급하고
진정한 각자도생으로 같으면 차라리 좋겠습니다
이리스피르
20/04/30 13:00
수정 아이콘
이건 폭탄 돌리기니 문제죠.
소독용 에탄올
20/04/30 15:01
수정 아이콘
기한연장은 출생연도랑 가입연도에 따라 조정되는 형태로 갈 공산이 높습니다.
거기에 연금개혁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면 연금개시연령에 15-20년 남긴 40-50은 지금 연금개시연령에 받기 시작할 가능성이 가장 높고요.
세금이 더 많이 붙거나 액수가 줄어드는 쪽으로 가겠죠.
스타더스트
20/04/29 21:39
수정 아이콘
무슨 국정 홍보방송도 아니고 첨예한 논점은 교묘히 다 누락시키고 뭐하는 짓인지 모르겠네요. 막말로 연금은 고갈 안시켜도 그걸 세금으로 메우면 왼쪽 주머니에서 오른쪽 주머니로 옮기는 것밖에 더되는지요? 기본적으로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시기에 인구는 꾸준히 늘어난다는 가정 하에 세워진 현 연금 제도의 치명적 문제점은 하나도 언급 안하고, '정부를 믿어라'? 기도 안찹니다. 분명히 누군가는 납입한 것보다 더 받고 있습니다. 이런 제도가 지속 가능합니까?
닉네임을바꾸다
20/04/29 21: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적립금 쌓아두는 연금체계는 지속불가능한건 알고 있긴 했을걸요...그리고 언젠간 유럽처럼 부여식이라고해야하나 가게되는것도요 적립금을 쌓아두고 굴리는 연금제도는 지속불가능하지만 국민연금 그 자체가 지속 안된다는거하고는 좀 다르긴하죠...
The)UnderTaker
20/04/29 21:45
수정 아이콘
국민연금못믿겠다면서 사기업 연금넣는게 개그죠.
20/04/29 22:00
수정 아이콘
적립식이 부과식으로 바뀌는게 본질이 아니라 현실의 출산율과 경제성장율과 연금 설계에 고려된 성장율이 이미 차이가 나고 있고 이는 필연적으로 지금 조건이 존속가능하지 않다는게 핵심이죠. 전문가라고 나왔으면 납부상황과 향후 수급액에 따른 수익율 개념으로 접근해야 할텐데 적립액 얼마다 (얼마인지는 몰라도)반드시 준다 이런 소리를 하다니요..
눈표범
20/04/29 22:46
수정 아이콘
연금이 고갈될 시기의 소수 젊은이들이 대다수 노인들의 연금을 감당하기 위해 그 세금을 얼마나 내야할지 생각해보면, 저렇게 대충 세금으로 줄거다.하고 가볍게 넘어가는건 양심이 없는거죠.
20/04/30 05:31
수정 아이콘
1박2일에서 복불복 이겼을때 하는 말이랑 똑같은거죠. [나만 아니면 돼!]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그럴 확률이 더 높으니까요
20/04/29 23:08
수정 아이콘
그렇게 좋은거면 가입여부좀 본인이 선택할수 있게 해줬으면 하네요.
바부야마
20/04/29 23:18
수정 아이콘
내용이 빈약하네요
-안군-
20/04/29 23:39
수정 아이콘
국민연금 욕하는 사람들은 못받을까봐가 아니라 공정/공평함 때문에 욕하는거죠.
"와, 초기가입자는 꿀빨고, 우리는 X빠지게 납입하는데 이거밖에 못받네?"
가을여행
20/04/30 01:29
수정 아이콘
국민연금이 사기업연금보다 정말 나은걸까요?
개인적으로는 현재 3-40대는 국민연금 보험료를 사기업연금에 가입하는게 훨씬 유리할거라고 봅니다.
사기업연금은 사업비를 상대적으로 많이 부과한다는 인식은 있지만 적어도 본인몫을 굴려받는다는점, 그리고 위험률도 동일한 가입시기의 위험률을 적용받는다는점에서 사기업이 꼭 나쁘다고 단정할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소독용 에탄올
20/04/30 15:05
수정 아이콘
30-40식으로 길게 묶어서 판단하긴 어려울 겁니다.
국민연금 보험료를 사기업 연금에 낼 때 발생하는 향후이익은 개별상품마다 계산해봐야 나올거고, 국민연금 개혁 진행될때 줄어들 연금이 나이대 마다 다를테니까요.....
20/04/30 05:29
수정 아이콘
연금 고갈 여부에 상관없이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건 사실이지만 나이가 어려질수록 본인이 낸 만큼 못 받을 리스크가 크다는게 문제죠. 거기에 연금 고갈시 세금으로 충당한다면 더더욱 부담은 커지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035 [정치] 국민의 힘 저출산대책위원회 "초등 전일제 학교 도입" 제안 [160] 프리템포11975 20/09/10 11975 0
87946 [일반] 국제정세와 역사를 볼 때 유의해야할점 몇가지 [73] 아리쑤리랑25836 20/09/03 25836 128
87943 [일반] 양적완화의 결말이 어쩔지 궁금하긴 합니다 [51] 보리하늘13914 20/09/02 13914 0
87858 [일반] 현대세계를 관통하는 2가지 : 세계체제 그리고 초양극화 [55] 아리쑤리랑60162 20/08/29 60162 72
87824 [일반] 최근 서구권의 출산율 추이와 한국에 시사하는 점 [30] 데브레첸11746 20/08/27 11746 59
87461 [일반] 저출산은 과연 문제인가? [47] 부대찌개9960 20/07/31 9960 7
87379 [일반] 왜 중국은 미국을 4년안에 끝장내야만 하는가? [197] 아리쑤리랑73714 20/07/26 73714 224
87313 [일반] 신장에서 제노사이드가 벌어진다? - 위구르인의 출산을 억압하는 중국 정부 [49] 데브레첸14655 20/07/20 14655 24
87051 [일반] 쇠망해가는 지방민으로서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50] 므라노14315 20/07/03 14315 23
86895 [정치] 한국 사회의 고질병을 풀기 위해 갖춰야 할 두 가치관 [29] 데브레첸9810 20/06/24 9810 0
86880 [일반] 인구통계로 보는 2050년의 세계 [33] 데브레첸11087 20/06/23 11087 10
86646 [일반] 아버지의 조언 [13] 부대찌개9987 20/06/09 9987 1
86605 [일반] 저출산 문제. 한국의 특별함을 논해야 하지 않을까요? [265] 챗셔아이17246 20/06/07 17246 15
86237 [일반] 아빠가 되었습니다. [61] 정호석9912 20/05/15 9912 24
86230 [일반] 저출산 고령화 극복을 위해 얼마나 과감한 정책이 필요한가? [57] 데브레첸10000 20/05/14 10000 1
86228 [정치] 저출산에 관한 짧은 생각 [72] 케넨9752 20/05/14 9752 0
86157 [일반] 중국은 패권국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가? [67] 아리쑤리랑26974 20/05/11 26974 133
85948 [일반] [정산회담] 국민연금의 오해와 진실(스압) [33] 렌야8931 20/04/29 8931 6
85946 [일반] 출산율은 살기 힘들어져서 내려갔는가? [121] CapitalismHO14310 20/04/29 14310 6
85892 [정치] 왜 보수는 인터넷에서 약진하고 총선에서 대패했는가? : 억텐, 뇌절, 먹금 [153] 판댜17075 20/04/27 17075 0
85279 [일반] 지난 20년과 앞으로의 국제정세에 관해. [91] 아리쑤리랑34203 20/03/22 34203 109
85235 [일반] 2019년도 혼인·이혼 통계가 나왔습니다. [111] Danpat15683 20/03/20 15683 2
85091 [일반] (일본) 4월 시행을 앞둔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소개_2 [9] 한뫼소8164 20/03/14 8164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