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7/25 14:08:22
Name aurelius
File #1 KakaoTalk_20200725_135934215.jpg (121.5 KB), Download : 64
Subject [일반] [도서] 이와나미 신서 중국의 역사 시리즈



일본의 유명 교양서 전문 출판사 이와나미가 최근 [중국의 역사]를 주제로 신서판 시리즈를 내고 있습니다. 
중화의 성립부터 청조의 멸망까지. 중국 역사의 굵직한 시기를 5가지 주요 테마로 엮어서 일반 대중서로 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한 권밖에 구매하지 않았지만, 일본어 실력이 미천한 관계로 아마 읽는데 상당히 오래걸릴 거 같습니다.
아무튼 책의 서론에서는 시리즈의 구성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본 시리즈는 중국역사의 시기를 크게 5개로 나누고 있는데, 

첫째, 춘추전국에서부터 진나라, 한나라의 통일 그리고 당나라에 이르기까지
이른바 [중화]라는 개념이 탄생하게 되는 시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중화라는 개념이 어떻게 처음 탄생했고, 그것이 실제 의미했던 바가 무엇인지, 
그 과정에서 외부세계와는 어떤 관계를 수립했는지 밝히는 게 주 목적입니다. 

둘째, 화남 또는 이른바 강남의 개발
초나라, 오나라, 월나라 그리고 위진의 붕괴 후 6조가 들어서기까지
그리고 수나라때부터 시작한 강남의 개발
이 과정에서 일본과 신라 그리고 무슬림 상인들의 역할은 무엇이었는지 밝히는 게 주 목적입니다. 

셋째, 초원세계가 중원을 정복했을 때 
초원세계, 또는 유목민족이 중원과 어떤 관계를 맺었고 중원은 이에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
흉노와 한나라의 관계, 거란족의 요나라, 여진족의 금나라의 화북 평정
그리고 원나라에 의한 중국정복까지. 이들 유목민족이 중국사에 끼친 영향이 무엇있는지 밝히는 게 주 목적입니다. 

넷째, 원나라의 멸망과 명나라의 부상. 화북과 화남의 완전한 통일
명나라의 부상이 동아시아 세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남경시대에서 북경시대로의 이행, 그리고 은으로 상징되는 세계무역체제의 편입
북로남왜라 부르는 위기 상황이 어떻게 초래되었는지 
명은 경제와 사회를 어떻게 재편하려고 했고, 여진족과 몽골 그리고 일본과는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
이를 밝히는 게 제4권의 주 목적입니다 (제가 구매한 책이기도 하고요) 

다섯째, 명나라의 멸망과 청나라의 부상 그리고 서구열강의 침투
명나라 멸망 후 만주족의 천하통일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이었는지, 
어떻게 제국을 통치했고, 서양과 일본과는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
그리고 나아가 왜 근대화에 실패했고 신해혁명이 어떻게 발발했는지 등을 설명하는 종장입니다. 
다섯번째 챕터는 아직 미출간 상태더군요.  

이와나미 신서의 책들은 우리나라에서도 종종 번역되는데, 중국의 역사 시리즈도 번역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개인적으로 강남의 개발 챕터에 관심이 많이 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조말론
20/07/25 14:10
수정 아이콘
중국의 역사라는 이름을 단 책은 진순신저를 읽은 기억이 있네요 제가 좋아하던 삼국시대가 별 비중이 없는걸 보고 실망했던 기억이..
20/07/25 16:10
수정 아이콘
이와나미 시리즈는 정발된 걸 몇 개 읽어봤는데

수박 겉 핥는 것 같아서 손이 안 가더라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465 [일반] [후기] 영화 강철비 2, 볼만한 한국형 블록버스터 [54] aurelius11458 20/07/31 11458 0
87443 [일반] [단상] 일본 주류의 역사관과 대외관에 대한 몇가지 생각 [37] aurelius12159 20/07/30 12159 28
87440 [일반] [번역] 일본 NSC차장 - 역사의 교훈 - 조선 식민 지배 [17] aurelius10599 20/07/30 10599 6
87436 [일반] [번역] 일본 NSC차장 - 역사의 교훈 - 조선이란 무엇인가? [19] aurelius9049 20/07/30 9049 4
87431 [일반] [번역] 일본 NSC차장 - 역사의 교훈 - 서장 [19] aurelius9108 20/07/29 9108 5
87415 [일반] [잡담] 로마가 남긴 가장 위대한 유산 [5] aurelius7757 20/07/29 7757 5
87398 [일반] [역사] 교황청의 역사: 제7부 - 르네상스의 교황들 (1) [3] aurelius8047 20/07/28 8047 11
87397 [일반] [잡담] 여러분은 어느 지역/주제의 역사에 관심있으신가요? [82] aurelius9994 20/07/27 9994 9
87392 [일반] [역사] 교황청의 역사: 제6부 - 아비뇽 유수 [8] aurelius8727 20/07/27 8727 10
87387 [일반] [도서] 일본 NSC 차장이 보는 "역사의 교훈" [9] aurelius10061 20/07/26 10061 9
87386 [일반] [역사] 교황청의 역사: 제5부 - 교황 권력의 절정기 [4] aurelius8111 20/07/26 8111 15
87370 [일반] [도서] 이와나미 신서 중국의 역사 시리즈 [2] aurelius7357 20/07/25 7357 2
87368 [일반] [도서] 칭기스의 교환 - 몽골제국은 무엇이었나? [9] aurelius7763 20/07/25 7763 14
87358 [일반] [역사] 교황청의 역사: 제4부 - 십자군전쟁과 교황 [3] aurelius8271 20/07/23 8271 11
87354 [일반] [역사] 교황청의 역사: 제3부 - 카노사의 굴욕과 서임권투쟁 [9] aurelius8551 20/07/23 8551 10
87339 [일반] [역사] 교황청의 역사: 제2부, 혼돈의 시대 그리고 혁명가의 탄생 [5] aurelius7570 20/07/22 7570 11
87331 [일반] [역사] 교황청의 역사: 제1부, 로마의 후계자 [3] aurelius8712 20/07/22 8712 15
87314 [일반] [역사] 현대 일본의 국부 요시다 시게루는 누구인가? [14] aurelius10368 20/07/20 10368 8
87305 [일반] [역사] 중국 지식인 량치차오가 바라본 한일병합 [19] aurelius10208 20/07/20 10208 19
87301 [일반] [역사] 19세기 일본의 조선 여행기 [13] aurelius10391 20/07/20 10391 14
87286 [일반] [역사] 근대 서양과 동아시아의 만남, 그리고 미래 [7] aurelius9511 20/07/18 9511 17
87277 [일반] [역사] 중국의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23] aurelius12099 20/07/17 12099 26
87210 [일반] [역사] 오다 노부나가는 어떻게 일본을 제패했나? [44] aurelius11763 20/07/12 11763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