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6/07 18:03:22
Name 나주꿀
Subject [일반] 한미 미사일 지침 해제, 더 멀리 더 무겁게, 그걸로 끝? (수정됨)
1. 한미 미사일 지침, 미사일 외에도 바뀐점 몇 가지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52511410001584

김병주 "미사일 지침 종료...우리도 무기 실은 대형 드론 개발 가능해져"
한국일보/2021/05/25


사람들이 한미 미사일 지침이라고 하면 미사일의 탄두와 사정거리 800km만 생각했는데
사실 그 외에도 액체와 고체 연료의 사용 제한, 대형드론(무인기)의 무게제한도 있었다고 합니다.
(김병주 의원은 육군 미사일 사령부 사령관이니 이 분야에선 권위가 확실히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

이번 미사일 지침 해제로

a. 만들고 싶은 미사일을 마음대로 만들 수 있게 됐고



1분 57초 부터 나오는 교수님의 목소리만 들으시면 됩니다. (싱글벙글....)


b. 우주산업에서 족쇄가 풀렸으며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21060437281
우리 기술로 만든 첫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위용 드러내…10월 발사
한국경제/2021/06/07

(킬체인에 필요한 감시, 정찰용 인공위성 사업(425사업), 군사 통신위성 확보에도 도움이 되겠죠?)


c. 대형드론(무인기)의 무게 제한이 풀려서 (기존엔 2.5톤)
무인 전투기 개발 사업에도 활로가 열릴 것으로 보입니다.

-------------------------------------------------------------------------
2. 미사일 사거리 해제를 거리 단위로 살펴보자


A. 기존의 사거리 800km, 비교적 안전한 한반도 남쪽에서도 북한 대부분을 폭격 가능
(하지만 베이징이랑 도쿄엔 미묘하게 안 닿음)

B. 1000km부턴 베이징과 상하이, 도쿄가 닿기 시작합니다.

C. 3000km (준중거리 탄도미사일) 일본 전역, 중국 인구의 95%가 사는 지역이 모두 닿습니다.
(대략 필리핀과 베트남 북부지역도 사정거리에 넣을 수 있고요)

D. 여기부턴 좀 뇌절인데, 6,500km로 늘리면 이제 모스크바가 닿습니다.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도 들어가네요.

-------------------------------------------------------------------------
3. 더 멀리, 더 무겁게, 그거 말고 더 빨리는 안되나?

요즘 미사일 개발 트렌드는 '극초음속'입니다.

소리의 속도가 초속 340m 가량 되는데 여기서 부터 마하 1이라고 하죠.
마하1 보다 낮으면 아음속 (토마호크, 현무3 같은 순항 미사일이 여기 해당)
마하1보다 빠르면 초음속
마하 5이상부터는 극초음속 무기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이 극초음속 무기는 현재 러시아와 중국이 실전배치했다고 주장하고 있고요
(러시아의 아방가르드 미사일, 중국의 DF-17등)

마하 5 정도의 속도면 대략 초속 1.7km인데 이 정도면 서울에서 쏜다고 가정할 때 평양까지 1분 조금 더 걸려서 타격 가능한 수준입니다.
서울에서 이걸 쏴서 북한 레이더에서 이걸 탐지하고 윗선에 보고하고 주석궁의 그 분(?)이 대피할 때까지 1분 준다고 하면
뭐 그냥 죽으라는 소리죠...

마하 1로 날아오는 미사일이 있다면 레이더로 이걸 탐지하고 요격하는데 주어진 시간이 290초 가량,
하지만 마하8의 속도 (러시아가 주장하는 지르콘 미사일의 속도)면 대응할 시간이 30초밖에 안됩니다.


이렇게 매력적인 무기지만 개발상 난점이 몇 가지 있는데

1. 너무 빨리 날아가는 상태에선 팬 방식 제트엔진이 작동하지 않아 렘제트엔진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게 어려움.

2. 공기저항이 있는 상태에서 극초음속으로 이동하면 탄두가 녹아내리는데, 초고열 상태를 버틸 재료를 만드는게 어려움

3. 마하 5 이상에선 미사일 주변의 공기가 이온화되는데, 이러면 전파통신 어려움

등이 있다고 합니다.


출처:



RealLifeLore2 : The Rise of Hypersonic Missiles

https://www.youtube.com/watch?v=r4itLSsFV5s&ab_channel=%EA%B5%AD%EB%B0%A9TV
국방 tv : 지식포커스 극초음속 미사일의 파괴력은?



TSP NEWS : 왜 최첨단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이 핵 전쟁의 가능성을 높여 버렸을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비발디
21/06/07 18:14
수정 아이콘
현재 우리나라가 역사상 가장 강력한 한반도 국가가 아닐지..
다빈치
21/06/07 19:03
수정 아이콘
리미트 해제된 대한민국!
그 상대는~
역사상 가장 패권에 집착하는 중~국!

가장...은 아니려나요 크크 원나라 역사도 중국걸로 쳐야하나.
이부키
21/06/07 19:32
수정 아이콘
역사상으로 치면 그래도 고려때 거란족들 쓸어버릴 때가 제일 강력했을 것 같습니다.
이른취침
21/06/08 00:31
수정 아이콘
말그대로 고려 리즈시절...
사신단으로 가서 행패 부려도 익스큐즈되던...
닉네임을바꾸다
21/06/07 18:21
수정 아이콘
뭐 극초음속 활공체의 경우는 탄도미사일 사거리 제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던가 하더군요...
극초음속 순항미사일은 러시아나 2020년대에 실전배치할거고....
21/06/07 18:22
수정 아이콘
미사일 속도가 빨라질 수록 미국의 위치가 빛을 발하겠군요. 가상 적국인 러시아, 중국 상대로 최소한 핵가방 열고 버튼 누를 시간은 충분할테니
워체스트
21/06/07 18:22
수정 아이콘
이미 2025년즈음으로 극초음속 활공체인 부스트 글라이더,
2030년 즈음으로 극초음속 순항미사일까지 계획되어 있더군요.

그외 중거리 탄도미사일의 경우 미사일의 사거리가 늘어날수록 도입단가와 유지비가 산으로 가는데,
적당히 3000km 수준에 많은양을 뽑아냈으면 좋겠네요.
츠라빈스카야
21/06/07 18:30
수정 아이콘
마지막 영상 썸네일 저게 웨이브라이더던가 그랬죠 아마....
하심군
21/06/07 18:47
수정 아이콘
드론이 좀 커보이더라고요. 특히 이쪽은 만들기 비교적 쉽다는 의미에서 수출도 쉬운편이라.
21/06/07 18:51
수정 아이콘
번외 이기는 한데 우리나라 가공식품도 멀리 나갈 수 있게 되었다고 하네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한국이 지난 20일 EU의 '복합식품 수입승인국가' 목록에 추가로 등재됐다고 밝혔습니다.]
https://www.ytn.co.kr/_ln/0103_202105261027159675

미사일도 해제 가공식품 유럽 수출도 해제. 관련된 기업들이 돈 많이 벌면 좋겠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1/06/07 18:59
수정 아이콘
미사일에 실어서 수출?
나주꿀
21/06/07 19:01
수정 아이콘
진정한 로켓 배송... 후덜덜
21/06/07 19:01
수정 아이콘
로켓배송? 쿠팡 풀매수 각인가요?
아이고배야
21/06/07 21:17
수정 아이콘
도착했는데 배송상태 불량으로 신고 당할거 같네요..도착 직후 남아있지 않을 듯..
네이비크림빵
21/06/08 08:28
수정 아이콘
신고할 손님도 없…
abc초콜릿
21/06/07 21:10
수정 아이콘
겨우 200km 날아가는 탄도탄 만들려고 극초음속 미사일을 만드는 건 너무 비효율적 같은데...
닉네임을바꾸다
21/06/07 21:13
수정 아이콘
순항미사일 아닐까요? 활공체야 탄도미사일 기반으로 쏴야하지만...그 상위버전으로 극초음속 순항미사일이 있거든요....
탄도미사일은 궤도가 상대적으로 단순해서 그렇지...마하 10은 그냥 넘는데 애초에 필요가 없죠...
abc초콜릿
21/06/08 09:09
수정 아이콘
순항미사일이면 미사일 지침이랑 처음부터 무관해서 아마 본문 내용과는 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군이 그간 순항미사일을 개발했던 것도 미사일 지침 자체가 탄도미사일 얘기였지 순항미사일은 무관했거든요.

그리고 탄도미사일이 마하 10이 넘는 순간은 대기권에서 재돌입하면서 자유낙하할 때인데 그렇게 되려면 몇천킬로미터 날아가는 미사일일 때 얘기지 겨우 몇백 킬로미터 거리에서는 그렇게 올라가지도 못합니다. 그 정도면 거의 직각으로 쏘아올려서 직각으로 떨어지는 수준인데
닉네임을바꾸다
21/06/08 09:52
수정 아이콘
사실 극초음속 순항미사일은 그냥 기술난이도문제가...이중펄스뭐시기니 이것저것 요구되는게 있으니까요....러시아나 2025년에 실전배치한다고하고 나머지는 대부분 30년대 이후로...미국도 여기서는 러시아에 밀리는지라...
활공체야 중국도 배치했다곤 하는데...
그리고 함대함미사일이나 이런거면 200Km 언저리일수 있고...
나주꿀
21/06/07 21:44
수정 아이콘
전투기에서 발사하는 형태의 극초음속 미사일도 개발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030 [일반] '암살자들' 예술영화 불인정 및 영화지원사업 수혜자 성비 5:5 맞추겠다는 영진위 [58] 판을흔들어라11761 21/06/09 11761 7
91994 [일반] 한미 미사일 지침 해제, 더 멀리 더 무겁게, 그걸로 끝? [20] 나주꿀13932 21/06/07 13932 7
91844 [일반] 한국인이 되는데 필요한 자격과 조건은 뭘까요? [185] 나주꿀19756 21/05/27 19756 11
91792 [일반] 호랑이,표범 등 맹수가 너무 많았던 한반도 [40] 청자켓17409 21/05/22 17409 14
91719 [일반] [역사] 참을 수 없이 슬프게 흐르는 강물 ─ 슬퍼서 견딜 수 없어 悲しくてやりきれない [2] 식별8052 21/05/15 8052 6
91714 [일반] 일본인이 불러 대히트했던 북한 노래, 임진강 イムジン河 [9] 식별13203 21/05/14 13203 12
91699 [일반] 한가지 시각으로만 바라보기 애매한 이스라엘 [37] 나주꿀16564 21/05/12 16564 4
91694 [일반] 엄벌주의는 정말로 쓸모가 없을까? [61] 거짓말쟁이18496 21/05/12 18496 28
91671 [일반] 지정학적으로 중요한곳들은 과연 어떤곳들인가? [90] 아리쑤리랑25246 21/05/10 25246 88
91595 [일반]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얼마나 중요한가? [378] 아리쑤리랑38070 21/05/02 38070 168
91391 [일반] 편견, 굳어지거나 깨지거나 바뀌거나 Vol.2 [22] 나주꿀7894 21/04/17 7894 23
91387 [일반] [외교] 미일정상회담 공동성명 공개 [99] aurelius19111 21/04/17 19111 14
91315 [일반] [13]예전에 갔었던 적멸보궁 여행기 -4- [8] noname117687 21/04/13 7687 6
91237 [일반] 북한, 국경 전 지역에 콘크리트 장벽·3300V 고압선 설치한다 [111] 노하와이16350 21/04/08 16350 1
91211 [일반] 네덜란드 Booking.com에 56만불 벌금 부과 [1] 타카이9285 21/04/06 9285 2
91208 [일반] 여러분은 현실적인 통일 시나리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0] rclay12669 21/04/06 12669 3
91176 [일반] [외교] 대만, 유럽이 자국 잠수함 개발을 돕고 있다고 밝혀 [4] aurelius9592 21/04/03 9592 5
91169 [일반] [기사] 中, 베이징 외신기자 클럽 불법단체 규정 [41] aurelius13034 21/04/02 13034 11
91146 [일반] [외교] 미국은 대만에 대한 '전략적 모호성'을 버릴 것인가? [12] aurelius10637 21/03/31 10637 7
91084 [일반] [도서] 혼란스러운 천하, 트럼프와 중국의 외교전 [7] aurelius9136 21/03/26 9136 5
91081 [일반] 미군 "동해가 아니라 일본해가 맞다" [137] rclay19830 21/03/26 19830 1
90985 [일반] 주 프랑스 중국대사관의 국격 클라스 [74] aurelius16972 21/03/19 16972 17
90976 [일반] [기사] 북한, 말레이시아와 외교관계 단절 선언 [15] aurelius10060 21/03/19 10060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