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6/16 20:10:13
Name 성야무인
Subject [일반] [14] Pipette(피펫)을 손에 놓게 되었을때
의생명 분야를 전공하고 후에 연구직으로 나가는 사람들의 무기가 있습니다.

군인으로 따지면 개인화기인 소총에 비견될 만한

피펫입니다.

학사과정에서 부터 시작해서 석사, 박사, 박사후, 교수 혹은 연구원이 되었을 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이 장비는 처음에 연구자 개인이 직접 사는 것이 아닌

랩실에서 제공되는 물건을 씁니다.

총기 관리 하듯 1ul 단위로 오차가 있는지 없는지 물방울 떨어뜨려 놓고 미세저울로 정확도를 판단한 다음

분해해서 수리하게 됩니다.

나중에 어느정도 여유가 되면 자신이 맞는 피펫을 구매하거나 본인 연구 책임자에게 구해 달라고 부탁을 하죠.

연구자로써 피펫을 놓게 되었을 때는 두가지 경우입니다.

해당분야에서 아예 떠나거나

더이상 피펫을 잡기가 힘들어질때입니다.

어느쪽이나 되었던 연구자로써는 상당히 자괴감이 드는 건 사실이지만

특히나 20년에서 30년이 넘는 연구생활을 그만두고

피펫을 손에 놨을때 다른 직장인들과 마찬가지로

공허감에 드는건 매 한가리라고 합니다.

거기에 손에 힘이 빠져 피펫을 잡고 있을때 손이 지나치게 흔들리게 되면

연구자로써 현장에서 일하기는 힘들다고 합니다.

사실 젊고 힘이 넘칠때는 피펫에 힘을 꽉쥐고

마이크로 튜브에 용액을 집어 넣을때

굳이 피펫팁의 위를 다른손으로 고정할 필요없이

정확하게 집어넣을 수 있지만

차츰차츰 나이가 들면서 힘이 빠지기 시작하면 한손으로 고정해도

피펫이 흔들리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나이가 들었음을 통감하면서

더이상 연구실에서 뛰면서 움직이면 안되는 구나라는 생각을 하며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죠.

다행히 연구 책임자나 교수로써 대학원에 제자가 있다면서

피펫을 놓게 되더라도

Dry lab 즉 자신이 체력적으로 부담이 많이 가는 일들을

연구원들에게 맡기게 되지만

사실 이렇더라도 직접 연구를 하지 못하는 데는 아쉬움을 표현하긴 합니다.

과거에 대학원 석사과정을 끝냈을 때 소원이 정년까지

연구실 붙어 있으면서

피펫질을 하고 싶다였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과거 선배들이 겪었던 것처럼

몇년사이에 두손으로 피펫들기가 힘들어지는 걸 느꼈습니다.

물론 연구책임자라는 위치이기에 굳이

이런 작업을 하지 않고

연구원을 시키면 되지만

이제 저도 선택할 때가 온것을 직감적으로 느낄수 있습니다.

거기에 대한 공허감이나 자책감이랄까요?

물론 여기에는 말도 안되는 변명이 있긴 있습니다.

운동도 열심히 하지 않았고

나름대로 건강관리도 제대로 못했습니다.

아마 제대로 몸관리만 했더라면

이렇게 빨리 힘에 떨어지지는 않았겠지만

요즘 들어서는 전성기가 지나 스텟이 팍팍 떨어지는 운동선수가 된것 같은 느낌입니다.

앞으로 얼마만큼 연구생활을 할지는 모르겠지만

지금부터 연구 생활을 시작하는 많은 젊은 연구자들이

전성기를 유지할 수 있고

후회하는 연구생활없이

피펫을 놓게되는 시기를 늦출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6/16 22:50
수정 아이콘
제가 다녔던 회사는 박사급들은 실험 디자인과 분석을 하고 석/학사급 연구원들은 실무만 했는데, 많은 박사급 연구원분들이 박사후 과정을 회사로 나오시는 분들이 많아서 그런지 Wet Lab을 많이 그리워 하시더라고요.
저도 지금 박사과정이라 매일 피펫 잡는 일상인데, 저는 자동화 기계를 이용해서 일했어서 그런지 얼른 피펫 그만 잡고 누가 대신 해줬으면 하는 마음이 있어요.
다만 연구 자체를 그만하고 관리만 해야하는 상황이 오면 좀 공허하긴 할것 같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느낀건데 Wet lab에 그닥 미련 없으신 분들이 관리직으로 승진하는거 보면 확실히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학계에 있을사람과 아닌 사람이 있는거 같아요
성야무인
21/06/17 10:12
수정 아이콘
관리직으로 가시는 분들은 연구 테마에 대한 큰 그림을 잘 그리시던지

연구비를 잘 따오는 (말 그대로 서류의 신이신분들)

그런 성향을 가까운 분들이 많으시더라구요.
possible
21/06/17 00:50
수정 아이콘
저는 피펫 놓은지 5년이 다되가네요..거의 길슨과 에펜드로프꺼만 써봤는데, 어디꺼 쓰시나요? 아직도 피펫은 저 두개 미만 잡인가요? 아니면 더 좋은게 있는지..
성야무인
21/06/17 10:17
수정 아이콘
피펫의 명가는 역시 에펜도르프 껀데 (그 투박한 디자인)

길슨을 쓰시는 분들도 많구요.

전 가성비를 따지는 편이라서 Dragon Lab이라고 중국제 껄 씁니다. (요즘 논문 Method에도 언급되는)

가격이 에펜도르프의 20분의 1입니다.

더구나 멀티채널 피펫도 상당히 우수한데요

하지만 1년-2년정도면 괜찮은데 역시 눌러주는 스피링 내구성에 문제가 있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141 [정치] 이준석, '사무총장 내정' 한기호에 '군인 출신 가장 공명정대할 것' [165] 노하와이21196 21/06/17 21196 0
92122 [일반] [14] Pipette(피펫)을 손에 놓게 되었을때 [4] 성야무인11317 21/06/16 11317 12
92015 [정치] 작전에 실패한 장수는 vs 경계에 실패한 장수 [93] 판을흔들어라15891 21/06/08 15891 0
91985 [정치] 전용기 "軍 업무상 위력 간음에 징역 최대 10년" 법안 발의 [36] 연왕12061 21/06/07 12061 0
91979 [일반] HOI로 알아보는 대체역사 필수요소 [13] abc초콜릿11907 21/06/06 11907 9
91976 [정치] 현충일, 관련 정치인 기사 2개 [15] 나주꿀12741 21/06/06 12741 0
91960 [일반] 공무원/군인 조직은 성범죄에 대한 자정작용을 상실한 것 같습니다. [50] 노리15049 21/06/04 15049 9
91919 [일반] 한심하기 그지 없는 군의 행태...(이에 더해 기사 추가) [25] 키토11934 21/06/02 11934 7
91878 [일반] 만 30세 이상 예비군 민방위 대상 얀센 6월 접종 [196] 워체스트26509 21/05/30 26509 16
91872 [정치] 페미와 민주당이 나 따위에게 외면당한 이유 [17] 구미나13201 21/05/30 13201 0
91704 [일반] [역사] (콜롬비아 마약 카르텔 2편) 콜롬비아 좌익 게릴라, 마약왕 파블로 에스코바르, 그리고 미국 [23] 식별19387 21/05/13 19387 31
91695 [일반] 여군판 하나회? 특정병과 여군장교 사조직 '다룸회' [69] 판을흔들어라18036 21/05/12 18036 28
91638 [정치] 이낙연 제대할때 삼천만원 지급. [204] Crystal18296 21/05/06 18296 0
91573 [정치] 군대는 "쉬는 곳"이라는 상담이 나왔습니다. [119] 최강한화19284 21/04/29 19284 0
91536 [일반] 백신 접종여부에 선택권이 있을까... [158] 맥스훼인20980 21/04/27 20980 7
91525 [일반]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 - 향후 코로나 19 백신 수급 전략에 대한 고민 [80] 여왕의심복15103 21/04/26 15103 61
91484 [일반] 나는 왜 브레이브걸스의 성공을 그렇게 좋아했을까? [24] lux9514 21/04/22 9514 23
91442 [일반] (스압)육군 해안감시 레이더병 이야기 .feat 여성징병 [36] 나따13432 21/04/21 13432 5
91323 [정치] 여성 가점 유지, 장애인 가점은 폐지…청년창업 역차별 [62] 미뉴잇11606 21/04/14 11606 0
91315 [일반] [13]예전에 갔었던 적멸보궁 여행기 -4- [8] noname117611 21/04/13 7611 6
91173 [일반] 조선구마사 논란을 보고 - 조선 초기 명나라 세력의 영향권은 어디까지 정도였나? [28] 신불해14146 21/04/03 14146 95
91029 [일반] 코로나에의한 한일 입국체험기 (현지 상황 설명) 1편 [10] 마지막천사9084 21/03/22 9084 10
90970 [일반] [완전스포] 스나이더컷 2017 버젼과 차이점에 중점을 둔 정리 [61] 나주꿀11536 21/03/18 11536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