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10/28 10:59:45
Name Leeka
Subject [정치] 내년부터는 전세대출도 분할상환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수정됨)
여러가지 정책들이 발표되었습니다만

그 중에서도 정부에서 천명한 것 중 하나는
현재 전세대출의 분할상환은 3%
신용대출의 분할상환은 11% 정도인데요.

내년부터는 '전세대출 분할상환 비중이 높은 금융사' 에 정책모기지 우선 배정등을 포함한 '인센티브'를 주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분할상환의 경우에는 총량을 다 분할할수도 있지만

현재 이야기가 나오는건 '부분 분할상환' 정도는 전세에 많이 도입되지 않을까. 하는 의견들이 많은데요.

예를들면 '전세대출을 2억을 빌렸다면'

기존엔 이자만 2년 내다가 만기때 2억 상환이라면
부분 분할을 적용하면 2억의 10%인 2천만원에 대해서는 2년간 이자와 같이 분납.  하고  남은 1억 8천만원을 만기때 상환.
(2천만원을 2년간 분납하면 월 원금을 83만원 정도는 갚아야 합니다.)

같은 하이브리드 버전으로 도입될 확률이 높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부분 도입이 될 확률이 높은 이유는..  주담대는 '30년 상환' 이라 1/n로 해도  1/360이 되지만
전세는 기본적으론 2년 상환이 베이스다보니 1/24로 나눌수는 없어서..  주담대와 비슷한 수준이 되려면
전세금의 10%를 부분상환시 '주담대 20년 분할'과 같은 비율이 되는 식이 되는지라.
5~10% 전후의 원금만 분할상환이 적용되는 정도로
은행권에서 준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 외에도 2022년 7월에 적용될 DSR 규제는 2022년 1월로 앞당겨졌으며
2023년 7월에 적용될 DSR 규제는 2022년 7월로 앞당겨졌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1/10/28 11:02
수정 아이콘
집값 추가 상승, 오너분들 축하드립니다
고타마 싯다르타
21/10/28 11:06
수정 아이콘
월세 낼 바에는 전세대출 받아서 이자만 내는 게 훨씬 싸다고 하잖아요.

달라질까요?
21/10/28 11:10
수정 아이콘
분할상환 10% 정도면 저축한다 생각하고 큰 변화는 없을듯.
21/10/28 11:13
수정 아이콘
전세를 말려버리겠다는 굳은 의지
StayAway
21/10/28 11:13
수정 아이콘
DTI, DSR이 목적은 좋은데 결과적으로 니 분수에 맞는 집에 살아라. 라는 소리라서..
이전 세대가 허리띠 졸라매서 대출금 갚으면서 말년에 부동산 차익으로 노후를 준비하는 걸 막아버리는 장치가 되버렸죠.
연말까지 땡길 수 있을때 땡기자는 심리가 확산될걸로 보이고 당분간 집값도 전세값도 활황이겠네요.
겨울삼각형
21/10/28 11:15
수정 아이콘
서민들은 월세살아라

으딜 서민주제에 안정적인 주거를 바라냐?

로 보이는건 과대망상인가요?
트럼프
21/10/28 14:01
수정 아이콘
돌이켜보면 집권 초부터 일관되게 제시하던 메세지였죠
이쥴레이
21/10/28 11:17
수정 아이콘
분할상환 장점은 저축도하고 빚도 갚는, 즉 세제혜택도 있어서 적금보다는 휠씬 좋은 목돈 마련인데...

[전셋값이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당장 원리금을 함께 갚아나가는 상환 방식을 택하기가 부담스럽다는 소비자들의 반응도 일부 나오고 있다.]

빚 갚기는 빡센데 강제 저축형식이라.. 세제 혜택이 좋은거는 알지만 그런 여유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 아직은 잘모르겠네요.
작년말부터 나온 상품으로 알고 있는데, 사람들 선호도가 낮다는 기사는 여러번 봤었는데.. 흠..
21/10/28 11:17
수정 아이콘
분할상환하면 저축을 줄여야겠구만요
회색사과
21/10/28 16:01
수정 아이콘
사실 원리금 상환하고 있으면 저축하고 있는 거랑 마찬가지기는 하죠.

특히 만기 되면 보증금 돌려받는 전세는요.

물론 은행 대출이자보다 수익률 좋게 굴릴 수 있는 능력자분들께는 강제 저축이겠지만요..
생겼어요
21/10/28 11:25
수정 아이콘
전세는 전세계 어디에도 없는 제도다 결국엔 없애야 한다 하길래 도대체 어떻게 없애나 했더니 이런식으로 하면 자연스럽게 전세가 없어지는거였군요.
21/10/28 11:30
수정 아이콘
월세랑은 차이가 있지 않나요?
돈이 모이냐 안 모이냐가 아주 큰 것 같은데요
사울 굿맨
21/10/28 11:54
수정 아이콘
전세라는 특이한 제도 덕에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월세가 훨씬 쌌던 거라는 게 함정...
해피팡팡
21/10/28 11:30
수정 아이콘
전세살다 반전세사는 기분이겠네요
뒹굴뒹굴
21/10/28 11:32
수정 아이콘
이게 딱히 가계대출 제한 조치인가?
싶은 정도로 약하네요.
지금도 정부는 진짜로 집값 떨어질까봐 전전긍긍 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흐흐
일리단
21/10/28 11:41
수정 아이콘
전세를 없앤다기보단 여유자금으로 주식이나 코인하지말고 저축하라는 의도 아닌가요?
21/10/28 11:47
수정 아이콘
같은 말이긴 하지만..
소득에 따라 대출 풀로 받기도 어려워지겠죠.
가난한 사람은 구린 집에서 살라는거냐는 반응이 나올수도..?
21/10/28 12:18
수정 아이콘
월세로 방향을 이끌꺼면, 외국처럼 보증금이라도 줄이는 방향으로 가던지.... 보증금 2억에 100 이런게 맞나 싶습니다.
좋습니다
21/10/28 12:45
수정 아이콘
보증금 높이고 월세 낮추는건 세입자분들이 더 좋아하는거라...
Grateful Days~
21/10/28 13:12
수정 아이콘
월세밀릴때 보증금으로 공제하고 줄거라 보증금은 여유있는게 집주인입장에서 좋습니다.

그래서 월세받는 오피스텔같은 경우 보증금 1000을 기본으로 하죠.
21/10/28 13:27
수정 아이콘
집주인 세입자 다 보증금 많은게 좋으면 보증금만 엄청 크게 넣으면 모두 행복하겠네요. 어???
하아아아암
21/10/28 13:29
수정 아이콘
전월세 전환율이 있고, 3~4% 보시면 될겁니다.
우울한구름
21/10/28 13:46
수정 아이콘
2억은 좀 그렇긴 한데, 월세 밀릴때 세입자 내보내기가 우리나라가 더 어려워허 보증금이 더 많아야 한다는 얘기는 있더군요
좋습니다
21/10/28 12:47
수정 아이콘
보통 전세대출은 몇년 만기로 받나요??
2년 5년 이러면 너무 힘들거 같은데
21/10/28 12:52
수정 아이콘
전세기간이 2년이니 2년만큼 일시상환으로 받고 전세가 연장되면 연장하는 식이죠. 부분상환은 지금도 사용되는 제도라 이거 자체로는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체공휴일
21/10/28 13:38
수정 아이콘
어차피 전자대는 돈이 집주인 계좌로 들어가고 이자+원금 상환되고 남은 돈만큼 집주인 계좌에서 빼갑니다. 그건 은행이 신경쓸거라 크게 신경 안쓰셔도 돼요. 오히려 세입자가 주인에게 직접 준 돈을 받을 수 있느냐가 문제죠.
큐브큐브
21/10/28 13:55
수정 아이콘
이게 집값상승에 영향을 미친다는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 않는데,
전세시장에 유동성이 줄어들면 부동산가격에 불리한것 아닌가요?
지구돌기
21/10/28 13:59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불리할 수 밖에 없죠.
다만 그냥 집을 사겠다는 수요가 생기지 않느냐는 논리가 아닐까 싶네요.
NoGainNoPain
21/10/28 14:00
수정 아이콘
최상위권 부동산 매물들은 이미 대출과는 무관한 상황에 왔기 때문입니다.
물론 15억 이하 매물들은 대출 규제에 영향을 받겠습니다만, 최상위권이 치고나가면 결국은 따라가게 되어 있으니까요.
지구돌기
21/10/28 14:07
수정 아이콘
지금과 같은 전세대출이 생긴 것이 10년도 안된 일이라...
저는 전세대출 자체를 없애야한다고 생각하지만, 현실적으로 없앨 수는 없으니 DSR 및 분할 상환은 꼭 도입해야한다고 봅니다.

원래 전세가 없던 시절의 테크트리는 저렴한 집 월세 -> 돈모아서 전세금 마련 후 전세 -> 더 모아서 집사기였는데,
최소한 분할 상환이라도 들어가야 세입자에게는 최종적으로 전세금 정도의 목돈이 남겠죠.
즉 전세대출은 세입자의 목돈 마련 전에 전세금 정도의 집에서 미리 살게해주는 역할 정도를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wannaRiot
21/10/28 14:42
수정 아이콘
전세난 잡는다고 전세대출 확 늘리고 건설사 죽는다고 주택담보대출도 확 풀고
대출이 무서워 조심하고 살던 일반 사람들이 대출 늘려주고 금리가 급격히 내려가니 대출 우습게 알고 받아 쓰고 있지요.
요즘 세대는 모를 카드대란 생각날 정도로 대출에 거부감이 없는게 현실입니다.
21/10/28 20:02
수정 아이콘
현 정부에서 대출규제가 어떻게 진행됐는지 정도는 알아보시고 글을 쓰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Higher Power
21/10/28 18:59
수정 아이콘
전세를 없애고 월세를 늘리고 싶은거겠죠.
유리한
21/10/28 20:51
수정 아이콘
1억5천 전세 살면서 1억 대출받았는데 5년 반만에 다 갚고 얼마전에 이사했어요.
근데 중도상환 안하고 그냥 만기상환 하시는 분들이 많은걸까요..?
본인이 직접 투자하는게 아니면 은행 예금 하시는것보다 중도상환으로 꾸준히 갚는게 이득일텐데..
휴가중
21/10/29 07:09
수정 아이콘
솔직히 외국에는 없는 전세덕에 가계대출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이 잡히는건데 그 특성을 이해를 못하고 외국대비 가계대출이 어쩌고 하니 결국 외국처럼 전세를 없애자는 결론밖에 안나오겠죠. 이게 그 말로만듣던 선진국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905 [일반] KT 기간망 사고의 원인 [33] 아케이드16286 21/10/30 16286 23
93904 [일반] 아마추어 개발자 이야기 [29] 빈센트12941 21/10/29 12941 18
93903 [일반] '머니 게임'의 공중파 각색 버전? '피의 게임' 프로그램 소개 [55] 은하관제16961 21/10/29 16961 4
93902 [정치] '정부, 출입국 얼굴사진 1억7천만건 AI업체에 넘겼다'에 대한 해명 등 [44] 残心13708 21/10/29 13708 0
93901 [일반] 극장은 예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백신패스관 도입 [20] 오곡물티슈9989 21/10/29 9989 1
93900 [일반] 애플이 회계년도 기준 순이익 110조를 초과 달성했습니다 [26] Leeka14224 21/10/29 14224 2
93899 [정치] 이재명, 전국민 재난지원금 추진…"국민 위로·보상 차원 [139] 뿌엉이19336 21/10/29 19336 0
93897 [정치] 여성가족부 대선 개입 의혹... [53] 판을흔들어라20866 21/10/29 20866 0
93896 [정치] 지금도 리얼돌 막느라 세금이 녹네요. [129] 삭제됨20585 21/10/28 20585 0
93894 [일반] 어둠 속의 미사 - 인상적이고 묵직한 드라마 (스포일러 주의) [6] 아난8805 21/10/28 8805 2
93893 [일반] 한손으로 PGR 하기, 유튜브 꿀팁, 핸드폰없이 qr코드 찍기 [12] 오곡물티슈11994 21/10/28 11994 13
93892 [일반] [보건] 얀센 추가접종 오늘 8시부터 예약받는다고 합니다 [176] 어강됴리21759 21/10/28 21759 9
93891 [정치] 내란, 반란수괴의 "업적을 기리겠다"는 문재인 정부 [117] 김재규열사18247 21/10/28 18247 0
93890 [일반] 저출산 고령화는 진정으로 지구를 사랑하는 방법 [75] 깐부9811 21/10/28 9811 4
93889 [일반] 안녕하세요. [76] 키작은나무12227 21/10/28 12227 176
93888 [일반] [일상글] 공부만 파던 모태솔로가 예쁜사람 만나 결혼하는 이야기. [77] Hammuzzi17019 21/10/28 17019 63
93887 [정치] 내년부터는 전세대출도 분할상환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35] Leeka12420 21/10/28 12420 0
93886 [일반] 토론에서 정의의 중요성과 설거지 [241] 헤이즐넛커피16476 21/10/28 16476 15
93885 [정치] 포천에도 의심가는 상황이 진행중이었다고 하는군요. [20] 時雨17587 21/10/27 17587 0
93884 [일반] <소프트파워 – 조지프 나이, 2004> : 그리고 한국의 소프트파워 [1] 하프-물범9026 21/10/27 9026 6
93883 [일반] 짝짓기 게임 [52] 어둠의그림자19651 21/10/27 19651 82
93882 [정치] 이재명 "음식점 총량제!" 외 [150] Ainstein18675 21/10/27 18675 0
93881 [일반] 누리호에서 바라본 푸른지구 [6] 어강됴리9870 21/10/27 9870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