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12/21 23:40:32
Name cheme
Link #1 https://brunch.co.kr/@sjoonkwon0531/108
Subject [일반] 경제복잡도지수, 그리고 국가경쟁력
한 때 MIT 미디어랩에 재직했던 C.A. Hidalgo는 하버드 박사후 연구원 시절, 그의 어드바이저인 R. Hausmann과 함께 각국의 산업 경쟁력과 국부와의 관계를 통계물리적인 관점에서 논한 기념비적인 논문을 사이언스지에 출판했다 (2021년 12월 21일 현재 2,718회 인용. 참고로 해당 논문의 영향력은 주류 사회학계에서는 제한적이라고 합니다.).
예상할 수 있다시피, ECI가 높을수록 각 나라의 산업 경쟁력은 그만큼 높아진다. 이는 상식적으로도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ECI가 낮다는 것은 재화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거나, 재화가 심각한 경쟁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재화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다면 시장의 요동에 의해 그 나라 경제가 크게 출렁인다. 재화가 심각한 경쟁에 노출되었다면 언제든 후발 주자들에 의해 따라 잡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예를 들어 원가 경쟁 등) 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ECI가 높을수록 이러한 위험도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며, 위기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옵션도 그만큼 더 넓어지므로 위기 대처 능력도 좋아진다.

WsntkPmX00SIBCOMl0OQh81i9O8.png
그림 1. 각국의 ECI 랭킹 변화 양상 (출처: https://oec.world/en/profile/country/twn)

그림 1을 보자. 이는 Hidalgo 교수가 만든 ECI를 바탕으로 측정된 각국의 ECI 랭킹 변화도이다. 그림에서 보다시피 IMF 시절, 한국의 ECI 순위는 20위권 밖이었다 (ECI 점수는 0.7). 그렇지만 2010년에는 10위로 도약했고, 2019년에는 5위까지 도약했다 (ECI 점수는 1.9). 그 과정에서 가장 많이 공헌한 산업은 전자공학, 산업용 기계, 반도체, 석유화학공업, 제철공업, 그리고 최근에는 제약산업 등으로서, 지난 20년간 한국을 먹여 살린 주요 산업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 자동차공업 자체의 ECI는 높은 편이나 최근 5년간 ECI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어 향후 공헌도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1998년의 20위권 밖이라는 낮은 랭킹에서 불과 20년 만에 5위를 기록할 정도로 한국의 ECI가 급성장한 배경은 품목의 다변화와 더불어, 앞서 언급한 산업들의 경쟁력 상승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특히 2000년 이후, 전자공업과 반도체, 석유화학공업의 경쟁력 향상은 한국의 ECI 랭킹 상승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분야이기도 하다.

전통적인 제조업 대국 일본은 30년 넘게 ECI 랭킹 전세계 1위를 고수하고 있다. 1998년 기준 ECI 점수는 1.82, 그리고 2019년 기준 ECI 점수는 2.2를 기록하면서 점수 역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30년 이야기가 자주 회자되지만, 제조 입국으로서 일본의 경쟁력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여전히 살아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큰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은 이러한 지표와 랭킹만 놓고 봐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일본의 ECI 향상에 가장 큰 공헌을 하고 있는 것은 특히나 자동차, 산업용 기계, 광학장치, 의료장비, 제약산업, 그리고 전자공업 등이다. 다만 지난 5년 간 전자공업의 기여도는 꾸준히 낮아지고 있으며, 특히 컴퓨터와 반도체의 경우 ECI의 성장률 둔화를 넘어, 감소폭이 매년 커지고 있는데, 이는 일본의 반도체 산업 몰락과도 일맥상통하는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kVajsIpSS04tIQlncJ313_aKM68.png
그림 2. 2019년 기준, 한국의 수출 산업 비중 (출처: https://atlas.cid.harvard.edu/)

한국과 일본의 산업 구조가 유사하기에, ECI 구조 역시 많이 비슷할 것 같지만 사실 살펴보면 꼭 그렇지는 않다. 그림 2처럼 한국의 수출 산업 분포도를 나타낸 자료를 살펴보면, 집적회로, 자동차, 석유화학, 운송, ICT 등의 순으로 비율 랭킹이 보인다.

55-gGyaue1Y6ZGAWb0IIAG7wozs.png
그림 3. 2019년 기준, 일본의 수출 산업 비중 (출처: https://atlas.cid.harvard.edu/)

그림 3에서 보듯, 이러한 구성 비율은 일본의 것과 다소 달라 보인다. 일본은 자동차, ICT, 관광업, 집적회로 등이 랭킹을 구성하고 있는데, 전통적으로 기계류에서 강세를 보이는 특성은 여전하나, 과거에 큰 영향을 미쳤던 전자공학이나 반도체 관련 구성비는 점점 줄고 있다.

Hidalgo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각국의 산업 경쟁력 중 수출 경쟁력은 수출품의 net ECI가 높을수록 더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net ECI는 국내용, 수입 기여도를 제외한, 순수 수출되는 양만 따졌을 경우다.
 
eTnR6kZze1jB5OvKsJ2eCGv0YXs.png
그림 4. 2019년 기준, 한국의 수출 산업 net ECI 분포 (출처: https://atlas.cid.harvard.edu/)

DlKf9PPaDI8TWfYymSoG7m1wA9I.png
그림 5. 2019년 기준, 일본의 수출 산업 net ECI 분포 (출처: https://atlas.cid.harvard.edu/)

그림 4처럼 한국의 경우, 수출 성장세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은 여전히 전자공업, 반도체, 자동차 (완성차와 부품 모두), 통신, 배터리, 일부 석유화학 제품 등이다. 첨부한 그림 5는 일본의 경우인데, 일본 역시 자동차와 기계류 쪽에서 꾸준한 수출 성장세가 예상된다. 전자공업 쪽도 견인이 될 수 있으나, 볼륨이 작은 상황이라 영향력 자체는 점차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공교롭게도 한국과 일본이 둘 다 수출 성장세를 더 강하게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 중, 집적회로와 자동차 분야는 각각의 ECI 점수가 정확히 같다 (집적회로 1.43, 자동차 1.21). 규모는 일본이 자동차를, 한국이 집적회로 분야를 우세하게 가져가고 있는 양상이고, 양국 모두 조선업, 석유화학 등에서는 공통적으로 수출 경쟁력이 조금씩 상실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서로가 강점을 갖는 분야가 다소 차이 나는 것 같으면서도 비슷한 양상의 전환을 겪게 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국은 해방 후 지난 70년 가까운 세월의 대부분을 일본의 경제를 모델 삼아 경제 발전 설계를 했던 것은 사실이다. 90년대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경제 발전은 일본이 제조업에서 부흥을 일궈냈던 전략을 그대로 답습하다시피 했을 정도였고, 그래서 일본이 강세를 가졌던 산업 대부분, 예를 들어 자동차, 전자, 반도체, 석유화학, 조선업 등이 한국에서 시도되었다. 정부가 5개년 계획을 지속적으로 실행하면서 대기업에 유리한 정책적 환경이 조성되었고, 다양한 산업을 거느린 일본의 그룹사 같은 한국형 재벌 기업들이 그렇게 탄생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 세기의 격차가 단 70여 년 만에 거의 없는 수준까지 좁혀진 것은 단순히 정부의 따라 하기 계획에 의한 것만은 아니었다. 오히려 그 전략에는 뚜렷한 한계가 있었다.

사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한국의 ECI 기준 산업 경쟁력은 IMF 시절까지만 해도 그다지 뛰어난 수준은 아니었다. 물론 해방 직후의 한국과 일본에 비하면, 1998년의 한국과 일본의 격차는 굉장히 많이 줄어든 상태인 것은 분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ECI 경쟁력 랭킹은 20위권 밖에 있었던 데 반해, 일본은 압도적 1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실제로 한국의 ECI 점수는 일본의 ECI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격차를 많이 줄였다고는 하지만, 그것에 한계가 있었던 이유는 품목의 다양화 전략이 품목의 경쟁력 전략과 꼭 연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한국이 해방 후, 경제개발계획을 통해 일본의 제조업을 많이 따라 했고, 실제로 많은 산업을 궤도에 올렸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생산 가능한 재화와 서비스 품목 종류는 일본의 그것에 미치지 못했다. 사실 더 어려웠던 것은 그렇게 생산한 제품의 글로벌 경쟁력이 일본에 비해 함량 미달이었다는 것이었다. 내수용이면 몰라도, 수출용으로서는 수출 단가를 후려치는 옵션 외에는 일본의 것과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방법이 별로 없었다. 즉, 따라가기 전략만 취해서는 그 한계가 여실했다는 것은 단 20년 전의 데이터만 봐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다만 이러한 전략에 수정이 가해진 것은 90년대 말, IMF 이후, 반강제적으로 모든 기준이 글로벌 기준으로 바뀐 이후부터였다. 내수 경제가 급격히 쪼그라든 상태에서 어떻게든 외화를 벌어야만 하는 입장이었던 한국은 ECI라는 지표를 기준으로 전략을 세웠던 것은 아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ECI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수출 경쟁력 제고를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90년대 말 본격적인 IT 산업으로의 전환을 맞아 많은 산업의 형태가 바뀌고 정리되면서 업종이 다양해지고, 각 업종의 글로벌 경쟁력이 높아지게 되었다. 반도체를 위시로, 자동차와 기계공업, 조선과 석유화학공업의 해외 진출이 가속화되었고, 그 과정에는 급격히 경제 규모를 팽창시키던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이 큰 플러스 요인이 되었다. 한국이 생산 기지를 중국으로 많이 이전한 것은 중국에게도 초기에는 플러스 요인이 되었는데, 원래 기반이 약하던 제조업 경쟁력이 기술 이전과 합자 회사 설립 등으로 기틀이 갖춰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90년대 중후반부터 이어진 오랜 불황의 시기 동안 이러한 전환이 잘 이뤄지지는 않았다. 특히 IT 산업으로의 전환에 있어 그들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가졌던 전자공업 분야에서 지배력을 가지고 있었던 전자회사들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참패가 눈에 띄었다. 그중에서도 1980년대 한 때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의 70%까지도 기록했던 일본의 반도체 회사들의 급격한 침체가 문제였다. 여러 번 일본 반도체 산업의 흥망성쇠를 논한 바 있지만, 사실 일본은 몇 번이나 반도체 산업을 다시 글로벌 수준으로 올려놓을 기회가 있었다. 그렇지만 해외 기업에 대한 투자 개방이 늦었고, 표준 선점 과정에서 대처가 느렸으며, 기술력에 대한 과한 맹신으로 원가 경쟁력 상실을 불러일으킨 것은 일본 반도체 산업의 몰락에 삼연타를 날렸다. 그에 더해 일본 정부의 과한 그리고 빈번한 기업 간 구조조정 간섭은 일본 반도체 산업이 실질적으로는 일본 전체 ECI 전략은 물론, 내수 시장 지배력 확보에서마저 도움을 줄 수 없는 상황으로 만들었다. 한국이 디지털 전환을 앞세워 ICT 산업의 확장과 반도체 산업의 성장을 주력 엔진으로 장착한 것에 반해, 일본의 반도체 산업은 오히려 시장을 내주고 기술 경쟁에서 밀리면서 산업 지배력을 상실하게 된 것이 일본에게 있어서는 수출 경쟁력 하나를 잃어버린 결과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사실 반도체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산업, 가전 산업, 조선업 등, 일본이 한 때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갖춤으로써 탑 수준의 ECI를 자랑했던 산업들 역시 비슷한 이유로 몰락했거나 탑의 자리를 내 준지 오래되었고, 그나마 자동차와 기계류, 화학과 제약 산업, 의료 장비 산업 등으로 버티고는 있으나, 점차 수출 품목이 줄어들고, 남아 있는 분야마저도 조금씩 경쟁력이 잠식당하게 되면 현재 일본이 지키고 있는 ECI 랭킹 1위는 언제든 뺏길 수 있다.

uMGuEInaxujQJDohkeS2EWPtnUs.png'>
그림 6. 2019년 기준, 대만의 수출 산업 비중 (출처: https://atlas.cid.harvard.edu/)

사실 글로벌 ECI 랭킹만 놓고 보면 일본 다음은 다름 아닌 대만이다. 특히 그림 1에서 보듯, 대만은 한국보다 먼저 글로벌 상위 랭킹에 일찌감치 진입한 나라이며, 역시 한국이나 일본과 마찬가지로 수출 주도형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기반으로 꾸준히 국부를 쌓고 있다. 그림 6처럼 대만의 수출 품목의 절대다수는 반도체와 전자공업 쪽이다. 언뜻 보면 품목의 다양화 측면에서는 한국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ECI 계산 공식에는 각 품목의 독자적 경쟁력도 같이 고려되는 것을 생각할 때, 대만의 ECI 경쟁력은 이러한 제한된 품목 각각의 개별 경쟁력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다만 2019년 기준, 대만의 수출 의존도가 중국에 대해 43%를 기록하고 있고, 특히나 주력으로 삼고 있는 반도체의 경우, 대중국 수출 의존도는 80%에 육박한다. 따라서 과도한 특정 품목, 특정 국가 의존도는 결국 대만 입장에서는 큰 리스크가 될 수밖에 없다. 원론적으로는 품목의 다변화를 통해 이러한 리스크를 해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만에게 있어 중국이라는 큰 시장이 바로 옆에 있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보았을 때 기회이기도 하지만 오히려 위험 요인이 된다. 실제로 대만의 1인당 GDP와 PPP는 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대만의 실제 임금 수준이 비슷한 수준의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만의 통화가 그만큼 저평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는 대만의 주요 제조 대기업들의 상당수가 하청형 대기업이거나 위탁 생산 기업 형태를 가지고 있는 B2B 업체이기 때문이며, 생산 기지를 대만이 아닌 해외, 특히 중국에 두고 있는 배경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대만 입장에서는 이러한 리스크 요인을 잘 알고 있을 것인데, 이를 타개할 방법은 두 가지 전략을 생각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일본이나 독일의 방식처럼, 품목의 다변화를 더 추구하는 것보다, 원래 잘하던 것을 더 잘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TSMC가 파운드리 점유율을 더 높이고 이인자들과의 기술격차를 더 벌리는 전략이 이에 해당한다. 이 전략은 실제로 대만 정부가 그간 취해 오던 산업 경쟁력 확보 전략과도 일맥상통하며, 대만의 작은 내수 시장을 생각해 보면 합리적인 전략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품목이 제한된 산업은 지속적인 불안 요인이 된다. 좁은 범위의 품목 수출 대상국의 경기 변동과 커플링 되어 큰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장기적으로는 옳은 전략이라고 할 수 없다. 두 번째 전략은 한국처럼 품목의 다변화와 일부 품목의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전략은 시대와 운대가 맞아야 하고 (사실 한국도 여러 면에서 운이 좋았다고 볼 수 있다.), 계획 주체가 드라이브하는 정책이 글로벌 기조와도 맞아야 하는 조건이 선결되어야 한다. 거대한 전환이 눈앞에 닥친 시기라면 새로운 산업이 탄생할 수 있고 그 산업을 중심으로 품목의 다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러기 위해서는 그 전환의 씨앗이 싹을 틔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메타버스 같은 방향으로 정말 산업의 전환이 일어날 것이라면, 기존의 반도체 산업은 물론, 이에 더 적극 대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산업, AR/VR 산업, NFT 산업, 대용량 데이터 처리 산업 등의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생태계에서 더 많은 창업과 성장이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대만뿐만 아니라 사실 일본, 한국에 대해서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대만에 있어서는 더더욱 품목 다변화를 통해 ECI 제고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만이 두 번째 옵션을 잘 실행할 것인지 여부는 외부에서 보았을 때는 불분명하다. 사실 이럴 때 단순히 ECI만 논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밸류 체인 관점에서 그림을 확장해서 논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만은 불운하게도 한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공식적인 주권국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GVC에 키 플레이어로 참여할 수 있는 경우는 대부분 대만이 압도적으로 잘하는 분야에 국한된다. 즉, 어쩔 수 없어서 대만의 영향력 (혹은 중국을 생산기지로 두고 있을 경우에는 중국의 영행력까지)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아이템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만이 GVC 상에서 새롭게 출범시킨 산업의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취할 노력은 다른 평범한 주권국의 노력에 비해 몇 배로 더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때문에 대만은 첫 번째 옵션을 더 강화하는 방법을 당분간 지속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그래서 많은 대만 언론이 마냥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중장기 계획을 정립하는 것은 대만에게 결코 쉬운 상황이 아니다.

한국이나 일본, 대만 모두 최근 출산율의 격감을 겪고 있고, 사회의 노화 속도가 빨라져 경제 성장을 내수에만 의존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반드시 수출 경쟁력을 보존, 확장해야 하고, 끊임없이 신산업을 발굴하고 육성시켜야 하는 압박에 시달린다. 각자 잘하는 분야도 있지만, 많은 분야에서 서로가 경쟁의 상대가 되며, 경쟁이 붙은 시장은 레드오션으로 빨리 진화하게 되므로 서로에 대한 우위 역시 언제든 뒤집힐 수 있다. 과거의 영광은 오늘의 씁쓸함이 될 수 있고, 과거의 언더독은 내일의 탑독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자국의 산업 경쟁력과 ECI 강화를 위해 경쟁은 피할 수 없는 과정이 되겠지만, 사실 적절한 경쟁은 각국에게는 ECI의 마지노선을 지키는 동력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순히 산업적 경쟁력만 생각하기에는 각국이 처한 국제 정치적 상황이 쉽지 않다. 특히나 미-중 간의 첨예한 갈등은 세 나라 모두에게 압박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이고, 특히나 대중국 수출 의존도가 큰 한국과 대만에게는 더 무거운 압박이기도 하다. 한국 입장에서 이러한 상황 속에 국가의 산업 경쟁력을 보존하는 방법은 대만, 일본과 오버랩되는 산업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보존하고, 나아가 더 높이는 것에 치중할 필요는 없다. 그것이 필요 없다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더한 방법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산업의 전환기는 자주는 아니지만 분명한 웨이브를 형성하며 찾아오고, 그 웨이브를 누가 먼저 과감하게 올라타 새로운 분야를 만들고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지가 앞으로의 산업 다양성을 확대하고, 경쟁력을 높이느냐로 연결된다. 한국이 IMF 이후, 맞춤 맞게 IT 산업으로의 과감한 전환을 통해 ECI 경쟁력을 높일 수 있었던 것 같은 과정이 2020년 이후, 다시 재현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이 과연 어떤 산업에서 일지, 어떤 형태일지, 어떤 파장을 몰고 올지를 다각도에서 시뮬레이션해야 한다. 기존 산업과의 영향을 정량화하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net ECI를 추정하고 정밀하게 계산해야 한다. 다변화를 추구하되, 특정 산업의 경쟁력이 떨어질 경우, 그 산업의 출구 전략을 미리 수립하고 있어야 한다. 전략가들이 끊임없이 숫자를 가지고 다변수 함수 게임을 하고 있어야 하고, 정책입안자들은 레거시 산업과 미래 산업의 접점을 만들 것인지, 아예 disruptive 한 방향으로 정책을 준비할 것인지 미리미리 법안 체계를 점검해야 한다. 아마도 제일 민감한 영역은 기업들이 될 텐데, 거대한 대기업이 빠른 속도로 변하는 웨이브에 올라타는 것보다, 스타트업들이 변혁에 몸을 맞추는 것이 더 빠를 것이므로, 스타트업들의 플레이그라운드가 더 넓어져야 할 것이다.

2019년의 일본, 대만, 한국 ECI 랭킹은 1, 2, 5위로서 글로벌 탑 티어를 형성하고 있다. 그렇지만 세 나라가 2030년, 2040년이 되었을 때, ECI 점수를 중국에게 역전당하지 않으리라는 보장, 그리고 여전히 랭킹 10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한국이 랭킹 20위권 밖에 있던 것이 불과 20여 년 전임을 기억해야 한다. 아마도 한국이나 대만에 앞서 일본이 먼저 역전당할 수 있고, 한국과 대만도 언제든 역전당할 수 있다. 역전당하는 추세 자체야 어쩔 수 없는 일이라 할지라도, 한-두 세대 이후에도 한국은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여전히 글로벌 제조 입국의 지위를 지켜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산업 경쟁력 보존과 별개로, 새로운 산업의 초기 진입 전략 수립이 필요하고, 필요하다면 현재의 관련 제도를 모두 뜯어고쳐야 한다. 의사결정 과정에서 필요 이상의 규제는 철폐하고 신산업 진입이나 창업을 위한 학력이나 자격 요건 등의 장벽도 철폐해야 할 것이다. 대학은 새로운 산업의 요람이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지원이 이뤄져야 하며, 이를 위해 기업과 대학의 협업이 제도화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지방의 대규모 산업단지의 트랜스폼 계획이 필요하고, RE100 시대에 대비한 물류와 신재생에너지 마이크로 그리드 결합체의 최적화 계획도 필요하다. 실로 많은 계산과 시뮬레이션이 필요하고, 더 많은 데이터와 논의가 필요하다. 전략가들, 정책입안자들, 계획 설계자들이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도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2/21 23:44
수정 아이콘
추천부터 누르고 정독하겠습니다 좋은 글 항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21/12/21 23:4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사실 제 전문 분야는 아니어서 대응에는 한계가 있을 것 같긴 합니다.
피자치킨
21/12/21 23:5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정독할게요
대만이 최근 엄청나긴 하네요.
21/12/22 00:02
수정 아이콘
그 이면에는 어두운 부분, 그리고 절망적인 부분도 있긴 합니다.
Ainstein
21/12/22 00:19
수정 아이콘
지인발로는 대만에서 반도체쪽 취직 하려면 거의 기본 석사는 하는 것 같은 모양새던데, 그럼에도 받는 돈이 한국 대졸 괜찮은 중견정도밖에 안되는 걸 보고 저곳이야말로 귀신섬이 맞긴 맞구나 싶습디다...PPP 높아봤자 집값은 한국이랑 별 차이도 안나는데 임금은 후려치고요.
21/12/22 01:27
수정 아이콘
1인당 gdp는 한국을 재역전할 기세인데 어케 실제 소득은 어림도 없게 낮은지 모르겠더라고요. 이유가 뭘지..
설사왕
21/12/22 01:47
수정 아이콘
대만은 우리보다 더 한 수출 몰빵 국가라서 그런 듯 합니다.
환율이 너무 저평가 되어 있어 수입 물가가 비싸다 보니 소비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결국 그 돈은 부동산으로만 가는 것 같더군요.
그래서 다수의 고용 시장을 책임지는 내수 기업들이 발전하기 어려우니 종업원들의 소득도 높아지기 어렵겠죠.
21/12/22 10:15
수정 아이콘
대만의 주요 '대'기업들이 딱히 b2c 타입이 아니어서 그렇긴 합니다. 외화는 잘 벌어들이는데, 대만 달러 가치는 별로 높지 않죠. 내수 물가가 상대적으로 싸다는 장점이 생기겠지만, 수입품 가격은 올라갈 수 밖에 없고, 대부분의 에너지와 식량은 수입에 의존하는 형국이라 대만 시민들 입장에서는 귀신섬이라고 불릴만하죠.
덴드로븀
21/12/22 00:23
수정 아이콘
각 대선 후보측에 보내서 정독후 독후감 쓰라고 하고 싶은 글이네요. 크크
항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21/12/22 10:21
수정 아이콘
매번 즐겁게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갱님!
설사왕
21/12/22 01:07
수정 아이콘
너무 잘 봤습니다.
한 가지 여쭤보겠습니다.
[대만의 ECI 경쟁력은 이러한 제한된 품목 각각의 개별 경쟁력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라고 하셨는데요,
대만이 경쟁력을 갖고 있는 Integrated Circuit 및 그와 연계된 산업 외에 다른 산업도 나름 상당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의미인가요?

그리고 https://atlas.cid.harvard.edu/ 에서 대만이 검색되지 않습니다.
대만 지도를 눌렀을 때 아예 활성화가 되지 않네요.
21/12/22 10:21
수정 아이콘
네 그런 의미입니다. 사실 IC라고는 하지만 시스템반도체, 즉, 파운드리 산업 중심으로 형성된 클러스터의 강력함이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상당한 수준이 아니라, 글로벌 탑티어 수준으로 봐야죠. 대만 자료는 원래 있었다가 중국의 항의로 삭제되었다고 합니다.
대만 자료는 아래의 링크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https://oec.world/en/profile/country/twn
구밀복검
21/12/22 02:48
수정 아이콘
프리드리히 리스트의 시장 규모에 대한 주장이 생각납니다. 영미식 글로벌 무역에 저항하기 위한 독일식 관세동맹의 기초가 되었던.
"많은 인구와 다양한 민족적 자원을 부여받은 광대한 영토는 정상 민족성의 필수 조건이다. 인구와 영토가 제한된, 특히 고립어를 갖고 있는 민족은, 불구의 문학과 불구의 제도를 소유하여 불구의 과학과 불구의 예술을 낳을 것이다. 소국은 영토 내에서 다양한 생산 부문을 온전하게 완비할 수 없다. 그 안에서 모든 보호는 단순한 사적 독점이 된다. 부분적으로 국민성의 장점을 희생하고, 가외의 노력이 들어가는, 더 강한 국가들과의 동맹을 통해서만 독립을 유지할 수 있다."
A large population, and an extensive territory endowed with manifold national resources, are essential requirements of the normal nationality; they are the fundamental conditions of mental cultivation as well as of material development and political power. A nation restricted in the number of its population and in territory, especially if it has a separate language, can only possess a crippled literature, crippled institutions for promoting art and science. A small State can never bring to complete perfection within its territory the various branches of production. In it all protection becomes mere private monopoly. Only through alliances with more powerful nations, by partly sacrificing the advantages of nationality, and by excessive energy, can it maintain with difficulty its independence.

http://www.econlib.org/library/YPDBooks/List/lstNPE15.html
21/12/22 10:19
수정 아이콘
좋은 코멘트와 정보 감사합니다! 특정 나라 혹은 몇 나라가 특정 품목을 과하게 과점하기 시작하면 무역 시장에 왜곡이 올 수 있으니 견제받기는 할 것 같네요.
아이군
21/12/22 03:09
수정 아이콘
현제 대만의 정치경제 상황은 상당히 모순적이죠. 중국과 전쟁을 준비중이지만 중국이 수출의 80퍼센트 이상을 담당하는......
글로벌 경제전쟁도 비슷하게 기묘한 모순을 가지고 있기도 하구요.

한국 입장에서는 대만을 반면교사 삼아서 글로벌 시장을 다변화 하고 동시에 글로벌 경제전쟁에서는 열심히 눈치-_-를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애플이 중국 공장을 빼기 전까지는 계속 눈치에 눈치를 더 할 수 밖에.....
21/12/22 10:18
수정 아이콘
네 동감합니다. 대만은 지리적, 문화적 여건상 중국 의존도가 애초에 과하게 높아지는 것을 피하기 어렵지만 한국은 좀 다르죠. 지리적으로야 가깝다고 할 수 있지만 문화, 정치적으로는 구분될 수 있으니까요. 경제 의존도가 과하게 높아지는 것을 피하려면 중국 내수 시장만 노렸던 산업들부터 슬슬 발을 빼기 시작해야 합니다. 그런 산업들부터 중국의 자국산 제품에 밀리기 시작할테니까요.
숨고르기
21/12/22 08:04
수정 아이콘
하버드 데이터에서는 우리는 2018년에 3위찍고 순위가 오히려 뒷걸음질한것으로 나오는군요
21/12/22 10:16
수정 아이콘
네. 사실 매년 조금씩 변동이 있긴 한데, 다양성 문제보다는 한국이 강했던 부분의 경쟁이 점점 심해짐으로써 생기는 현상으로 보입니다.
새강이
21/12/22 10:56
수정 아이콘
처음 접하는 개념을 흥미롭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부족해서 좀 더 찾아보니 ECI는 수출 품목이 다양하고, 정교하고 독창적일수록 점수가 올라가는 지수더군요.
저는 기계과 학사 출신이라 정교한 건 석박사의 영역, 독창적인 건 스타트업의 영역이라 잘 모릅니다.
다만 졸업 시즌에 취업을 준비하면서 우리나라에 이렇게 다양한 산업이, 또 산업 내 밸류체인마다 기업이 다양하게 많은 줄은 처음 알았거든요.
이 글을 읽고 돌이켜보니 우리나라의 산업 생태계가 건강하고, 세계적으로도 경쟁력이 있어서 운좋게 취업했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글 고맙습니다.
21/12/22 11:07
수정 아이콘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21/12/22 11:57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따봉
21/12/22 14:4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메타몽
21/12/22 13:14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21/12/22 14:4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1/12/22 13:21
수정 아이콘
우와 브런치 주소 겟도다제!
좋은 글 늘 감사합니다.
21/12/22 14:4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1/12/22 21:5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499 [정치] 개인적인 코로나19의 미래예측 [18] Promise.all8801 21/12/23 8801 0
94498 [일반] <매트릭스: 리저렉션> - 걱정과 기대 사이.(스포) [12] aDayInTheLife8953 21/12/22 8953 0
94497 [일반] 인터넷의 가희 시바타 준과 함께 떠나는 70년대 일본 음악 여행 [20] 라쇼13501 21/12/22 13501 3
94496 [일반] [강스포] 매트릭스 리저렉션 [3] kurt8782 21/12/22 8782 1
94495 [일반] 가난한 사랑 노래 [13] 어강됴리11889 21/12/22 11889 3
94494 [정치] 이재명 '온라인 경력증명서 발급 시스템 구축' [182] 이제그만25704 21/12/22 25704 0
94493 [정치] '윤석열 "가난하고 못 배운 사람, 자유가 뭐고 왜 필요한지 몰라" [300] 선인장30702 21/12/22 30702 0
94492 [일반] 노스포) 매트릭스 : 레저렉션 / 굳이 부활시킬 이유가? [10] 오곡물티슈7752 21/12/22 7752 3
94491 [정치] 수십년전에서 타임슬립 한거 같은 윤석열 대선후보 [118] 크레토스19764 21/12/22 19764 0
94490 [일반] (스포) 불후의 히어로 영화 명작 시리즈 다크나이트 트릴로지 리뷰 [22] 원장9946 21/12/22 9946 1
94489 [일반] 예술학교 입시를 마치면서 [36] 벌목꾼8755 21/12/22 8755 29
94488 [정치] [단독] 이준석 "김건희 옹호회견 반대하자, 바로 尹에 보고" [189] PiotheLib22568 21/12/22 22568 0
94487 [일반] 화이자 3차접종(부스터샷) 후기 [30] BTCS전술통제기10915 21/12/22 10915 10
94486 [정치] 신혼부부가 혼인신고를 하면 현재 부동산 제도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58] Leeka14385 21/12/22 14385 0
94485 [일반] 올해 매출 2조5000억원 … 신세계百 강남점 '세계 1위' [38] Leeka11196 21/12/22 11196 3
94484 [정치] 윤석열 - 영부인/민정수석 없앨 것 [173] 유료도로당19696 21/12/22 19696 0
94483 [정치] [로이터 특집] 대만 군장성들의 심각한 스파이활동 [19] 아롱이다롱이12616 21/12/22 12616 0
94482 [일반] 살면서 본 최고의 노래 오디션이 드디어 끝났네요.mp4 [12] insane13768 21/12/22 13768 3
94481 [일반] 경제복잡도지수, 그리고 국가경쟁력 [27] cheme16188 21/12/21 16188 61
94480 [일반] 설강화 -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허용되어야 하는가? [296] 하프-물범18162 21/12/21 18162 66
94479 [일반] pgr 할배가 추천하는 70 ~ 80년대 일본 대중가요 [24] 라쇼18015 21/12/21 18015 7
94478 [정치] 삼성플라자가 삼성미술관? 김건희 전시 의혹 따져보니.. [37] 브론즈테란13322 21/12/21 13322 0
94477 [정치] 성남도시개발공사 김문기 개발1처장 숨진 채 발견 [119] EpicSide22914 21/12/21 2291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