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12/26 08:44:36
Name 마빠이
Subject [일반] <노스포> 약간은 실망 스럽지만 잘 본 고요의 바다 후기
한국에서 우주SF 드라마라는 장르를 볼 수 있다는 기대감에 이틀 만에 8화까지 다 본 고요의바다는 약간은 실망스러웠다고 해야 하나.. 많은 분들이 지적했던 배우들의 연기도 그렇고 엄청나게 느린 전개까지, 다만 오징어게임과 지옥으로 인해 다음 작품에 대한 기대감 상승과 한국형 우주SF라는 기대감까지 무척 기대했던 것에 비해 모자름이지 수준 이하의 작품이거나 너무너무? 지루한 작품은 아니고 볼만 했다가 솔직한 감상평입니다.

어느 정도 예산이 들어간 드라마인 만큼 CG나 세트의 퀄리티는 헐리우드 블록버스터급은 아니더라도 작품에 충분히 몰입 할 수 있을 정도로 완성도가 있었고 연기 부분은 다들 연기 잘하는 배우분들인데 작 속 캐릭터들이 군인과 과학자들이다 보니 뭔가 감독이 디렉션을 잘 못 한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이 듭니다. 연기 때문에 못 보겠다는 아닌데 뭔가 캐릭터들이 대부분 딱딱하고 경직된 느낌을 받아서 온전히 몰입하는데 약간의 방해를 받았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작품 중에 하나 인 제임스 카메론의 에일리언2와 유사한 느낌을 받았는데, 스토리의 큰 틀은 물론 세트나 특정 씬들이 에일리언2를 연상 시키는 장면이(오마쥬라 봅니다.) 종종 나옵니다. 에일리언2가 워낙 마스터피스다 보니 사실 바이오하자드1도 그렇고 어떤 연구소나 기지에 문제가 생기고 연락이 끓기면서 새로 파견된 사람들이 그 연구소의 비밀을 알아간다는 스토리는 뭐 교과서적이라 더 말 할 것도 없겠네요. 흐흐 (그렇다 보니 결말과 반전마저도 거의 마스터피스 왕도 그대로..)

넷플릭스에 레인 이라는 덴마크 드라마가 있는데 비를 맞으면 중독되어 죽어서 덴마크가 멸망하고 아포칼립스 상황이 됩니다.
워킹 데드에서 돈이? 많이 나가는 부분인 좀비를 돈 안 드는 죽음의 비로 대체해서 저예산으로 아포칼립스 상황을 만들었다면
고요의 바다도 에일리언2 에서 돈이 드는 에일리언과 액션 부분을 싹 빼고 그걸 물과 드라마로 대체 해서 저예산으로 잘 만든 거 같습니다.

영화로 치면 2시간 분량의 스토리를 6시간 정도로 늘리면서 전개가 상당히 느리지만 그래도 지루하지 않게 잘 본 건 초반부 서스펜스 빌드업이 대단합니다. 초반부를 잘 다져 놓으니 늘어지더라도 차근차근 다음 이야기를 알아 가는 것이 나름 볼만 했습니다.

별 3.5개에 한국에서 이런 장르를 시도 했다는 것 자체로 0.5점 더해서 개인적으로 별 4개는 가능한 작품인 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이먼도미닉
21/12/26 08:47
수정 아이콘
미국 기술을 이용해서 우주 항공체를 발사한 그런 느낌이죠. 클리셰를 많이 따라갔다는 게.

그래도 궤도 안착은 한 느낌입니다.
유료도로당
21/12/26 08:55
수정 아이콘
뭔가 영화로 만들었으면 더 호평받았을듯한 느낌이네요.
헤나투
21/12/26 09:08
수정 아이콘
늘어지는 전개에 우주공간이다보니 사운드적으로도 상당히 심심하죠.
전 그럼에도 묘한 긴장감이 계속 흘러서 꽤 몰입해서 봤습니다. 물론 마지막이 너무 별로긴했어요
마빠이
21/12/26 09:08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고요의 바다에 한 가지 더 칭찬하고 싶은 것이

에일리언에서 페이스허거가 사람의 얼굴에 붙어서 사람을 숙주로 삼는 장면
바이오하자드1에서 처음 좀비가 시체를 먹다가 주인공 기척을 느끼고 돌아보는 장면

이런 장르는 초반부 처음 적들이 나타나는 장면들이 가히 충격적이고 호기심과 공포를
동시에 주는 장면들이 꼭 필요하고 초반 빌드업에 상당히 중요한데

고요의 바다는 그런면에서 굉장히 충격적이고 상당히 궁굼증을 자아네는 장면을 잘
연출 한거 같아서 그 장면?은(뿜어내는...) 정말 잘 연출한거 같습니다.
21/12/26 10:54
수정 아이콘
넷플릭스에서 최고 인기 있었던 manifest란 드라마에 똑같은 장면이 나옵니다. 그렇잖아도 클리쉐 덩어리인데 미국에선 더 그런 평을 받을 듯 하네요.
마빠이
21/12/26 11:18
수정 아이콘
헐 그 장면마저 가져온거는 또 몰랐네요 덜덜...
신류진
21/12/26 09:13
수정 아이콘
어제 몰아봤는데 전 별로였어요..
21/12/26 10:02
수정 아이콘
재밌게 보긴했는데, 좀 질질끄는 부분이 많고 아쉽긴하네요
그나저나 문 배경이나 풍경에서 BGM이 묘하게 인터스텔라랑 흡사해서 크크
미러스엣지
21/12/26 10: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긴장감을 유지시키는 기술이 쥬라기 공원만도 못했습니다.;;
21/12/26 10:53
수정 아이콘
전 드라마나 영화에서 왠만하면 그러려니 하고 넘기는 편인데도 이과로서 이 작품은 도저히 그러질 못하겠더군요. 아무리 그래도 뭔가 기본은 해야 되지 않나 하는...
스카이
21/12/26 21:05
수정 아이콘
저도요. 기본설정이 해도 너무하게 안 맞는거 아닌가 싶어요. 무에서 유가 창조되니..
21/12/26 11:16
수정 아이콘
결말 좀 누가 설명좀 해줘요~
여긴 노스포 글이라서 좀 그렇고 질게 제 질문에 답 좀...
마빠이
21/12/26 11:31
수정 아이콘
질게 단맛님 글에 제 나름의 해석을 답글로 달았습니다.!
군림천하
21/12/26 16:54
수정 아이콘
영화 라이프 같은건줄 알았는데 실망
겨울삼각형
21/12/28 10:10
수정 아이콘
보면서 계속

작가가 문과구나... 라는 생각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813 [일반] [펌] 추락 전투기 조종사, 민가 피하려고 끝까지 조종간 잡았다 [112] 가라한14688 22/01/13 14688 39
94669 [일반]  2021년 시청한 넷플릭스 작품들 리뷰와 별점 [60] 카트만두에서만두14680 22/01/02 14680 12
94548 [일반] <노스포> 약간은 실망 스럽지만 잘 본 고요의 바다 후기 [15] 마빠이8569 21/12/26 8569 1
94539 [일반] 우크라이나 여성징병 승인 [89] 오곡물티슈17812 21/12/25 17812 7
94487 [일반] 화이자 3차접종(부스터샷) 후기 [30] BTCS전술통제기10311 21/12/22 10311 10
94483 [정치] [로이터 특집] 대만 군장성들의 심각한 스파이활동 [19] 아롱이다롱이11993 21/12/22 11993 0
94456 [일반] [스포] 소련 SF: "스토커"의 처절한 이야기. 우리의 "구역"은 어디인가? [16] Farce11620 21/12/20 11620 12
94285 [정치] 여성의 말을 믿지 않으면 나쁜거다? [101] LunaseA20600 21/12/07 20600 0
94273 [일반] [책이야기] 소비의 역사 [6] 라울리스타7887 21/12/06 7887 10
94272 [일반] 고인물들이 봉인구를 해제하면 무슨일이 벌어지는가? [61] 캬라18230 21/12/06 18230 72
94256 [정치] 34년 전 오늘, 야당 후보에게 투표했던 군인이 죽었다 [39] 일신13612 21/12/04 13612 0
94230 [일반] 80%가 사라진 미 해군, 침몰한 해군이 다시 살아난 전쟁 [17] 오곡물티슈13975 21/12/02 13975 36
94221 [일반] 로마군의 아프가니스탄: 게르마니아 원정 [57] Farce15729 21/12/01 15729 59
94206 [일반] 법의 집행은 법조문의 문구와 의도 중 어느쪽을 따라야 할까요 [26] Regentag8028 21/11/29 8028 2
94154 [정치] 안철수가 연금개혁을 내새운 이유.txt [36] 호옹이 나오12171 21/11/24 12171 0
94122 [일반] [역사] 우산쓰는 사람 = 차 못사는 사람? / 우산의 역사 [25] Fig.112589 21/11/22 12589 13
94118 [일반] [펌] 불신의 비용 [184] 25cm17327 21/11/21 17327 112
94038 [일반] 나의 면심(麵心) - 냉면만 두 번째 이야기 [24] singularian10939 21/11/12 10939 13
94014 [정치] 시민단체 + 평화는 믿고 거르는 조합? 그래도 이야기는 들어는 봐야하나 [22] 오곡물티슈9889 21/11/10 9889 0
93913 [일반] 무술이야기 02 중국무술, 혹은 k쿵후 [4] 제3지대7389 21/10/31 7389 16
93883 [일반] 짝짓기 게임 [52] 어둠의그림자16740 21/10/27 16740 82
93825 [일반] 우리가 이곳에 있는 이유는 우리가 이곳에 있는 이유는 우리가 [12] Farce8723 21/10/24 8723 25
93747 [일반] 노래로 이별을 기억하기 [37] seotaiji10460 21/10/14 1046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