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23 12:31:00
Name 그때가언제라도
Subject [일반] 다다미 넉장 반 세계일주(2010) 스포 감상 (수정됨)
'인생은 애초에 장미빛이 아닌 잡다한 색을 갖고있다'


청춘물 애니입니다.

일본 애니 주류의 모에 그림체도 아니고

애니메이션 많이 봐왔지만 주인공 독백이 이렇게 많은 애니메이션은 처음 봤습니다.

이런 작품의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독백의 화자인 주인공의 성우인데 한 번 나무위키 켜보니 대히트한 애니 주역은 없어도

조금(?)히트한 애니 조역정도는 꾸준히 했었네요.




이 애니는 놀랍게도 첫화부터 ~ n화까지 각화마다 주인공이 대학교 동아리 서클에 들어가서 망하는 걸 스즈미야 하루히 엔드리스 에이트처럼 계속 보여줍니다.

스즈미야 하루히는 뭐 완전히 똑같은 이야기를 패션쇼하면서 똑같이 보여주는 말도안되는 기행을 보여줬지만...

이 애니는 그런건 아니고 주인공이 마지막 절규하면서 '다른 동아리에 들었다면 이것과는 다른 대학생활을 보냈을텐데' '오즈와 만나지않았다면 내 인생은 더 나았을' 하는 후회와

동시에 시간이 돌아가는 연출과 함께 각화마다 다른 동아리 서클에 들면서 과정이나 결말은 비슷하게 실패하는 원패턴입니다.

중간부터는 약간 이야기에 변화를 줘서 3명의 여자 중 누구 한 명을 고르는 양자택일의 기로에 서기도하고

3명의 여자를 일일이 고르는 루트를 다 보여주지만 전부 깔끔하게 망하는 것도 다 보여주는 변태같음...





애니가 루프물인데...이야기가 진행될수록 각 등장인물들간의 관계나 그 지역내 이야기등 점과 점이 이어지는 세세함도 재밌었습니다.

결국 마지막 루트에서는 주인공은 아무 동아리도 들지않고 다다미 넉장 반에서의 생활을 선택...

다다미 넉장 반이 끝없이 이어진 우주에 갇히게 됩니다.

애니메이션 중간쯤에 그런 갇힌 주인공의 모습이 나옵니다.(이래서 원작 있는 애니메이션 애니화가 좋긴하죠)

애니메이션 오프닝도 무한우주 다다미 넉장 반을 보여주는 거죠 크크




그렇게 혼자서 몇개월 동안 다다미 넉장 반의 우주를 떠돌던 주인공이 느끼는 독백이나 외로움이 이 이야기의 주제입니다.

평소 안좋게 생각했던 모든 것들은 떨어지고 나서보니 사랑스럽고 다시 한 번 보고싶은 것들...(그런데 혼자서 몇 달 카스테라만 먹으며 살면 어디든 안그러겠냐 싶긴합니다.)



갑자기 다른 작가의 작품인 '3일간의 행복'이 떠오릅니다.

'3일간의 행복'에서는 과거 주인공이 업신여기거나 노력하지않은 곳에서의 사람들과의 해후는 아픔만을 되씹게 만들어줬었고

Restart 버튼 따위는 3일간의 행복의 주인공에게는 없었지만 다다미 넉장 반의 주인공에게는 있었네요.

생각해보면 지나간 과거에 Restart 버튼은 없기마련인데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애니메이션이 희망이 가득한(?) 이야기긴 하네요.

저도 옛날에 지나간 옛날 사람한테 연락 한 적 있는데 봐도 별로고 흑역사 적립 +1이었던 아픈 기억이....(여자에게 추파 건 것도 아니건만..)




애니 결말에서 이어진 후배와의 관계를 말하는 건 쓸데없는 사족이라 말했는데

2기가 12년(후덜덜)만에 나왔네요.

나중에 천천히 볼려고 합니다.

슈타인즈 게이트 같은 루프물이야 몰아서 보면 재밌는데 다다미 넉장 반은 음...하루에 몰아보기에는 좀 하드하긴하더군요.




'당신 앞에 흔들리고 있는 호기를 붙잡아보세요'

이렇게 작품 주제를 명확하게 매화 질릴정도로 말해주는 작품이 또 있을까요 크크...

지금이 아닌 무언가를 꿈꾸기보다는 지금을 이 시기를 붙잡아야...






좋은 청춘 애니메이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DayInTheLife
22/10/23 13:26
수정 아이콘
방금 올라오는 기차 안에서 왓챠로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를 재밌게 보고 바로 접하는 같은 작가, 같은 애니메이션 감독의 작품이네요.
뭔가 소설로 보면 맛이 안 살 거 같은데 특유의 환상적인 분위기나 그 이야기의 사랑스러움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크크
그때가언제라도
22/10/23 13:35
수정 아이콘
여기 애니에서도 대놓고 밤짧 광고해요 크크
aDayInTheLife
22/10/23 17:04
수정 아이콘
밤짧도 괜찮습니다 크크
22/10/23 14:00
수정 아이콘
보신 작품을 소설만 읽어봤었는데 괜춘했던 기억이 납니다.
aDayInTheLife
22/10/23 17:03
수정 아이콘
아 그런가요? 한번 찾아 읽어봐야겠네요 흐흐
22/10/23 14:41
수정 아이콘
제가 꼽는 오덕계의 일본어 전투력 측정기입니다. 아 물론 상당히 취향을 타긴 하지만 애니로서의 재미도 훌륭하죠.
그때가언제라도
22/10/23 17:17
수정 아이콘
이게 그림체는 둘째치고 매화 루프가 같은 구조 대사 결말이라 초반은 좀 못버티는 사람 있을듯...
펠릭스
22/10/23 15:30
수정 아이콘
청춘물???

청춘물??

아무리봐도 절망물인데?
그때가언제라도
22/10/23 17:17
수정 아이콘
결말이 확 밝혀주죠.
패트와매트
22/10/23 17:55
수정 아이콘
모리미도 좋은작가죠 자기스타일 고집하긴 하지만
이웃집개발자
22/10/24 09:22
수정 아이콘
[제 나름의 사랑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067 [일반] 등기부 등본상 깨끗한 집을 사고 전재산를 날린 사례 [189] 마음에평화를20993 22/11/02 20993 25
97065 [정치] 이태원 참사가 용산경찰서만의 잘못이 아닌 이유 [21] 잉명13168 22/11/02 13168 0
97064 [정치] 세계적으로 정통보수 정치세력이 몰락하고 포퓰리스트 우파가 약진하는 추세가 확실한 것 같습니다. [24] 홍철11093 22/11/02 11093 0
97063 [정치] 새 마스크 뜯자마자 썼는데…그 냄새 몰랐던 위험성 찾았다. [21] The Unknown A14347 22/11/02 14347 0
97062 [일반] 따거와 실수 [36] 이러다가는다죽어10222 22/11/02 10222 68
97061 [일반] 의경들의 희생으로 치안을 지켜온 대가, 이태원 참사 [607] 머랭이29474 22/11/02 29474 126
97060 [일반] 핸드폰은 정말 모르겠습니다 [40] 능숙한문제해결사12226 22/11/02 12226 0
97059 [정치] 애도기간에 시위하지 말라? [53] 로사16270 22/11/02 16270 0
97058 [일반] 자동차 구입기 [40] 요망한피망11159 22/11/02 11159 8
97057 [일반] 살아남은 행운의 공포 [99] lexicon18052 22/11/02 18052 39
97056 [정치] [속보] 합참 "북, 동해로 탄도미사일 발사"…울릉도에 공습경보 [65] 카루오스16983 22/11/02 16983 0
97055 [일반] 흥국생명 콜옵션 행사포기가 국내 경제 멸망의 트리거가 될 수 있습니다. [78] 네야20328 22/11/02 20328 5
97054 [일반] 글 쓰는 걸로 먹고살고 있지만, 글 좀 잘 쓰고 싶다 [32] Fig.110413 22/11/02 10413 24
97053 [일반] 이태원 압사 참사에서 경찰과 용산구청의 대비가 허술했던 이유 [193] 리클라이너26190 22/11/01 26190 21
97052 [일반] 건물주가(?) 됐습니다. 이벤트 [350] 꿀깅이13769 22/11/01 13769 3
97051 [일반] J-POP 여성보컬 밴드의 차세대 여왕으로 떠오르는 녹황색사회 Best Song [12] 환상회랑13182 22/11/01 13182 8
97050 [일반] 판협지의 시초작들이 웹툰으로 다시 살아나다 - 웹툰 추천 [30] LuckyPop11260 22/11/01 11260 2
97048 [정치] 경찰청 감찰팀 용산경찰서 감찰 착수 [55] kurt17373 22/11/01 17373 0
97047 [일반] 경북 봉화 매몰 사고 2차 시추 실패 [27] 똥진국12070 22/11/01 12070 4
97046 [일반] 이태원 사고, 불법 건축도 한 원인이다? [64] 이른취침14434 22/11/01 14434 2
97045 [정치] 강원도 발 금융 경색이 터져나오는 모양새입니다. [177] 네야20587 22/11/01 20587 0
97044 [정치] 이태원 사고 이전, 112 신고 요약 [297] 26217 22/11/01 26217 0
97043 [일반] 이태원 사고, 119 최초 신고자 녹취록 공개 [98] Leeka17219 22/11/01 17219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