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24 06:32:46
Name 기찻길
File #1 79956b4289042.png (56.4 KB), Download : 181
File #2 210920_329749_394.jpeg (122.2 KB), Download : 153
Link #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1538
Subject [정치] 중앙일보 금융팀장: 트러스, 김진태의 ‘똥볼’ (수정됨)




[이런 속된 표현, 쓰고 싶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다. 일련의 상황을 한마디로 요약하기엔 이만한 단어를 찾을 수 없어서다. 리즈 트러스 전 영국 총리와 김진태 강원지사가 제대로 ‘똥볼’을 찼다. 두 사람이 쏘아 올린 공이 금융시장에는 메가톤급 폭탄이 됐다. 의도했다기엔 충격이 일파만파고, 무식해서 용감했다기엔 녹다운된 시장이 할 말을 잃을 지경이다.]




중앙일보 사이트 댓글 콘트리트 우파들 반응은 기자보고 좌파라니  욕을하고 있지만 언론사들의 돈줄이 건설사들인데 그분들의 목숨을 건드리는 바람에 친 우파성향인 언론사들도 난리치고 있긴하네요. 민주당 욕만 하기에는 국힘세력들이 정신차리지 않을것이라고 판단하고 쓰고 있긴한데 문제는 김진태가 정신차릴찌는 미지수 이긴하네요.

 김진태 도지사는 나몰라하고 내일 베트남 해외출장간다는데  건설사에게 모가지가 달린 거대 언론사들이 조만간 물러나라고 여론전 할것 같네요. 김진태는 아직 당선된지 1년도 안되어서 지금 국민소환도 못하긴한데 다른 방법은 비리 캐서 알아서 물러나라고 할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추경호 부총리 어제 발언보면 김진태에게 정말 유감이라고 발언을 했는데
[ “(김진태)지사가 정치적으로 접근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어쨌든 불신이 있다는 건 좋지 않다”] 라는 걸 보면 중앙정부도 김진태에 대해 불만이 우회적으로 드러냈습니다.  김진태 도지사가  추경호 부총리에게 단단히 조인트를 맞았긴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0/24 06:38
수정 아이콘
큰 일에 흔들리지 않아야 큰 사람이 된다는 건가요.
달은다시차오른다
22/10/24 07:02
수정 아이콘
큰 사람은 아니고 큰 집은 갈거 같습니다..
22/10/24 07:10
수정 아이콘
본문 표에 나와 있진 않지만 문화일보도 현대중공업이 지분율 1위라고 하죠. 건설사와 언론의 유착관계 나아가서 지배관계를 다들 알았으면 하네요.

기울어진 언론 지형 애기하면 그런거 없다거나 사소하게 보는 사람들이 있는데 국내 10대 종합일간지중 확고한 보수 조선-중앙-동아-문화 빼고도 서울신문(호반) 세계일보(통일교) 국민일보(기독교)까지 범 보수라고 볼 수 있죠. 중도성향이라는 한국일보를 제외하고 나면 확고한 진보 스탠스의 신문은 한겨레와 경향 뿐입니다.
안수 파티
22/10/24 07: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정도 똥볼을 찼으면 알아서 물러나야 하는 거 아닌가요? 정말 한번 들어나 보고 싶습니다.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런 건지...
22/10/24 08:07
수정 아이콘
김진태는 지금도 ‘내가 뭐?’ 이런 상태일 듯 합니다
러브어clock
22/10/24 08:13
수정 아이콘
내각제가 아니라서...
안수 파티
22/10/24 08:16
수정 아이콘
오세훈 케이스도 있고 물러나려면 물러나는 거 아닐까요.
다람쥐룰루
22/10/24 08:26
수정 아이콘
도지사는 그냥 물러나야죠 탄핵씩이나 시켜줄 일도 아니고 국힘이 같이 엮여서 나락가기는 싫을겁니다 오늘부터 전후방에서 십자포화가 떨어질텐데
복타르
22/10/24 08:28
수정 아이콘
최문순 게이트라 명명하고 여당인사들 검찰 구속수사 들어간다에 한표...
닉네임을바꾸다
22/10/24 13:17
수정 아이콘
야당 아닌가요?
복타르
22/10/24 13:20
수정 아이콘
엇 오타를..
눕이애오
22/10/24 08:13
수정 아이콘
레고랜드 자체가 삽질인 거라 최문순 물고 늘어진다지만 막상 레고랜드는 김진태도 열심히 추진한거고
지금 터진 사건은 김진태 잘못이라고 생각되는데..
22/10/24 08:16
수정 아이콘
영국 보고 240조 날렸다고 비웃을 처지가 아니게 되어버리긴 했죠. 2000억으로 막을걸 50조로 막게 생겼으니...
raindraw
22/10/24 08:22
수정 아이콘
[저쪽 집이 무너졌다고 해서 구경하러 갔죠. 그런데 보고 오니 우리 집이 무너진 거에요. 보자마자 눈물이 났어요.] ㅠㅠ
정말 제발 잘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람쥐룰루
22/10/24 08:28
수정 아이콘
빨리 해결을 해야죠 진짜 난리납니다...
조말론
22/10/24 08:56
수정 아이콘
[정치인의 무모한 행보에 금융시장이 제물이 됐다.]
22/10/24 09:00
수정 아이콘
정부는 요거말고 북한납북 관련처리하는게 1순위라...
22/10/24 09:12
수정 아이콘
지지율보면 그 당은 그래도 되니까요.. 이번엔 편파적인 언론마저도 오죽하면 그럴정도로 까는 심각한 문제인데 지지자와 그 지지자들 잘 아는 당은 전임자 타령하거나 문, 이관련 수사에만 신나있어서 관심없죠.
층간소음흑흑
22/10/24 10:07
수정 아이콘
맞죠..극혐입니다 진짜로..
22/10/24 09:14
수정 아이콘
멍청...
판을흔들어라
22/10/24 09:17
수정 아이콘
똥볼도 굉장히 순화시켜준 표현 같은데....
와일드튀르키예
22/10/24 09:20
수정 아이콘
일단 지금 주가/환율은 괜찮은것 같네요. 저번주말에 워낙 미국 시장이 올라줘서.
22/10/24 09:26
수정 아이콘
왜냐면 아직 안터졌거든요...

건설사 부도가 나야 실제로 보일겁니다
겨울삼각형
22/10/24 10: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금 많은사람들이 패닉에 빠진건
강원도 2천억이 문제가 아닙니다.

지금 돈을 구하지 못하는 수많은 건설사들이 비명을 지르고 있고

최악의 경우 국내 10대 건설사에 들어있는 기업들중에서도
파산 이야기가 나올 수 있다는겁니다.
최근 추세가 건설사가 단독으로 진행하기보단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건설사들 여러개가 컨소시움으로
진행하는 사업들이 많은데...

이게 하나 무너지면 도미노처럼 전체 건설사들이 망할 수도 있거든요.
와일드튀르키예
22/10/24 11:07
수정 아이콘
동의하는 부분이고..
주말 사이에 워낙 장 시작 걱정을 많이하셔서 댓글 달았습니다.
아스날
22/10/24 09:35
수정 아이콘
박근혜 탄핵때 한짓보면 전혀 신경 안쓸것같네요..김진태라는 사람은
Fabio Vieira
22/10/24 09:46
수정 아이콘
김진태는 지금도 내가 뭘 잘못했다고 이 난리야? 라고 하고 있을 인간이라
OvertheTop
22/10/24 09:52
수정 아이콘
우려와는 달리 시장은 안정적이네요 큰 똥볼이 아니었나 봅니다. 트러스에 비견될려면 세상이 올라도 한국 혼자 곤두박질치거나 왔다갔다하거나 그래야되는데... 사실 우려는 그거였거든요. 근데 그게 없다면 다행인거죠. 발빠르게 대응한게 먹힌거니까.
층간소음흑흑
22/10/24 10:07
수정 아이콘
굳이 이런 리스크를 발생시킬 필요가 없었는데 말이죠
OvertheTop
22/10/24 10:17
수정 아이콘
그렇죠. 다만 그래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거 같아 다행인거죠.
층간소음흑흑
22/10/24 11:02
수정 아이콘
네 근데 2천억을 50조로 막게 생겼으니 다행이긴 하지만 그래도 이미 손실 상황 같습니다.
22/10/24 10:11
수정 아이콘
시장 안정시켜야 되는데 그 와중에 실드를 치고 있으니 불안은 계속될 곳 같습니다.
OvertheTop
22/10/24 10: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런 정책(50조 투입)자체가 단기적인 패닉을 막는거 정도 밖에 안될겁니다. 아마..대부분 그렇죠. 현재 미국발 문제는 진행형이니 불안이 없어질순 없죠. 이건 어떤짓을 해도 마찬가지일겁니다.
-안군-
22/10/24 12:59
수정 아이콘
50조가 시장에 풀린다는데 주식시장에는 대호재죠. 폭등하지 않는게 오히려 이상합니다.
OvertheTop
22/10/24 13:50
수정 아이콘
위에 우려로보면 채권시장 신뢰도를 잃었다는건데 그렇다면 폭락해야죠. 국가담보 채권이 신뢰상실인데..근데 그게 막혔다는 거지요.
-안군-
22/10/24 15:37
수정 아이콘
주식쟁이들은 실물경제에는 관심이 없거든요. 나라야 망하든 말든 내가 들고 있는 주식가격만 오르면 그만이죠.
OvertheTop
22/10/24 16:49
수정 아이콘
채권시장과 주식과는 긴밀한 관계가 있어요..... 관련없지 않아요. 엄청난 관련이 있죠....... 이건 주식쟁이들이 채권따윈 무시다 해서 무시되는 그런게 아니라고 봅니다.
몽키매직
22/10/24 13:09
수정 아이콘
돈을 회수해야 될 시기에 돈이 반대로 풀려서 잠깐 자산시장이 좋아보이는 거죠.
결국 회수해야 될 돈이고 그만큼 고금리 지속시간을 추가하는 꼴입니다.
OvertheTop
22/10/24 14:04
수정 아이콘
의견에 일부동의하구요. 근데 고금리 지속시간을 추가하는 꼴이라는거엔 동의할수가 없네요.
작금의 사태에서 고금리 지속시간은 한국 스스로 결정할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봅니다. 미국이 관건인거죠...이건 다른나라들도 마찬가지입니다.
22/10/24 10:00
수정 아이콘
김진태, 권성동 등 검사출신들이야말로 피닉스죠. 온갖 막말에 범죄 저지르고 똥볼을 차도 또 다시 당선된다는 거.
셧업말포이
22/10/24 10:00
수정 아이콘
상황은 이해하겠으나
한 페이지에 비슷한 글을 몇개씩 쓰시는 건지..?
겨울삼각형
22/10/24 10:18
수정 아이콘
트러스의 삽질은

그 의도가 이전의 보수정당들이 유지해오던 기조
[부자감세] [약적 완화] 라는 측면에서는 이해는 되는 행동 입니다.

문제는 기 시기가 미국이 슈퍼강달러+금리인상 인 시점
그리고 하필 영국 연기금이 채권 레버러지에 큰투자를 해서 다날릴뻔한 위기 가 겹친 불운(?)이라고 한다면

김진태의 AAA급 채권 2천억 터트리기
는 무슨 의도인지 전혀 알수 없는 똥멍청이 같은 거라 이해가 안됩니다.

보통 정치적인 액션은
우리 못갚는다 못갚는다~~~ 하지만 결국 신용은 지켜야 뭐라도 그 뒤가 있는덕
허세왕최예나
22/10/24 11:21
수정 아이콘
중앙일보가 5년 전에 예언한 것이 현실이 됐을 뿐... 흑흑 어디까지 내다보신 겁니까 이정재 선생님
Dr.Strange
22/10/24 11:21
수정 아이콘
관심도 없고 뽑지도 않은 인간이 지 멋에 꼴아서 국가 곳간에서 아무렇게나 목돈 쓴다니 벌어진 입에서 침이 흐릅니다... 효수해야 하는 거 아닌가...
22/10/24 11:46
수정 아이콘
이런 사건이 벌어지기 전에 몇번의 필터링이 있었을거 같은데

1. 김진태 개인 : 이자 안내도 되나? 다들 집사거나 뭐하거나 뭐할때 이자 안내고 파산하는 경우가 없는데, 왜 그랬을까?
- 주변 관료가 내지 말라고 해도 한번쯤은 개인이 의심해봐야 할텐데?

2. 주변 관료 : 저거 저러면 안될텐데 얘기해야 하지 않나? 심각한데
- 장이 저런 말도 안되는 결정을 하는데도 주변에서 참조언을 하지 않는 경우는,
장이 매우 일처리가 똑똑해서 의심의 여지가 없거나, 장이 철권통치를 하긴 때문이죠. 전자는 당연히 아니겠죠. 하하

사실 큰 경제 상식도 필요 없습니다.
[지불 여력이 된다면, 빚에 대한 이자를 까먹지 말고 내자.]
라는 초기본상식만 있어도 벌어지지 않았을 일이에요. 그런 상식에 반하는 보고나 조언이 들어오면 그때 의심하고 지식을 찾아봐도 되구요.

게다가 그런 상식 없는 무식한 사람이 권력마저 휘두루고 있는 상황이니 이런 일이 벌어진거 같습니다.
강원도청 내의 누군가는 큰 일 벌어져서 이거 어쩌나 싶기도 하겠지만, 누군가는 [김진태 쌤통이다. 크크크] 하지 않을까요?
아케이드
22/10/24 12:02
수정 아이콘
트러스랑 비교하려면 하룻만에 환율이 1600쯤까지 가야죠 비교대상의 규모 차이가 너무 크네요
체크카드
22/10/24 12:23
수정 아이콘
직책이 다르니까요
트러스는 최고결정권자라 뱉으면 커버쳐 줄 사람이 없죠
김진태가 도지사라 중앙에서 급하게 막아줘서 산거죠
거기에 이 일의 후폭풍이 또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고 불확실성만 키웠어요
아케이드
22/10/24 12:30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더더욱 비교대상이 잘못된 거라고 봅니다
대한민국이 강원지사 한명이 X판 친다고 위태로워질 끕은 아니죠
체크카드
22/10/24 12:37
수정 아이콘
트러스는 최고결정권자라 사퇴해서 막은거고 강원지사 한명이 개판 쳤다가 위태로워져서 50조 알파 푸는거에요
22/10/24 22:42
수정 아이콘
단순한 발언이 아니라 강원도지사의 (일반적이지 않은) 실책성 정책결정이라고 봐야죠.

저분이 사고 친 지 한 3주 정도 되었나요. 그 뒤로 지금 지자체,공사 채권들 줄줄이 유찰되고 시장에서 돈이 멈춰있으니 일요일(어제)에 한국은행까지 회동해서 긴급하게 50조 넣어서 막겠다고 한건데, 이것도 미시적인 조치이지 신뢰를 잃은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할지 모르고, 내년 되면 80조 까지 늘어날 예상이라고 하네요. IMF 겪어보신 분들이라면 건설사들 연쇄로 부도나는건 정말 순식간이라

예산 많이 먹는 굵직굵직한 부처들이 한 2~30조 정도가 1년 예산인데, 지금 예상처럼 5~80조를 여기에 넣어야하면 아마 윤석렬 정부에서 5년간 하고 싶었던 공약 대부분은 찍찍 지워졌을것 같습니다. 이것도 내년에 막히면 다행인거고요. 만약 그렇지 않다면 앞으로 더 어마어마한 사회적 비용이 치뤄질지도 모를 것 같습니다.
22/10/24 12:25
수정 아이콘
그런데 글 하나로 묶으면 안되는 건가요. 같은 내용인데요.
파인애플빵
22/10/25 20:33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건설사들 소유 언론이 많은데 자기들 스스로 똥볼을 찼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044 [정치] 이태원 사고 이전, 112 신고 요약 [297] 26228 22/11/01 26228 0
97043 [일반] 이태원 사고, 119 최초 신고자 녹취록 공개 [98] Leeka17227 22/11/01 17227 10
97042 [정치] 한 총리, 외신에 "치안 인원 더 투입했더라도 한계 있었을 것" [130] 빼사스16652 22/11/01 16652 0
97041 [일반] 소상공인 항체 무료 검사 피싱 (보험 가입 ) [7] 한사영우5913 22/11/01 5913 1
97040 [일반] RTX 4080이 미국에서 1200달러, 핀란드에서 1621유로 등록 [19] SAS Tony Parker 9653 22/11/01 9653 0
97039 [정치] 행안부 “객관적 상황 확인되지 않아 중립적으로 ‘사망자’ 표현” [79] 선인장17108 22/11/01 17108 0
97038 [일반] 오랜만에 제 자작곡 올립니다. [12] 포졸작곡가6106 22/11/01 6106 13
97037 [일반] [인도] 구글 깨갱 [12] 타카이11286 22/11/01 11286 2
97036 [정치] 5대 금융지주, 연말까지 95조원 규모 유동성 지원 나선다 [41] 기찻길13674 22/11/01 13674 0
97035 [정치] 박희영 용산구청장 "역할 다 했다" "핼러윈은 축제 아니라 현상" [298] Davi4ever27222 22/11/01 27222 0
97034 [정치] 자국민 5명 사망 이란 “한국 정부 현장 관리 부실” [72] 크레토스17627 22/11/01 17627 0
97033 [일반] 내가 생각하는 임창정 노래 수록곡 Best 5 [32] 오츠이치7808 22/11/01 7808 2
97032 [일반] 요즘 J-POP을 씹어먹고 있는 역대급 천재 괴물 Vaundy Best song [36] 환상회랑17251 22/11/01 17251 14
97031 [일반] 내가 생각하는 윤하 노래 Best 5 [79] copin11034 22/10/31 11034 5
97030 [일반] [스포/장문주의] 왜 재밌는지 모르겠는데 재밌는 <안도르> 시즌1 중간정산 [16] Serapium11031 22/10/31 11031 1
97029 [일반] 휴식이 용납되지 않는 사회에서 일어나지 말았어야 하는 참사 [53] 영소이17059 22/10/31 17059 57
97028 [일반] 나홀로 역행하는 애플의 3분기 실적 [25] Leeka10829 22/10/31 10829 1
97027 [일반] OpenSSL, 초고위험도 취약점에 대한 패치 예고 [14] Regentag11225 22/10/31 11225 2
97026 [정치] 이상민 행안부장관 "이태원 참사, 과연 경찰·소방이 원인인지 의문" [157] 빼사스20430 22/10/31 20430 0
97025 [일반] 인도에서 보행자용 다리붕괴 참사…"최소 130명 사망" [16] Croove13070 22/10/31 13070 1
97024 [일반] 러시안 룰렛, 당신의 유산균을 골라봅시다 [77] 똥진국11977 22/10/31 11977 13
97023 [일반] 피로 쓰여진 한국의 안전 규칙 [52] 굄성14946 22/10/31 14946 18
97022 [정치] 사고가 나면 위로와 사고조사는 동시에 하는 것입니다. [103] Vacuum16467 22/10/31 1646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