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1/03 12:55:19
Name lexicon
File #1 9F1E2578_8B90_4D68_808E_F671983F079F.jpeg (154.9 KB), Download : 154
File #2 9F2827C1_D1F6_4510_B4B3_03ABAD4EF2E9.jpeg (132.8 KB), Download : 122
Link #1 https://twitter.com/pblu_nojo/status/1588005909070229505
Subject [일반] 화섬식품노조 파리바게트지회 투쟁승리




- SPC 계열 노조 중 가장 잘 알려진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파리바게트 지회에서, ’드디어‘ 노사간의 투쟁에서 승리했습니다. 그 승리의 내용이란 위의 내용과 같은 노사합의서를 작성하고 상호 협약을 마쳤다는 것입니다.
- SPC 노사갈등의 특징은 2020년대의 대한민국에서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일을 복잡하게 꼬아버리는 바람에, 그 현황을 밖에서 보기에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파악하기가 정말 어렵다는 점입니다. 그나마 지부장 등이 열심히 돌아가는 내용을 바깥에 알리고 있지만, 쉽지 않습니다.
- 위 협약서의 내용을 얼핏보면 통상적인 것도 있고, 전형적인 노조탄압의 맥락에서 등장할 만한 항목도 있지만(예컨대 5, 7, 8번 항목), ‘이걸 왜 협약해?‘ 수준의 것도 있습니다. 예컨대 9~10번 항목이 그렇습니다.
- 파리바게트에는 민노총 산하 노조 외에도 한국노총 소속의 노조가 있습니다. 왜 있는지에 대해서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 해당 노조는 2021년 사측과 단체협약을 맺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차, 보건휴가 등의 휴가는 월 7일 이상 휴무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슨 소린가 하겠지만, 그냥 심플하게 말해서 주 6일 근무하면 휴가를 쓸 수 없습니다. 주 4~5일만 휴무하는 것이니까요. 도대체 무슨 소린가 하겠지만 협약 내용이 그렇습니다. 당연히 보건휴가 사용율은 협약 이후 급감합니다[1].
= 아무리 그래도 아프면 회사에 나올 수 없기 때문에, 다행히 병가는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달 중 근무일이 70% 이하면 식대가 나오지 않습니다]. 통상임금에 산입되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니까 주5일로 한달 일하면, 하루이틀만 병가를 써도 밥값을 주지 않습니다. 재수없으면 주말이 10일인 달도 있으니, 이 경우에는 얄짤없습니다[2]. 물론 그렇게 일하게 놔두지도 않겠지만요.

- 그러므로 저 노사협약서의 9번과 10번은 안에서는 굉장히 중요한, 그러나 밖에서는 ‘이게 도대체 뭐지?’ 싶은 내용이 됩니다. 휴가와 식사 자체가 보장이 안되던 노동환경이었기 때문입니다.
- 사실 이번 공장에서의 사고가 아니었다면 사측이 저렇게 유화적으로 태도를 선회했을까, 하면 잘 모르겠습니다. 우리에게는 과거부터 사측(여기에는 많은 집단이 포함됩니다)이 노동자들을 어떻게 대해왔는지에 관해 축적된 매우 두터운 경험이 있습니다. 피로 인해 쓰여지는 것은 안전수칙도 있지만 노동자의 권리도 있음을, 우리는 이미 잘 알고 있습니다.
- 어찌됐든 SPC의 ‘전투’는 일단 승리를 거두었다고 보아야 할 것인데,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지는 지켜볼 일입니다.

[1]
[2]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03 13:02
수정 아이콘
참 길고 길었지만
갈길이 더 멀다는게 기쁘면서 슬프네요

좀 더 불매운동하는게 결국 좀 더 많은사람들을 좋게하는것이네요
숨고르기
22/11/03 13:07
수정 아이콘
SPC가 불매로 싹 망해서 동네빵집들이 다시 살아나는게 더 좋을까요 현기차 같은 독점적 위치를 차지하면서 노동개선이 이뤄지는게 좋을까요.
똥진국
22/11/03 13:14
수정 아이콘
spc는 노동여건이 개선되고 지금보다는 규모가 작아지면 좋겠고 그로 인해서 품질 좋은 빵을 만드는 동네빵집들 살아나면서 서로 균형을 유지하는 상황이 되면 좋겠습니다
숨고르기
22/11/03 13:32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는 규모가 작아지면 인원감축 구조조정이 수반되어야 하는데... 노동 여건이 특별히 개선되기는 어렵겠죠
똥진국
22/11/03 13:51
수정 아이콘
아...그런것도 있군요...끙...
22/11/03 15:01
수정 아이콘
소비자의 불매운동으로 spc 정도의 기업을 망하게 하는건 비현실적인 목표고... 남양사례와 같이 성장동력을 잃고 실적이 계속 옆으로만 기어도 기업입장에는 타격이 크죠.
EurobeatMIX
22/11/03 13:31
수정 아이콘
빵팔이가 중고차급이 되는게 아니라면...
22/11/03 14:20
수정 아이콘
동네빵집들 많지 않나요? 장사도 잘 되구요.
예전과 다른점은 다 프리미엄화 해서 빠바보다 맛있지만 훨씬 비싸구요..
야크모
22/11/03 16:10
수정 아이콘
대기업을 벌 주면 그 노동자들/파트너들도 같이 벌을 받는 결과를 피하기 어렵습니다.
그것이 가장 어려운 지점이죠.
율리우스 카이사르
22/11/03 17:42
수정 아이콘
음 전 이미 동네빵집 운운하기에는 빠바가 가맹으로 서민들의 생계와 연계되어있고, 소비자 후생면에서도 동네빵집이 많아진다고 해도 글쎄요. .. 가격경쟁력 면에서 별로.. 그리고 제가 알기로는 이게 그나마 대기업이리서 제빵사들이 단체활동으로 대항할 수 있는거지 개별 빵집 체계로 가면 제빵사들이 더 힘들어질걸요?

이렇게 합의하고 가는게 좋다고 봅니다.
어강됴리
22/11/03 13: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미 행해졌던 불법, 부당노동행위에 대해서는 책임을 묻지 않는것으로 합의가 이뤄졌군요..
그러나 SPC는 2017년에도 사회적합의를 이뤘다고 사진찍어놓고 끊임없이 노조와해를 시도했죠 별 믿음은 안갑니다.
화섬노조 지회장도 50일 넘게 단식하고 겨우 얻어간게 막대한 양의 손해배상도 아니고 겨우 준법해라 반칙하지마라 수준이니..
당사자간의 합의니 존중해야겠습니다만 참 씁슬하네요
22/11/03 13:11
수정 아이콘
아니 9~10번 조항과 관련된 내용이 진짜 어처구니가 없네요….
어강됴리
22/11/03 13:12
수정 아이콘
SPC는 상상을 초월할정도로 멍청해서 이정도도 합의문에 적어줘야 인지합니다
아이군
22/11/03 13:12
수정 아이콘
점심시간을 알리고 보장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게 무려 노사협약 사안..... 뭐 정말 할 말이 없네요
자코토
22/11/03 13:17
수정 아이콘
궁금했는데 상세한 해설 감사합니다. 계속 지켜보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2/11/03 13:22
수정 아이콘
9,10번을 알려야 한다고...???
담배상품권
22/11/03 13:23
수정 아이콘
와 정말 쓰레기같은 회사다. 답이 없군요.
록타이트
22/11/03 13:33
수정 아이콘
이렇게 기본권을 싸우는 노조와 현기차 노조가 같이 묶이는게 참 거시기 하네요.
패스파인더
22/11/03 13:50
수정 아이콘
단체 파업으로 대기업에서 요구사항을 이끌어낸 중장년층도 그래도 (현기차) 노조는 좀~이라고 하시더군요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요
항정살
22/11/03 15:38
수정 아이콘
현기 노조가 기본권 상한선을 끌어올려서 다른 노조 역시 최소한의 기본권을 요구할수 있다고 봅니다.
록타이트
22/11/03 16:27
수정 아이콘
글쎄요 논란이 되는 쟁점들은 상한선과는 전혀 무관해 보이던데요.
22/11/03 18:01
수정 아이콘
상한선을 끌어올렸으면
상한선을 요구할 수 있어야죠
최소한을 얘기하는데 상한선이 무슨 상관입니까
항정살
22/11/03 18:44
수정 아이콘
그게 아니죠. 다 똑같은 복지랑 근무환경이면 어디와 비교하며 요구를 합니까. 그냥 다 똑같으니 묵살이 되죠.
22/11/03 18:55
수정 아이콘
지금 합의된 내용 보고 말씀하시는 거 맞죠?
22/11/03 13:34
수정 아이콘
한국노총은 여러모로 인상적이란 말이죠.
고오스
22/11/03 13:37
수정 아이콘
너무나도 당연한 인권이 전혀 보장받지 못했군요 -_-;;
강동원
22/11/03 13:49
수정 아이콘
'보장한다'도 아니고 [보장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 문구라도 넣기 위해 얼마나 싸우고 노력했을까 생각하면 참 서글프네요
후랄라랄
22/11/03 14:01
수정 아이콘
노동이슈를 언론에서 위를 챙길게 아니라
아래를 챙겨야합니다
현차가 파업을 하던 말던
글과 같이 대기업 아래에서
말도 안되는 환경에서 노동자들 이야기를 해야죠
지대호
22/11/03 14:55
수정 아이콘
[연차, 보건휴가 등의 휴가는 월 7일 이상 휴무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좀 애매해서, 정확한 팩트 말씀드립니다.


1) 파리바게뜨 제빵기사의 월 휴무일은 [달력상의 토,일요일 갯수 + 법정공휴일 갯수 + 그 외 약정휴일 갯수] 입니다. 올해 10월 기준으로는 12일이 되겠네요. 따라서 10월의 기본 근로일은 31-12 = 19일입니다.

2) 그 월의 휴무일보다 많이 쉬면 연차처리 하고, 적게 쉬면 휴일근무로 처리해 1.5배의 급여가 나갑니다.
예를 들어 10월에 23일을 출근했다면 정해진 휴일보다 4일 적게 쉰 것이므로, 휴일근무를 4일 한것으로 간주해서 휴일근로수당이 지급됩니다.

3) 애매한 부분인데, 만약 10월에 19일을 일했는데 연차를 5개 썼다면, 기본 근로일만큼 일했지만 5일분의 휴일근로수당이 지급됩니다. 당연히 직원들은 연차를 아꼈다가 [1일]치의 연차수당을 받는 거보다 [1.5일]치의 휴일근로수당을 받는 것을 선호했고, 회사에서는 부담을 느껴 [월 7일 이상 휴무해야 연차를 사용할 수 있다]라는 규정을 넣은 것이지요.

물론 회사에 잘못이 있는건 맞는데, 적어주신 본문은 팩트와는 좀 다릅니다.
지구돌기
22/11/03 15:06
수정 아이콘
예전에 이슈되었던 성남 샤니 빵공장 후기가 생각나네요.
18년도 글인데, 별로 바뀐 건 없나보네요.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744/read/36946833
아드리아닠
22/11/03 16:20
수정 아이콘
그래도 이번에 제대로 이슈됬으니 현장의 목소리가 기사화되거나 하면 피드백이 더 빨라지지않을까요
니하트
22/11/03 16:27
수정 아이콘
9-10번 사람새x들인가......
페스티
22/11/03 16:30
수정 아이콘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참 많아요...
22/11/03 16:38
수정 아이콘
SPC 노조갈등은 진짜 이 기업이 어느 정도로 추악한지를 잘 보여줬지만 바깥에 잘 퍼지지 못했고, 솔직히 저도 초반에만 관심 좀 가졌지 금방 잊고 살아서 남말할 처지가 아닌데
힘겹게 진전을 이끌어낸 분들 정말 축하드리고 이번 기회에 더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네요.
타츠야
22/11/03 16:50
수정 아이콘
그나마 최악에서 조금 벗어난 것 같네요. 노동부가 이런거 행정지도 안 들어가고 뭐하는지. 엄언히 권리 방해 및 불법적으로 사측에서 하는 것들이 있을 것 같은데 말이죠.
22/11/03 17:54
수정 아이콘
현행보다..
노력한다..

문구 보니까 시간 조금 지나면 슬금슬금 원복 될 것 같네요
스물다섯대째뺨
22/11/03 20:3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spc가 거의 과점적 위치에 있다고 생각해서 불매여파가 그리 오래가지 않을거같다 생각하는데 아직 관심들이 많이 남아있을때 많은것들이 처리되기를 바래봅니다.
한 여름의 봄
22/11/03 21:50
수정 아이콘
잘 되면 좋겠네요... 물론 SPC는 계속 먹을 생각이 없지만요
인생을살아주세요
22/11/04 09:09
수정 아이콘
그알싫에 화섬노조 파리바게트 지부장님 나와서 인터뷰한 시리즈들 있는데 들어보시면 가관입니다... SPC는 상상 그 이상이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115 [일반] 구인난 영상 하이라이트 [74] kien.21082 22/11/06 21082 4
97114 [일반] 흔한 스포츠 덕후의 데스크 셋업 [37] SAS Tony Parker 13014 22/11/06 13014 1
97113 [일반] [징징글] 지금 내가 왜 이러고 있지 싶은 심정입니다. [57] Red Key12708 22/11/06 12708 118
97112 [일반] 병역특례를 잘 모르겠어서 [31] 상록일기12640 22/11/06 12640 10
97111 [일반] 요즘 본 영화(스포) [6] 그때가언제라도9892 22/11/06 9892 2
97110 [일반] [성경이야기]요단강 서쪽 & 동쪽 갈등의 역사 [14] BK_Zju13057 22/11/06 13057 15
97109 [일반] 나의 군대이야기 [3] 레드빠돌이7919 22/11/06 7919 6
97108 [정치] 삼프로TV에서 금융투자소득세에 관한 민주당 이용우 의원의 변 [100] 헤세드8319327 22/11/05 19327 0
97107 [정치] 중도가 인기를 잃는 민주주의: 보편적인 가치는 적을 향해 열린 문이다 [44] 계층방정13229 22/11/05 13229 0
97106 [일반] 사진다수) 1년간 만든 프라모델들 [24] 한국화약주식회사10790 22/11/05 10790 24
97105 [일반] (끌올) 건물주가(?) 됐습니다. 이벤트 [71] 꿀깅이10164 22/11/05 10164 2
97103 [일반] 씨네21 정훈이 작가가 돌아가셨네요 [40] 똥진국13867 22/11/05 13867 8
97102 [일반] 펨코로 알아보는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 시 가져야 할 자세 [42] 그대를 돕겠어요15678 22/11/05 15678 0
97101 [일반] 야 너도 뛸 수 있어 [9] whoknows7217 22/11/05 7217 15
97100 [일반] [바둑] 왜 바둑은 남자기사가 여자기사보다 더 강한가? [152] 물맛이좋아요24165 22/11/05 24165 77
97099 [일반] [팝송] 5 세컨즈 오브 서머 새 앨범 "5SOS5" 김치찌개6671 22/11/05 6671 4
97097 [일반] [속보] 봉화 광산 고립자 2명 생환…지상으로 걸어 나와" [100] Leeka16580 22/11/04 16580 120
97096 [정치] 오늘자 이태원 참사 뉴스들 입니다. [172] Croove23606 22/11/04 23606 0
97095 [정치] 삭제된 보도자료, 삭제된 기사 [1] kurt12438 22/11/04 12438 0
97094 [정치] 문체부,BBC 보도내용 수정 요청 [49] 크레토스17914 22/11/04 17914 0
97093 [정치] [뉴스타파]용산구청 참사 당일 핼러윈 무질서 이용해 구정홍보 준비했다 [45] 체크카드16895 22/11/04 16895 0
97092 [일반] 봉화 광산 사고는 오늘도 진행중입니다 [34] 똥진국10309 22/11/04 10309 13
97091 [정치] 윤석열 대통령, 이태원 참사에 대해 첫 사과, 그리고 천공 논란. [96] 빼사스18757 22/11/04 1875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