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1/11 16:53:29
Name NSpire CX II
File #1 cc2c7cd2_cdce_4d41_ace9_5561ef3bacae.jpg (47.4 KB), Download : 460
Subject [일반] 구글 : 야 애플 너임마 옥땅으로 따라와




한국은 카톡이나 페메가 평정한 나라라서 그닥 논란이 없습니다만, 미국처럼 SMS와 아이메시지가 주력인 나라에서는 아이메세지가 불러일으킨 애플에 대한 불만이 꽤 있었습니다.

애플이 처음에 더 이상 문자 요금으로 차감되지 않는 메신저 서비스 아이메시지를 아이폰에 집어넣은 이후로, 애플이 이 기능을 계속 강화시켜왔습니다. 처음 의도야 나쁘지 않았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SMS와는 다르게 고화질 영상, 이미지 전송이 가능하고, 상대가 타이핑 중인지 알려주는 기능이나 상대의 메시지에 좋아요를 보내는 기능 등등을 끊임없이 추가해오면서 애플 기기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계속 증진시켜왔느데.. 이게 사회 문제를 일으켜버렸습니다.

iOS 유저들끼리 전송되는 메시지는 파란색 말풍선으로 표시가 되는데, 안드로이드 유저와 주고받은 메시지는 초록색 말풍선으로 뜨니까 이게 10대들 사이에서 안드로이드 유저들을 따돌리는 도구가 되어버린 겁니다.

특히 문제가 된 건 이게 단순히 말풍선의 색깔만의 문제가 아니었다는 것. 애플 유저들끼리 아이메시지를 쓸 때는 단체 채팅이나 좋아요 기능이나 전부 잘 작동하는데, 안드로이드 유저들은 이러한 기능을 쓸 수가 없어서 상당한 실질적인 불편함을 일으키는 겁니다.

가령 저 메시지에 좋아요를 보내는 기능도, iOS 유저들은 그냥 메시지 옆에 하트 이모티콘이 잘 뜨는데 이를 받는 안드로이드 유저 입장에서는 이모티콘 대신 "상대가 이 문자를 좋아했습니다"라는 별개의 메시지가 보내지는데다가, 그룹채팅의 경우 그 구성원들이 아무 생각 없이 좋아요를 누를 때마다 무의미한 메시지가 수십개씩 쌓이는 일이 발생해버렸습니다.

이 때문에 애플이 의도적으로 안드로이드 유저들의 사용자 경험을 방해해서 애플 생태계에 들어올 것을 강요한다는 이야기가 있었고, 애플은 이러한 비판에 아이메시지의 안드로이드 버전을 개발하려고 했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취소하면서 현재의 불편함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상황을 보다못한 구글이 칼을 빼들었습니다. 이제 구글의 기본 메시지 앱은 iOS 기기가 보낸 "상대가 이 메시지를 좋아합니다"라는 문자를 중간에 잡아채서 좋아요 이모티콘으로 강제 변환해서 송출하게 만들었습니다. 게다가 자신들이 받은 공격을 정반대로 돌려줬습니다. 이제 안드로이드 유저들이 iOS 유저의 메시지에 좋아요를 누르면 아이폰 유저의 메신저 창에서 "상대가 이 메시지를 좋아합니다"라는 창이 뜨게 만든 거죠. 거기에 자신들의 플랫폼인 유튜브의 영상을 메시지 창에 바로 첨부하고, 따로 유튜브 앱을 열 필요 없이 그 창 안에서 상대에게 답장을 하면서 영상을 볼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물론 아이폰 유저들은 이런 기능을 쓸 수 없습니다.

애플이 자신들에게 던진 똥을 역으로 던져버린 셈이죠. 다만 이게 주효할지는 의문입니다. 영상에서도 지적하듯 아이폰이 상대적으로 더 쿨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에 안드로이드 유저들이 애플 때문에 불편을 겪어도 그냥 참아야 했지만, 반대로 안드로이드 유저들이 아이폰 유저들에게 불편함을 유발했을 때는 과연 애플 유저들이 가만 있을 거냐는 거죠.


결론이 어찌 날지는 모르겠습니다. 구글 역시 결코 선한 회사가 아님을 여러차례 보여준 만큼 구글의 행보가 과연 순수한 의도일지 역시 의문스러운 일입니다. 허나 현재로서는 구글을 응원할 수밖에 없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람되고싶다
22/11/11 16:56
수정 아이콘
세계 최대의 빅테크 기업들이 하는 짓이 초딩이랑 어째 차이가 없군요...
NSpire CX II
22/11/11 17:03
수정 아이콘
심지어 안드로이드 유저랑 주고받은 초록색 말풍선은 자기들 디자인 가이드라인도 쌩까고 일부러 가독성 구린 색으로 골라놨다는 썰도 있습니다
22/11/11 17:17
수정 아이콘
그건 아이메시지 없을 때부터 원래 초록색이었지요. 안드로이드랑 무관하게 그냥 일반 문자메시지인거라..
Janzisuka
22/11/11 17:21
수정 아이콘
원래 녹색;;;
NSpire CX II
22/11/11 17:22
수정 아이콘
iOS에 아이메시지가 도입된 건 iOS 5 시절이라서 애플이 iOS 7 이후로 메시지 앱을 디자인할 때 의도적으로 불편한 색을 선정했다고 하면 시간상으로 말이 안 되는 건 아닙니다.
Janzisuka
22/11/11 17:28
수정 아이콘
제 기억에 메세지가 원래 녹색이었거든욤
NSpire CX II
22/11/11 17:34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이신데 iOS 5 시절의 메시지 앱이랑 iOS 7 이후의 메시지 앱 디자인은 다르니까요.

같은 초록색 계열이라도 좀 더 글씨와 대비가 적은 밝은 색을 고른 건 아니냐는 의혹이에요.
22/11/11 22:34
수정 아이콘
근데이게 인간세상이 다 그런게, 기업간도 그렇고 국가간 갈등이나 대립도 사실 단순화시켜서 보면 동네 꼬마들 싸움 논리인게 천지에 널렸습니다. 오히려 개인간 싸움이 어른스럽게 보일 정도죠.
참치성애자
22/11/11 16:57
수정 아이콘
똥이냐 설사냐
-안군-
22/11/11 16:58
수정 아이콘
뭐... 팃포텟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건 게임이론에서 이미 증명됐지 않습니까?
구글은 한 번 봐주고, 상대방이 또 그러니까 이제 보복을 하는거죠.
及時雨
22/11/11 16:59
수정 아이콘
안드로이드 쓴다고 따돌리는 문화가 미국에도 있다니 힝
담배상품권
22/11/11 17:04
수정 아이콘
뭐 어쩔겁니까. 그래서 유투브 안볼거임? 구글의 선악은 둘쨰치고 자기 고객들이 공격당해서 고객 잃게생겼는데 가만있는 기업은 호구죠.
NSpire CX II
22/11/11 17:05
수정 아이콘
누가 아이폰 쓰라고 칼 들고 협박함?
오타니
22/11/11 19:20
수정 아이콘
협박이랑 진배없죠.
둘다
22/11/11 17:1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지금까지 참은 것도 호구죠 크크크 자 이제 서로 죽여라
NSpire CX II
22/11/11 17:12
수정 아이콘
구글이 타사 플랫폼에 사보타주한 게 한두번이 아니라서 얘네도 막 곱게 보이지는 않습니다만 허허
페스티
22/11/11 17:12
수정 아이콘
갓쩔건데 누칼협? 알빠노? 이야 이것이 자존심 강한 두 빅테크 기업들간의 전쟁인가 가슴이 옹졸해진다...
그말싫
22/11/11 17:13
수정 아이콘
10대의 아이폰 선호는 글로벌 현상인가 보군요
22/11/11 17:19
수정 아이콘
미국은 10대 90퍼가 아이폰이라죠(전국민으로 보면 50퍼)
22/11/12 15:13
수정 아이콘
10대 뿐 아니라...
22/11/11 17:15
수정 아이콘
전 애플에 매여 있는게 전혀 없으니 구글쪽이나 응원할랍니다. 둘다 그놈이 그놈 같은데
Janzisuka
22/11/11 17:17
수정 아이콘
소비자 입장으로 보면 결국 다수의 사용자가 해당 부분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가에 따라 다르겠지만 기업도 결국 다수의 사용자쪽으로 붙겠죠
김꼬마곰돌고양
22/11/11 17:18
수정 아이콘
틱톡이 승리자각
22/11/11 17:19
수정 아이콘
굳이 애플을 쓸이유도, 굳이 안드로이드 고집할 이유도 없어서...
그냥 이기는편 우리편 느낌으로 구경이나 크크
여명팔공팔
22/11/11 17:20
수정 아이콘
구글 화이팅!
Janzisuka
22/11/11 17:21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RXEnQWCS7AM

관련 유튜브 영상을 보니
RCS인가 하는 표준문제도 있네요

궁금한게 아이폰에서 타폰으로 사진이나 텍스트를 보내면 금액이 발생되는건가요 아이메세지끼리는 무료고?
NSpire CX II
22/11/11 17:25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아이폰 유저끼리는 카톡 보내듯 보내지고 안드로이드 유저들한테 보낼 때는 SMS 요금이 과금됩니다.

이 RCS도 복잡한게, RCS 규격이 여러가지라서 구글이 RCS에 자사 전용 기능을 막 추가하면서 퍼뜨리면 모든 기기에서 동일한 메시징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원 취지에서 벗어나서 구글판 아이메시지가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Janzisuka
22/11/11 17:27
수정 아이콘
흠...그럼 색 구분이 안되면 내가 요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이 안될테고...그래서 기존 문자 색과 차별을 둔거라고 할수도 있는데...카카오톡에서 라인으로 문자 보낸다는 느낌으로 다가와요
22/11/11 17:54
수정 아이콘
개념은 말씀하신게 맞다고 볼 수 있고, 통신사의 번호를 기반으로 해서 가는 서비스의 느낌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22/11/11 17:53
수정 아이콘
https://zdnet.co.kr/view/?no=20220811112350

이야기 하려고 했었는데 RCS라는 규격으로 정리를 하려고 하는데 애플이 그걸 굳이 왜? 라고 하고 있는 상황이죠.

현재 MMS개념이라고 해야 하나 서로간의 메신저가 아닌 전화번호 기반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보내게 되면 강제적으로 영상이 인코딩되던가 하는 문제들도 있을겁니다. 이런 문제가 RCS로 가면 해결될 수 있는데...

아무튼 복잡합니다..
22/11/11 17:22
수정 아이콘
회사 자체로는 애플이 시총 1위고, 아이폰 생태계가 어마어마하긴 한데

유튜브 끼고 어택 해버리면 애플이 이길 방법이 있나 모르겠네요

뭐 구글이 거기까지 동귀어진 하겠냐만은..
그말싫
22/11/11 17:25
수정 아이콘
어느 한쪽이 유투브를 차단하면 정말 치킨게임이겠네요.
고착도 높은 iOS 유저가 필수재에 가까운 유투브 때문에 생태계 이탈을 할 것인지, iOS 트래픽이 사라져서 광고 매출 떡락한 구글이 백기투항 할 것인지...
22/11/11 17:31
수정 아이콘
구글은 '사파리에 기본 검색엔진을 구글' 로 하는 대가로 애플에 매년 수십조..를 주고 있는데요..

유튜브를 끼고 어택하는건 애플이 죽는게 아니라 구글이 죽는일이 될껍니다.

본문에서도 '메시지 앱 내에서 유튜브를 바로 보는' 기능을 넣었다는거지 ios에서 유튜브를 안되게 했다는게 아니기 때문에..


애플하고 구글은 어떤분야에서는 위아더월드 / 어떤분야에선 투닥투닥.. 하는 사이지 일방적인 적대관계는 아니라서.
No.99 AaronJudge
22/11/11 17:33
수정 아이콘
그 정도로 덩치가 큰 회사는 모든 면에서 으르렁대기란 불가능하죠….
어떤 부서에선 경쟁자고 어떤 부서에서는 협력관계로 돈을 쓸어담을테니까요
마이크로소프트랑 구글만 해도
윈도우 체제에서 크롬 돌아가게 하려면 서로의 협력이 매우 중요한데, 빙 검색엔진이랑 구글 검색엔진 쪽에서는
서로 으르렁대고 싸우니..

극단적인 조치는 서로에게 피해가 너무 커서, 이익을 최우선시하는 기업들은 어지간하면 그렇게까지 안할거같아요
No.99 AaronJudge
22/11/11 17:32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구글도 똑같이 트롤..인가요..
22/11/11 17: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구글도 저렇게 가면 RCS 규격은 이제 바이바이가 되는거 같네요..

애플하고 구글 둘다 안지키는 규격이 표준이 될리가..


스마트폰 시대가 되면서 이게 전세계 표준규격이 결국 구글&애플이 같이 밀면 표준이 되고
한놈이라도 안밀면 표준이 안되는.... 느낌인데..
22/11/11 17:36
수정 아이콘
이럴때는 먼저 야비한짓한애가
더 잘못된거라봅니다
조메론
22/11/11 18:38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22/11/11 18:45
수정 아이콘
구글이 mms면 모르겠는데 rcs 들이댈 생각이라면 표준을 정리하도록 촉구하던지 스스로 정리시키고 와야죠
제조사는커녕 이통사별 호환도 안되는 걸 국제표준이랍시고 밀려는 건 양심이 없는 짓입니다
당장 북미 내에서도 이통사 다르면 rcs로 메세지 전송이랑 수신이 제대로 안되는데요
아이메세지는 당연히 그런 이슈가 없습니다

그리고 북미 바깥은 솔직히 관심이 없죠. 유럽만 해도 다들 왓츠앱으로 대동단결이니…
22/11/11 18:55
수정 아이콘
거기에 구글이 지금까지 사장시킨 메세지 서비스만 생각하면 구글이 메세지 관련 나대는 (?) 꼴을 냉소적으로 바라보게 됩니다. 이 무슨 ‘안되면 애플을 공격하자’도 아니고..
차라리 (심각한 문제가 없는 건 아니지만 어쨌든) 옛날부터 채팅플러스 꾸준히 미는 삼성이 오히려 더 설득력이 있다고 보인다 해야 할까요…
NSpire CX II
22/11/11 18:57
수정 아이콘
RCS에 자율성을 부여한 건 큰 패착이라 생각합니다
Lord Be Goja
22/11/11 20:54
수정 아이콘
구글관련사이트들,MS엣지랑 파폭에 대해 일부러 속도차별하던 정황도 있었죠
MS가 결국 자체엔진 엣지 포기하고 크로미움 엔진 도입한 이유고..
22/11/11 18:58
수정 아이콘
본문이 좀 구글입장에서 쓰여진 거 같아서 애플 입장을 좀 변호하는 느낌으로 써보자면..

구글이 저런 짓 하기 전에 자기 메신저 관리를 좀 정신차리고 했어야죠. 아이폰 안드폰 미국한국 왔다갔다하는 입장에서 아이메시지에 종속되기 싫어서 주변 사람들에게 홍보도 하면서 어떻게든 구글챗, 행아웃, 그전엔 또 뭐였던가요? 구글메시지? 알로? 할튼 십년넘게 열심히 써보려고 한 - 아직도 쓰고 있는 - 입장에서 구글 하는게 참 뒷통수가 얼얼할 뿐입니다. 뭐 좀 이번엔 자리잡힐만 한가 하면 서비스 종료, 대체 서비스 발표, 이번엔 다르다 통합이다 시전, 서비스 종료, ...

구글에서 아이메시지처럼 별 신경안쓰고 그냥 쓰면 알아서 문자값도 절약해주고 부가기능도 지원해주고 뭐 이런 식이었으면 진작에 대히트했을 겁니다. 아니 지들이 지들 메신저 관리를 못해서 시장에서 힘을 못쓰니까 남의 회사 서비스에 표준 어쩌고 생트집잡는 걸로 솔직히 보임. 자기들 메신저가 떴으면 표준 호환 이런거 다 쌩깠을걸요?

일례) 마소에서 엣지 자체 엔진 포기한 가장 큰 이유 - 엔진 업데이트할 때마다 구글에서 유튜브 잘 안돌아가게 막아서 고치고 고치다 결국 포기하고 크롬 엔진으로 전환
일례 2) 구글맵에서 네비 기능이 안드폰에서만 되고 아이폰에서는 모종의 이유로 지원을 안했음. 결국 애플이 이를 갈고 애플맵 론칭하니 그제서야 네비기능 생김

지금도 구글의 대표 메신저인 구글챗이 애플워치용으로는 앱도 없습니다. 그 정도 큰 회사가 그걸 안내줘요. 그러면서 무슨 메신저 시장을 어쩌겠다고 남 바짓가랑이를 잡고 늘어지는지 참.. 아이메시지도 계속 차별 따돌림이 생기고 어쩌고 언플 요새 꾸준히 하는데 아이폰 사용할 때 파란색 뜨면 해외에 있건 요금제가 어쩌건 상관없이 보낼 수 있어서 개꿀이거든요. 그거 구별 안해주면 특히 미국같은 경우 오히려 요금 폭탄 나와서 소송걸릴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표준 안지킨다 어쩌고 그런 언플하지 말고 그냥 아이메시지랑 구글챗이 기본 문자앱으로 호환가능하게 되어서 통신사 안거치고 문자 날릴 수 있게 되면 좋겠습니다. EU에서 그런 법제화 한다고 하는 얘기 들은 거 같은데,
NSpire CX II
22/11/11 19:16
수정 아이콘
저도 말씀하신 부분은 동감이에요. 구글이 타사 서비스에 트롤링한 게 한두번이 아니고 또 구글이 특히 소셜 서비스에는 처참할 정도로 감각이 없어서

그래서 지금 구글을 응원하더라도 진심이 아닌 전략적인 응원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22/11/11 20:38
수정 아이콘
전략적인 응원이라는 취지는 동감하는데 독과점급 플랫폼기업의 시장지배력 활용과 악용 사이를 넘나드는 행보가 그런 어떤 선의에 호소하는 언플 내지는 읍소행위로 시정되는 꼴을 참 드물게 보는지라.. 그냥 상대가 돈으로 패거나 (위에 말한 애플맵 론칭이나 좀 성격이 다르지만 사파리 검색엔진 구글 깔라고 수십억불 지불한다거나..) 아니면 위에서 법으로 패야지 (EU의 충전코드 표준화 같은) 그전에는 해결이 안될 거라고 봅니다.
마스터충달
22/11/11 19:24
수정 아이콘
와 팝콘각!
동년배
22/11/11 19:29
수정 아이콘
구글은 저러다 또 말아먹겠죠
22/11/11 20:36
수정 아이콘
아이폰은 유튜브 못봐도 잼나겠네요.
애플이 유튜브 만들려나.
퀀텀리프
22/11/11 20:36
수정 아이콘
옥상에서 내려오지 마 ! (쾅소리가 나며 옥상문이 닫힌다)
유자마카롱
22/11/11 20:53
수정 아이콘
구글은 아니지만 삼성폰도 채팅+라고 비슷한거 있지않나요? SMS 시험할때마다 그거 꺼야되서 귀찮았는데..
NSpire CX II
22/11/11 20:56
수정 아이콘
그게 위에 적은 RCS 기반입니다. SMS를 대신하는 차세대 문자 표준. 문제는 애플은 여기에 관심이 없고 구글은 이걸 개조해서 구글의 독점 서비스로 만들어먹을 심산이란 거..
다람쥐룰루
22/11/11 22:34
수정 아이콘
소비자 입장에서는 애플이랑 구글이 칼들고 자기꺼 쓰라고 협박하고 있는 판국이네요 둘중 하나를 선택하면 반대쪽 칼에 썰림 덜덜...
NSpire CX II
22/11/11 22:36
수정 아이콘
슉.슈슉.슉.호갱님아.슉.슉.슈슉.슉
22/11/11 22:55
수정 아이콘
완전히 틀린 말씀은 아니지만 따져 보면 꼭 그런 건 아닙니다. 왜냐면 위에도 적었지만 os 기본 메세징 앱이라는게 북미 아니면 관심이 없는 분야에 가깝습니다. 아이메세지가 어느 정도 점유율을 먹어주면서 ios:안드가 5:5 황밸인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시장이 잘 없거든요.
국내에서 이 이슈가 와닿지 않는 건 카톡 때문이고, 중국도 위챗이 있어서, 일본/동남아도 라인이 있어서, 유럽도 왓츠앱이 있어서, 다른 국가들도 텔레그램이나 페메나 무엇이 됐든 저마다 각 지역별 대세에 따르는 메세징 앱을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한 쪽을 고른다고 반대쪽 칼에 썰릴 일이 없고 아예 안 골라도 그만인데, 실제 현실에서도 북미 이외의 지역 소비자들은 고를 필요성 자체를 느끼지 못하고 있지요
다람쥐룰루
22/11/11 22:58
수정 아이콘
카톡보다 문자메시지를 더 자주 쓰는 입장에서 당연히 양쪽 모두에게 안썰릴 자신이 있습니다만 칼질을 하고 있는건 맞는거같습니다. 칼질에 안맞는건 소비자들이 무빙을 잘해서지 칼을 안꺼내서가 아닌거죠
22/11/12 00:54
수정 아이콘
아이메세지는 솔직히 그냥 문자보내면 아이폰끼리 지가 알아서 써지는거라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그냥 모르게 쓰고 있는 상황일거에요. 단지 파란색 풍선이 뜨면 아 아이폰이구나 미리 드래프트로 뭐 적어놓거나 급할 때 그냥 바로 읽으면 안되겠구나 라고 생각하게 되지만요 크크 옛날엔 이미지 전송용으로 썼지만 에어드랍 때문에 이제는 진짜 문자기능만 하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크크
22/11/12 10:30
수정 아이콘
에어드랍은 가까이 있어야만 되는거 아니었어요?
회색의 간달프
22/11/12 19:08
수정 아이콘
사실 구글도 삼성한테 하는 짓보면 양아치죠.
삼성이 개발한 프레임웤 os 업뎃 때 막아버리고
자기네들꺼마냥 재포장해서 내놓은 적이 한두번이 아닌...크
실제로 구글도 자기네 인증 요건으로 막아놓은게
한두개가 아니여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191 [일반] [웹소설] 지난 4개월간 읽은 모든 웹소설 리뷰 [54] 잠잘까12104 22/11/17 12104 3
97190 [일반] 웹소설 후기 <천화일로> <스포주의!> [17] 마신_이천상8478 22/11/17 8478 0
97189 [정치] 빈곤 포르노 논란 타임라인 [236] 빼사스22442 22/11/17 22442 0
97188 [일반] 이번 세대 아수스 메인보드는 거르겠습니다 [81] SAS Tony Parker 13632 22/11/17 13632 8
97187 [정치] G20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대통령은 귀국하였습니다+내용 추가 [165] 치킨너겟은사랑25366 22/11/16 25366 0
97186 [정치] 명단 공개 뒤 ‘떡볶이 먹방’ 논란…매체 “소송 비용 마련” [85] 틀림과 다름17454 22/11/16 17454 0
97185 [일반] 대구 가스충전소 폭발 현재 진화 완료 [7] Croove10363 22/11/16 10363 1
97184 [일반] (스포 만화)과소평가 받은 우주힐링물 달콤달콤 짜릿짜릿 리뷰 [8] 그때가언제라도10507 22/11/16 10507 2
97183 [정치] 돋보이고 싶은, 대한민국의 어두운 욕망, 김건희 [217] 삭제됨21335 22/11/16 21335 0
97182 [정치] 나경원, ‘나 혼자 산다’ 지목. “혼자 사는 게 너무 행복하게 인식되는 것 같다" [144] OneCircleEast17781 22/11/16 17781 0
97180 [정치] 미숙아 관련 의료비가 감액되었다고 합니다 + 추가 내용 [229] 틀림과 다름18679 22/11/16 18679 0
97179 [일반] 이태원 참사 유족 사칭한 모자…희생자 명단 공개로 덜미 [73] lexicon17869 22/11/16 17869 11
97177 [일반]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으로 폴란드에서 2명 사망 [20] 굄성18387 22/11/16 18387 1
97176 [일반] 웹소설 리뷰 - 이리초파랑 by 견마지로 [14] 잠잘까9760 22/11/15 9760 1
97175 [정치] 대통령 경호처가 군,경찰까지 지휘한다 [139] 동년배24261 22/11/15 24261 0
97174 [정치] 한미·한일정상회담 기자들 없었다/윤석열, 전용기서 친분 있는 기자만 따로 만났다 [288] Crochen25456 22/11/14 25456 0
97173 [일반] 2022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부문, 지표별 순위 [39] 우주전쟁14835 22/11/14 14835 0
97172 [정치] 국세청, MBC에게 법인세 511억원 추징 [92] 어강됴리21002 22/11/14 21002 0
97170 [정치] 국민의힘 북핵특위, 한시적 핵무장 등 정부에 제안? [47] 술라15376 22/11/14 15376 0
97169 [일반] 요즘 애들은 과연 문해력이 떨어지고 있을까 [50] 숨고르기12201 22/11/14 12201 6
97168 [일반] 그랜저 7세대 가격표가 나왔습니다. [89] 공부맨17376 22/11/14 17376 1
97167 [일반] 세계 인구 80억 육박 소식을 듣고 [63] 인간흑인대머리남캐15210 22/11/14 15210 35
97166 [일반] 왜 민주당은 선거에서 지는가 [60] lexicon17173 22/11/14 1717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