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1/14 22:00:20
Name 우주전쟁
Subject [일반] 2022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부문, 지표별 순위
오늘 발표된 2022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부문, 지표별 순위에 대한 자료가 있어서 공유해 봅니다. 막연한 전체 순위보다는 이런 부분, 지표별 순위가 좀 더 내용 파악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교수연구 부문 (95점 만점)
1위 서울대 72.02
2위 연세대(서울) 69.09
3위 성균관대 66.82
4위 고려대(서울) 66.46
5위 한양대(서울) 65.11
6위 세종대 59.78
7위 경희대 59.09
8위 건국대(서울) 58.02
9위 이화여대 56.81
10위 중앙대 54.57

국제학술지 논문 당 피인용 (20점 만점)
1위 세종대 20.00
2위 영남대 17.69
3위 광운대 15.67
4위 경희대 14.21
5위 연세대(서울) 13.86
6위 성균관대 13.83
7위 서울과기대 13.81
8위 서울대 13.80
9위 한양대(서울) 13.66
10위 건국대(서울) 13.58

과학기술 교수 당 기술이전 수입액 (금액(원))
1위 한국외대 2,875만원
2위 세종대 2,664만원
3위 서강대 2,388만원
4위 국민대 2,275만원
5위 아주대 1,946만원
6위 경희대 1,646만원
7위 숙명여대 1,519만원
8위 연세대(서울) 1,505만원
9위 숭실대 1,460만원
10위 고려대(서울) 1,457만원

교육여건 (95점 만점)
1위 서울대 70.62
2위 연세대(서울) 67.93
3위 서울시립대 54.91
4위 성균관대 54.49
5위 한양대(서울) 51.16
6위 고려대(서울) 50.64
7위 전북대 47.23
8위 경북대 46.56
9위 충남대 46.30
10위 한양대(ERICA) 46.09

학생교육 (80점 만점)
1위 한양대(서울) 67.40
2위 성균관대 63.64
3위 건국대(서울) 57.39
4위 동국대(서울) 57.01
5위 연세대(서울) 56.23
6위 고려대(서울) 5.40
7위 서울대 53.65
8위 한양대(ERICA) 53.36
9위 인하대 52.33
10위 숙명여대 50.96

학생창업 지원 및 성과 (15점 만점)
1위 한양대(서울) 12.51
2위 건국대(서울) 10.35
3위 인천대 10.05
4위 연세대(서울) 10.02
5위 서울대 9.76
6위 성균관대학교 9.49
7위 광운대 9.43
8위 고려대(서울) 9.14
9위 숭실대 8.68
10위 국민대 8.67

순수 취업률 (18점 만점)
(* 취업률 순위와 점수 순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점수는 성별과 계열을 고려한 상대지수 바탕으로 집계)

1위 성균관대 18.00 (77%)
2위 서강대 16.48 (73.5%)
3위 건양대 16.08 (74.7%)
4위 고려대(서울) 15.49 (72.1%)
5위 한양대(서우) 15.45 (73.5%)
6위 서울대 15.16 (72.7%)
7위 이화여대 15.16 (66.6%)
8위 연세대(서울) 13.57 (69.1%)
9위 숙명여대 12.95 (63.3%)
10위 중앙대 12.52 (67.9%)

평판도 (30점 만점)
1위 서울대 29.88
2위 고려대(서울) 29.44
3위 연세대(서울) 29.38
4위 성균관대 25.44
5위 한양대(서울) 23.68
6위 서강대 23.59
7위 중앙대 21.67
8위 경희대 21.47
9위 건국대(서울) 19.65
10위 동국대(서울) 18.44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케이드
22/11/14 22:03
수정 아이콘
대학을 지망하는 학생들 입장에서는 가장 중요한 지표중 하나인 순수취업율 배점이 왜 저리 낮을까요?
연구 관련 배점이 높은 듯 한데, 솔직히 우리나라에서 대학을 입학하는 이유의 대부분이 취업이라는 현실을 고려하면 세간에서 납득하기는 힘든 평가 같아 보입니다
그나마 평판도가 일반적인 인식과 가장 유사해 보이긴 하네요
No.99 AaronJudge
22/11/14 22:04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들은 아무래도 연구 관련 비중이 높긴 하죠..사실 그게 연구중심 대학에서는 맞기도 하고..ㅠ 뭔가 씁쓸하네요
아케이드
22/11/14 22:05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는 그럴수 있지만 솔직히 우리나라는 대부분 취업하러 대학가는 거잖아요... 현실이 그렇다는 거죠
한방에발할라
22/11/15 09:03
수정 아이콘
순수 취업률은 맹점이 있죠. 우리나라에서 명문대 가는 건 단순 취업이 아니라 좋은 직장에 취업하려는 거니까요. 진짜 제대로 평가하려면 그런걸 다 고려해서 가중치 둬야 할텐데 그 좋은 직장이라는 걸 점수로 정량화하는 게 좀...금융권은 어느정도로 하고 그 중에서도 지역은행은 어느정도로 둘 것이며 공기업, 전문직. 5급 7급 반도체 회사 현차 등등 점수로 나눠서 계산하기는 너무 힘들고 뒷말이 어마어마하게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22/11/15 11:3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의 잘못된 현실이죠.
jjohny=쿠마
22/11/14 22:07
수정 아이콘
- 취업 시장에서의 이름값으로만 치면 최상위권일 서울대가 (고작) 6위에 불과하다는 점을 보면, 오히려 순수취업률 항목에 너무 많은 배점을 주기 애매한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 대학이 취업학원으로만 평가되기를 원치 않는 측면도 있을 것이고요.
DeglacerLesSucs
22/11/15 10:00
수정 아이콘
취업률 비중을 높이려면 제대로 측정해야 하고 그러면 기업 티어리스트가 정리되어야 할텐데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꼴입니다.
22/11/15 12:06
수정 아이콘
다른 분이 말씀해 주신 것처럼 취업률이 사실 평가가 애매합니다. 사대보험 되는 단기 계약직이나 인턴으로 취업해도 취업률로 인정되어서, 대학에 가는 목적인 좋은(?) 직장에 취업했는가를 측정하는 용도로 적합한지 의문입니다. 졸업생 소득을 비교하면 확실히 의미가 있을 것 같긴 한데, 이것을 측정할 수 있는 역량이 될지 모르겠네요.
22/11/15 13:28
수정 아이콘
취업여부가 중요한게 아니라 취업의 질을 봐야죠.

여러 조사를 보면 [똑같은 나이에서] SKY 출신 vs 비SKY출신 취업자들의 연봉 차이는 40~60%에 달합니다.
No.99 AaronJudge
22/11/14 22:05
수정 아이콘
저희는 없군요.....아무래도 학교가 너무 작아서 어쩔수없긴한데.....
jjohny=쿠마
22/11/14 22:10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지난 번에 어디 다니시는지 말씀하신 것을 기억하는데,
본문의 순위는 종합대학 순위이고, 그 학교는 '종합대학'으로 집계되지 않아서 아예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 것 같습니다. 그런 특별한 목적을 가진 대학교들은 다들 제외된 듯요.
타카이
22/11/15 09:24
수정 아이콘
종합대학이 아닌경우 계열별 순위에만 포함됩니다
jjohny=쿠마
22/11/14 22:15
수정 아이콘
그리고 본문 집계는 약간 균일하지 않은 느낌이네요.

상위분류 총점과 하위분류 개별 점수들이 섞여있슾니다. 상위분류는 4개, 하위분류가 33개 있다고 하네요. 상위분류 4개와 하위분류 33개 리스트는 아래 링크에 나와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7279
22/11/14 22:17
수정 아이콘
종합순위는 없는건가요
jjohny=쿠마
22/11/14 22:18
수정 아이콘
오늘 유게에 올라오기도 했는데,
원출처는 여기입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7276
페로몬아돌
22/11/14 22:19
수정 아이콘
모교가 종합 10등안에 든게 말이 안되는데, 입교도 10등 될까 의문인데 크크크크
22/11/14 22:34
수정 아이콘
지표로 평가하는거야 어쩔 수 없는 거긴 한데, 대학도 지표로 평가하는 게 옳은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뒷맛이 좀 씁쓸하긴 합니다.

실적평가 때문에 의미없는 논문 양산하고, 딱 봐도 쟤는 트롤이다 싶은 애 그냥 받고, 수준 미달인데 학위논문 도장찍어주고...
22/11/14 22:54
수정 아이콘
세종대가 교수연구? 분야에서 굉장히 랭크가 높네요. 과기원처럼 운영되는 학교인가요?
분신사바
22/11/14 23:04
수정 아이콘
서강대 홍대 순위가 박한건 의대랑 학교규모라고 생각하는데 예전부터 세종대는 다른 대학평가에서도 평가가 높더군요. 오히려 이공계가 약한 이미지인데. (세종대 출신 아닙니다…)
22/11/15 11:34
수정 아이콘
의대가 무슨 영향을 주나요?
분신사바
22/11/15 13:10
수정 아이콘
이런 류의 대학평가에서 논문관련 평가가 제일 크고 대학병원 같은 재단규모랑 선호도(브랜드)도 관계있죠.
김승남
22/11/14 23:45
수정 아이콘
최근에 연구력 높은 교수님들을 공격적으로 유치해서 크게 성공한 케이스입니다. 그외에도 연구성과 측면에서 신경을 많이 쓰는 학교로 알고 있습니다
로드바이크
22/11/15 00:14
수정 아이콘
대공원 옆에 있는 학교죠? 몇번 가봤는데 제가 보는 시각과는 차이가 좀 있는 학교군요.
Equalright
22/11/15 00:51
수정 아이콘
세종대 교수들이 엄청 성과를 잘낸다고 들었습니다
곧미남
22/11/15 10:11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제 모교인데 그 교수들이?
22/11/14 23:05
수정 아이콘
중앙일보는 삼성 계열이라 다른데보다 성균관대를 높게 랭크하는 경향이 있다는 얘기를 들은것 같은데 근거가 있는 얘긴가요?
일단 여기서는 높게 나오네요 종합 랭킹도 들어가보니 3위네요
로하스
22/11/14 23: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성대가 한대보다 낮았던 해도 좀 있었어서 특별히 성대만 높게 랭크하는거 같진 않아요.
타카이
22/11/15 09:25
수정 아이콘
그거보다는 대학평가 전문가가 현재 학생처장으로 있기 때문에
각종 지표관리에 능한 방향으로 학교를 움직인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서지훈'카리스
22/11/16 10:05
수정 아이콘
지표선정 등 보면 영향은 있다고 봐요
사브리자나
22/11/15 00:51
수정 아이콘
대학을 학부 하나만 다닌 입장에서는 정말 차이가 날지 비교하기가 어렵네요. 다니면서 나쁜 대학이라는 생각은 아니었지만 높네요...
Janzisuka
22/11/15 02:08
수정 아이콘
논문으로 드립치려고 했떠니.....일반게시글이엇다 두둥...
안수 파티
22/11/15 02:31
수정 아이콘
한양대는 교육 여건은 5위인데 학생 교육은 1위네요? 교직원들이 열심히 노력해서 여건을 극복하는 학교인가...
공도리도리
22/11/15 06:02
수정 아이콘
과학기술 교수 당 기술이전 수입액에 한국외대가 1위가 신기하네요? 기술이전 수입액이면 공대 특화된 곳이 더 유리한 것 아닐까 싶은데 말이죠
척척석사
22/11/15 07:06
수정 아이콘
뭐 하나 일시불로 대박터져서 분자가 높아졌을 수도 있고 그냥 분모가 적을 수도 있고요
기적의양
22/11/15 10:42
수정 아이콘
그냥 느낌적 느낌으로는 세종대와 건국대가 튀어보이네여. 업계에 있지 않아 실태는 모르지만 자원을 많이 투입하지 않았을까 싶네여
switchgear
22/11/15 11:46
수정 아이콘
제 모교는 이제 저런 리스트에 이름이 전혀 못 올리는 학교가 되었네요 크크
물맛이좋아요
22/11/15 19:07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네요
22/11/15 14:31
수정 아이콘
평판도 말고는 일반 학부 졸업생이나 재학생 입장에선 큰 의미 없는것같네요.
인민 프로듀서
22/11/17 11:27
수정 아이콘
재학생 입장에서는 오히려 띠용? 하는 경우가 더 많을 것 같아요.
"아니 별거 없는 내 학교가 순위가 이렇게 높다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215 [일반] [경제] 워렌 버핏은 왜 TSMC를 샀는가? [30] 김유라14666 22/11/20 14666 18
97214 [일반] 누가 오토바이 타라고 칼 들고 협박함? 알빠노? [359] abc초콜릿24342 22/11/20 24342 18
97213 [일반] [팝송] 아하 새 앨범 "True North" [7] 김치찌개7697 22/11/20 7697 5
97212 [일반] (일상투덜) 굽네치킨 선물받은거 가격인상됐다고 보통 돈을 받나요? [67] nonmoon15862 22/11/19 15862 11
97211 [일반] 나는 망했다. [20] 모찌피치모찌피치13707 22/11/19 13707 27
97210 [일반] [성경이야기]이스라엘 서쪽 vs 동쪽의 내전 [6] BK_Zju10947 22/11/19 10947 12
97209 [정치] 화성17호 발사성공 및 김정은 딸 공개 [67] 숨고르기15994 22/11/19 15994 0
97208 [일반] 소설ㆍ만화 국가심의기관에 대한 폐지 청원이 진행중입니다. [24] 술라12516 22/11/19 12516 40
97207 [일반] 3년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 우리술 대축제 [22] 판을흔들어라13668 22/11/19 13668 4
97206 [일반] 이제 약 30분뒤면 제가 두번째로 좋아하던 웹소설의 영상화 첫편이 방영됩니다. [42] 키토14631 22/11/18 14631 1
97205 [정치] 빈 살만 왕세자가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낸 전보 (내용 추가) [53] 틀림과 다름18680 22/11/18 18680 0
97204 [일반] 삶의 질을 올려주는 꿀템들 공유하시죠! [73] 잉차잉차15375 22/11/18 15375 4
97203 [일반] 한국에서 소위 진정한 5G를 맛보기는 힘들어질 수도 있겠습니다. [61] NSpire CX II18962 22/11/18 18962 8
97202 [일반] 고립무원 [23] lexicon11680 22/11/18 11680 9
97201 [일반] 핀란드&노르웨이, K-9 추가구매 [64] 어강됴리15379 22/11/18 15379 7
97200 [일반] 사우디 왕세자 빈 살만, 일본 방문 돌연 취소 [113] OneCircleEast23573 22/11/18 23573 5
97199 [일반] 최근 당근거래에서 당한 3자 사기 경험담 [44] B와D사이의C13531 22/11/18 13531 7
97197 [정치] 尹 "MBC 전용기 배제, 헌법 수호 따른 부득이한 조치…언론 책임 중요" [308] 크레토스23674 22/11/18 23674 0
97196 [일반] 23년 수학능력시험 수학 4점 문제들을 리뷰해보았습니다. [51] 물맛이좋아요14237 22/11/18 14237 13
97195 [일반] 마사지 기계의 시초는 바이브레이터?! / 안마기의 역사 [12] Fig.111710 22/11/18 11710 19
97194 [정치] g20을 던져두고 대통령이 귀국해서 한 일 [104] 아이스베어21794 22/11/17 21794 0
97193 [정치] [펌] "MBC에 광고 주지 마라" 집권당 지도부의 발언, "유신독재 회귀냐" [74] 가라한15847 22/11/17 15847 0
97192 [정치] 국회 행안위에 출석한 이임재 (전)용산서장, 류미진 당일 상황관리관(당직사령) [19] Croove11652 22/11/17 1165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