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2/02 16:04:13
Name Tigris
Subject [일반] [스포없음] 연극 추천 : 아트 / 스카팽 (수정됨)
최근에 연극을 두 편 봤는데, 둘 다 괜찮았기에 추천해봅니다.


1. 연극 '아트'
2022090200006_0.jpg
510802_621396_5738.jpg

- 2022년 9월 17일 ~ 2022년 12월 10일
- 서울, 대학로 YES24 스테이지

▷ 쉽지만 흥미롭고 작지만 단단한 희극입니다. 이야기 규모는 소박하지만 세 캐릭터가 대유하는 현대인 상, 그리고 그 사이에서 저마다의 이유로 팽팽한 갈등이 관객의 흥미를 잘 끌어갑니다. 많은 분들이 셋 중 한 캐릭터에게는 몰입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 저는 이순재-백일섭-노주현 캐스팅으로 봤습니다. 노련하더군요. 개인적으로 조금은 TV배우에 더 가까운 인상도 갖고 있던 백일섭 씨와 노주현 씨를 새삼 다시 봤습니다. 제가 봤던 회차에는 이순재 씨가 타이밍이나 대사를 살짝 놓친 부분이 아주 가끔 있었는데 노주현 씨가 대부분의 관객은 눈치채기 힘들 정도로 편안하게 커버하더군요.

▷ 다른 캐스팅으로도 관람한 지인의 말에 따르면 어느 쪽이나 상당히 좋았다고 합니다.

▷ 여담이지만 작품 중 언급되는 '금액'은 공연 연차가 이어질 때마다 물가에 맞춰서 바꾸고 있다고 하네요.





2. 연극 '스카팽'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cU1ud%2FbtrSC9ZrePj%2FMuFH4D2geDGfds3lfyoNI1%2Fimg.jpg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rvkb%2FbtrSEelz0q5%2FHgfOZXk22RHNtORK9EuK4k%2Fimg.jpg

- 2022년 11월 23일 ~ 2022년 12월 25일
- 서울, 명동예술극장

▷ 국립극단의 '클라쓰'가 느껴지는 삼연째의 희극입니다. 홍보문구 중에 '국립극단 작품 중 유일한 코미디'라는 식의 표현을 얼핏 본 거 같은데, 작품을 보고나서 왜 특별취급하는지를 알 거 같더라고요. 개인적으로 비극을 더 선호하는 편인데가장 좋아하는 건담이 Z건담 TV판이며 극장판은 부정하는 입장입니다 그건 이 정도 퀄리티의 희극을 만나기 어렵기 때문인 듯도 합니다.

▷ 메타적인 요소도 좀 있고(일단 등장인물 중 하나가 이 작품의 희곡을 쓴 '몰리에르'입니다) 밈이나 패러디도 꽤 쓰입니다. 저는 비교적 패러디를 잘 눈치채는 편인데 이 작품에서는 놓친 게 조금 있었네요. 아마도 최근 유행했던 TV연속극의 대사들 위주로 놓친 거 같은데 제가 TV를 잘 안 봐서 말이죠… 개인적으로는 '멤버 유지'라는 대사가 너무 초반에 나와서 관객들이 풍자라는 걸 눈치채기 어려웠던 점이 약간 아쉬웠습니다. 다같이 웃었다면 더 좋았을텐데 말이죠. 한편으로 일부 중장년 관객은 중간중간에 나오는 패러디를 읽어내지 못해서 가끔 몰입이 끊어지는 듯 보이기도 했습니다. 허나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스마트폰으로 카톡을 하고 있거나 졸다 깨서 공연 도중에 터벅터벅 나가버리거나 하는 건 보기 흉하더군요. 업체 측 입장은 모르겠지만 일개 관객 입장에서 그런 분들은 좀 안 왔으면 좋겠습니다. 적어도 방해는 하지 말아아죠.

▷ 이 연극의 특징 중 하나는 한층 더 본격적인 '배리어 프리'를 표방한다는 점입니다. (사진 참고) 보통 배리어 프리 연극이라면 수화통역자 한 명이 무대 가장자리에 서서 모든 대사와 효과음 등을 실시간 통역해주는 정도가 많은데, 이 작품은 무려 모든 등장인물마다 한 명씩의 수화통역자가 붙습니다. 마치 피터팬 곁의 팅커벨처럼(…) 동선을 함께하기도 하고, 상황에 따라서는 무대 앞에 여러 수화통역자가 모여서 수화로 대사를 주거니 받거니 하기도 합니다. 또한 무대 좌우의 화면을 통해 효과음, 배경음악, 대사 등이 전부 한국어 자막으로 나옵니다. (음성해설 수신기도 지원합니다. 아마도 시각장애인 용이겠지요.) 제가 보기에 이런 요소들은 상당히 뚜렷한 장단점들이 있던데, 우리 사회에 흔치 않던 요소인만큼 가능하면 직접 느끼고 판단해보시는 게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극단이 그 단점을 영리한 방법으로 극복하려 시도하는 게 참 멋지게 보였습니다. 중후반까지도 그 시도에 설득되지 않았지만, 최후의 발놀림(?)이랄까 발재간(?)이랄까, 거기에는 크게 한 번 웃으며 설득당하게 되더라고요. 평소 배리어 프리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꼭 한 번 보시길 권하고 싶습니다.

▷ 개인적으로는 실베스뜨르 역의 연기가 가장 좋았습니다.








급한 마무리.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3qavX%2FbtrSHMVuvcp%2FWfL8c0OA15LCfWDwVKfyfK%2Fimg.jpg
오랜만에 가본 명동은 제법 활기가 돌아온 듯 보였습니다. 다행이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astVulture
22/12/02 16: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연극 뮤지컬에 주말을 탕진하는... 인터파크티켓 VVIP입니다
(6개월 구매금액 100만원 이상인가 150만원 이상이 조건...)
아트 스카팽 둘 다 추천합니다

아트는... 젊은 캐스팅은 좀 더 역동적이고...
시니어 캐스팅은 그만큼 짬바가 느껴집니다

스카팽은 19년도엔가 처음 봤는데 정말 명작입니다
솔직히 요새 명동예술극장에서 하는 공연을
지인들이 보러가겠다고 하면 뜯어말리는 편인데
스카팽은 예외입니다
Janzisuka
22/12/02 18:54
수정 아이콘
자영업 시작하고는 연극이건 문화생활 한번을 못하네요 ㅠㅠ 우어오어
터치터치
22/12/03 09:54
수정 아이콘
좋은 추천 감사합니다
마갈량
22/12/03 20:41
수정 아이콘
스카팽은 참좋아하는연극입니다
국립극단의 퀄리티는 가격이 이해가안갈만큼 대단하죠. 그중 제일응 스카팽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356 [일반] 세종시의 출산율과 한국의 미래 [156] darkhero19211 22/12/08 19211 19
97355 [정치] 노옥희 울산교육감 별세 [14] 10212318 22/12/08 12318 0
97354 [일반] [일상글] 나홀로 결혼기념일 보낸이야기 [37] Hammuzzi9195 22/12/08 9195 28
97353 [일반] 전광훈이 이단이 됐습니다. [78] 계층방정17771 22/12/08 17771 13
97352 [정치] 경찰, 이태원 참사 희생자 유류품 '마약 검사' 의뢰-모두 음성 [154] 오늘16272 22/12/08 16272 0
97351 [일반] 이무진의 신호등을 오케스트라로 만들어 봤습니다. [21] 포졸작곡가9213 22/12/08 9213 16
97350 [일반] <그래비티> - (스포)두고 온 것과 붙잡아야 하는 것, 결국 모든 것은 중력의 문제. [26] aDayInTheLife7183 22/12/08 7183 5
97349 [일반] 나는 서울로 오고 싶지 않았어 [32] 토우12591 22/12/08 12591 19
97348 [일반] 예수천국 불신지옥은 성경적인가. [140] Taima14954 22/12/07 14954 15
97347 [정치] 독일서 쿠데타를 모의한 극우 및 전직 군 인사 집단 체포 [33] 아롱이다롱이15560 22/12/07 15560 0
97346 [일반] 자녀 대학 전공을 어떻게 선택하게 해야할까요? [116] 퀘이샤15027 22/12/07 15027 9
97345 [일반] 현금사용 선택권이 필요해진 시대 [101] 及時雨13450 22/12/07 13450 18
97344 [일반] 귀족의 품격 [51] lexicon14273 22/12/07 14273 22
97343 [일반] 글쓰기 버튼을 가볍게 [63] 아프로디지아10109 22/12/07 10109 44
97342 [정치] 유승민 경멸하지만 대선 최종경선 때 유승민 찍은 이유 [100] darkhero19432 22/12/07 19432 0
97341 [일반] 아, 일기 그렇게 쓰는거 아닌데 [26] Fig.19823 22/12/07 9823 20
97340 [일반] 책상 위에 미니 꽃밭과 딸기밭 만들기 [16] 가라한8713 22/12/06 8713 12
97339 [일반] 커뮤니티 분석 글들의 한계 [68] kien.16011 22/12/06 16011 24
97338 [일반] 고품격 배우들의 느와르 수리남 감상문 [14] 원장9589 22/12/06 9589 1
97337 [정치] 한덕수 김앤장 전관예우가 문제 되는 이유 [58] darkhero17020 22/12/06 17020 0
97336 [정치] 한국에 와서 고생이 많은 마이클샌델 [76] darkhero16730 22/12/06 16730 0
97335 [정치] 윤 대통령, 청와대 영빈관,상춘재 재활용 [86] 크레토스15305 22/12/06 15305 0
97334 [일반] 출산율 제고를 위한 공동직장어린이집 확충 [58] 퀘이샤12057 22/12/06 12057 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