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2/05 15:54:45
Name 어강됴리
Link #1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3076688&exception_mode=recommend&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A.B6.A4.EB.8F.84&page=1
Subject [일반] 철제궤도를 대체하는 고무궤도
Lynx_KF41~1.jpg


Credit: HDA


나가리 될 확률이 아주아주 높은 호주 차기장갑차 사업의 최종후보 라인메탈 링스와 한화디펜스의 레드백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고무궤도 체택입니다. 




고무궤도는 기존 철제궤도에 비해 2톤이나 가벼우며 소음과 진동이 대폭감소하며 이에 따라 승차감이 매우 좋아집니다. 
이는 승무원의 피로저하로 이어지죠 50%상승한 항속거리는 덤 입니다. 






유지보수 효율도 더 상승합니다. 기존 철제트랙을 보완하기 위한 고무패드의 수명은 600km, 철제궤도의 수명이 5,000km인 것을 감안하면 궤도 주기동안 12번의 교체가 필요하지만 궤도자체가 고무인 고무궤도는 교체가 필요없이 6,000~8,000km 수명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궤도에 직접닿는 보기륜과 주행륜의 수명도 같이 늘어납니다. 

 이는 수명당 전체 유지보수비용의 40% 절감이라는 획기적인 결과를 가져옵니다.



Advantages – Soucy Defense

Battle damage repair kit 이라는 야전 수리장비로 끊어진 고무궤도를 이어붙일 수 있으며
궤도 교체도 2시간에 끝낼 수 있습니다. 

복합소재 사용으로 열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는 철제궤도보다 내열성능이 더 뛰어나며 폭발시 파편이 발생하지도 않습니다.  
거기다 고무소재 특유의 장력으로 궤도이탈확률도 철제궤도보다 낮다고 합니다. 

연비 유지비 수리 승차감 내열 안전 모든 부분에서 철제궤도의 비교우위를 자랑합니다만...






이미지

문제는 40톤 이상의 무게를 버티는 고무궤도를 생산하는 업체가 전세계에 캐나다의 Soucy 디펜스 단 한곳입니다.

K9A2 버전에도 고무궤도가 적용된다고 하는군요 

불과 3~4년전까지만 해도 고무궤도의 최대중량은 40톤까지였지만 현재는 55톤 수준까지 올라왔고 향후 성능개량이 이어지면 60톤 이상의 전차에도 적용될 수 있겠습니다. 

국방과학연구소에서도 중기계획으로 20년말까지 고무궤도 개발을 완료할것 이라고 하니 2030년도에는 기갑장비들이 전부 고무궤도로 바뀌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작은대바구니만두
22/12/05 15:58
수정 아이콘
고무 붐은 왔다...
닉네임을바꾸다
22/12/05 16:05
수정 아이콘
링스는 주행시험까지 해보고 우리도 이거 할래였던가...크크
어강됴리
22/12/05 16:06
수정 아이콘
솔직히 안 할수가 없죠 모든면에서 비교우위인데 크크크
22/12/05 16:06
수정 아이콘
고무고무!
nm막장
22/12/06 06:32
수정 아이콘
열매?
사업드래군
22/12/05 16:11
수정 아이콘
화염에 더 취약하다거나 뭐 그런 건 없을까요?
어강됴리
22/12/05 16:20
수정 아이콘
캐블라 복합소재로 기존 철제궤도 보다 내화성이 더 뛰어나다고 하는군요
판을흔들어라
22/12/05 16:13
수정 아이콘
호주니까 가능한 거겠죠? 제 차의 바퀴 연결부분 고무가 찢어져(깨져서) 날 추울 때 방지턱 지나가면 끼익끼익 소리나더라구요. 우리나라는 겨울에 고무가 딱딱해질테니 안될듯 싶은데...
어강됴리
22/12/05 16:20
수정 아이콘
Working ambient temperature between -50 to +50 °C

군용장비가 다 그렇지만 혹한의 환경에서 못버티면 납품못하죠..
영하 50도 까지 괜찮다고 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12/05 16:22
수정 아이콘
저거 제작업체가 캐나다기업이죠...
HA클러스터
22/12/05 16:30
수정 아이콘
이것저것 장점이 많은 장비지만 아직 단점도 좀 있습니다.
가령 고무궤도 수리키트는 어디까지나 응급용이라서 일단 전투지에서 이탈해서 긴급상황을 벗어나고 나면 통째로 교체해야 하는 걸로 압니다. 철궤도는 손상되면 핀 빼서 분리하고 그 부분만 바꾸면 된다는 장점이 있죠. 그리고 아직 최대 한계 무게가 40~50톤대라서 레오파르트 2a7이나 에이브람스A2, 그리고 폴란드에서 생산하게 될 흑표PL같은 60톤이 넘는 서방 주력전차에는 아직 쓸수가 없죠.
22/12/05 16:30
수정 아이콘
좀 더 기술발전이 되면 전차궤도도 고무로 갈 가능성이 높겠네요.
겨울삼각형
22/12/05 16:32
수정 아이콘
문제는 40톤 이상의 무게를 버티는 고무궤도를 생산하는 업체가 전세계에 캐나다의 Soucy 디펜스 단 한곳입니다.

=> 중국에서도 자체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22/12/05 16:36
수정 아이콘
와우 걍 슈퍼을이네요.
어강됴리
22/12/05 16:42
수정 아이콘
군수업체들이 이런곳이 많죠
예를들어 F-35 파일럿 사출장비는 영국제라서 아르헨티나에 절대 수출못하고
전차용 능동방어 시스템은 거의 이스라엘 독점이고
함포는 이탈리아의 오토멜라라사가 장악한것으로 압니다.

물론 중국 러시아는 짤없이 자체생산이죠
탑클라우드
22/12/05 16:36
수정 아이콘
역시 군수의 영역에서 과학은 발전하는군요 허허허
22/12/05 16:51
수정 아이콘
정말 고무적이네요~!!
22/12/05 16:53
수정 아이콘
나가리..라는 말은 사업이 나가리란 뜻인가요? 아니면 레드백이 질 것 같다는 이야기인가요.
어강됴리
22/12/05 16:56
수정 아이콘
호주 장갑차사업이 엎어질것 같습니다.
쟤들은 심심하면 사업 들어엎는게 습관이라..
22/12/05 17:0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우리처럼 위협세력이 사방에 있는 나라가 아니니까 그럴 수도 있겠네요
VictoryFood
22/12/05 16:54
수정 아이콘
독점이라니 궤도 자체의 가격은 철제궤도보다 비싸겠네요.
어강됴리
22/12/05 16:55
수정 아이콘
10%정도 차이난다고 합니다. 향후 유지비 고려하면 고무궤도쪽이 훨 저렴하죠
시린비
22/12/05 17:01
수정 아이콘
고무고무노~ 궤도선생!
후추통
22/12/05 18:08
수정 아이콘
고무궤도가 만능아이템인것 같지만 단점이 그것도 아주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중량 40톤 이상의 양산형 장갑차량에 채택된 적이 없다.

일반적으로 사람 목숨을 다루는 장비인 만큼...이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를 누가 할지는 궁금하긴 합니다...
어강됴리
22/12/05 18:34
수정 아이콘
고무궤도를 채택한 레드백장갑차의 전투중량은 43톤
K9A2의 전투중량은 47톤으로 알고있습니다
후추통
22/12/05 18:40
수정 아이콘
"양산형" 즉 아직 양산된 전투차량에 사용된 전적이 없다는 겁니다...
DownTeamisDown
22/12/05 18:44
수정 아이콘
느낌상으로는 첫고객은 국군이 되려나요?
K9A2를 육군에서 먼저 테스트 할것 같은데 말이죠.
양산도 그렇고 레드백이 물론 호주에서 채택된다면 호주가 먼저일것 같긴 하지만 엎어진다면 말이죠.
이선화
22/12/05 19:51
수정 아이콘
그러면 기존에 철제 레일을 사용한 이유가 뭔가요? 일단 타이어가 고무로 만드는 터라 당연히 고무 궤도를 사용하자는 아이디어는 과거에도 있었을 것 같은데, 순전히 기술력 문제였나요?
드라고나
22/12/05 20: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문에 있는 고무궤도는 그냥 고무로 만든 게 아니라 케블라 같은 고강도 소재 위에 합성고무를 덮은 겁니다. 21세기 소재공학 발달 덕에 저런 게 나온 거죠.

케블라는 아니라도 철사로 얼개를 만든 다음 고무를 덮은 궤도는 소형 포크레인 등에 쓰인 지 한참 되었습니다. 다만 이런 건 전차 같은 데 쓰기에는 견딜 수 있는 무게가 부족해 안 쓰인 거죠
자급률
22/12/05 20:16
수정 아이콘
왠지 옛날에 빅토리아2 플레이할때가 떠오르네요. 첨단제품들 만들때 필요한 전자부품에 고무가 들어가서 고무 산지 확보하려고 용쓰던 기억이...
닉네임을바꾸다
22/12/05 21:45
수정 아이콘
동남아를....응?
닉넴바꾸기좋은날
22/12/06 01:20
수정 아이콘
아... 고무차륜 전철 이야긴줄 알았는데 크크크크 아니네요.
22/12/06 14:41
수정 아이콘
k9자주포도 일부만 도입하고 일단 야전에서 굴려본 다음에 전체 도입할지 말지 결정할 겁니다
신기술 좋아뵌다고 무턱대고 도입하는 곳이 군대가 아니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381 [정치] 대구 도시계획과 대구의 부동산 [32] 김유라16787 22/12/11 16787 0
97380 [일반] <기예르모 델토로의 피노키오> - 현실과 융합하는 판타지.(최대한 노스포) [6] aDayInTheLife8868 22/12/11 8868 1
97379 [정치] 혐오는 민주주의의 아이러니한 도덕이다 (부록: 유전자결정론에 대한 생각) [31] 계층방정12576 22/12/10 12576 0
97378 [정치] 서울시가 전장연 시위 지하철역 무정차를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148] 만수르21246 22/12/10 21246 0
97377 [일반] [팝송] 테일러 스위프트 새 앨범 "Midnights" [4] 김치찌개8255 22/12/10 8255 5
97376 [정치]  尹, 인구소멸 해결 나선다…해법은 ‘이민’ [292] Taima26333 22/12/09 26333 0
97375 [정치] 1. 사건은 우리 옆을 스쳐 지나간다. [33] 노틀담의곱추10982 22/12/09 10982 0
97374 [일반] 코로나19 백신(BA 4/5) 4차 접종 후기 [46] Regentag12437 22/12/09 12437 1
97372 [정치] 화물연대 현장 복귀…"투표 결과, 파업 종료 결정" [180] 핑크솔져20684 22/12/09 20684 0
97370 [일반] 주식 초보자의 2022년 하락장에 대한 소감 [34] 보리야밥먹자12741 22/12/09 12741 5
97369 [일반] 학폭위 10년.. 지금 우리 학교는 [25] 택배12282 22/12/09 12282 5
97368 [일반] 38년 돌본 뇌병변 딸 살해…"난 나쁜 엄마" 법정서 오열 [103] will16287 22/12/09 16287 11
97367 [일반] 사랑했던 너에게 [6] 걷자집앞이야9700 22/12/09 9700 40
97366 [일반] 역시 인생은 한방인가?...;; [12] 우주전쟁15401 22/12/08 15401 10
97365 [일반] 요즘 본 영화 감상(스포) [4] 그때가언제라도7981 22/12/08 7981 1
97364 [일반] 위린이 1년 결산 [10] 요슈아11456 22/12/08 11456 3
97363 [일반] 나는 안걸릴 줄 알았는데... [37] EZrock11513 22/12/08 11513 2
97362 [일반] 게으른 완벽주의자에서 벗어나기 [14] 나는모른다11621 22/12/08 11621 19
97361 [일반] 희석식 소주에 대한 생각 [77] 梨軒9648 22/12/08 9648 12
97360 [정치] 尹 정부, '강제 북송' 막는다…최종 결정권자는 통일부 장관 [248] 크레토스18015 22/12/08 18015 0
97359 [일반] 고백: '써야지 리스트'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11] Farce8959 22/12/08 8959 9
97358 [일반] "저렴한" RTX 4060/4060 Ti는 2023년 9~10월 계획으로 알려짐 [35] SAS Tony Parker 12188 22/12/08 12188 0
97357 [일반] AI 그림)2달 동안의 AI 그림 관찰기록 [39] 오곡물티슈14204 22/12/08 14204 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