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9/29 22:32:49
Name 판을흔들어라
Subject [일반] [2023여름] 부덕(不德)한 나에게 여름 밤하늘은 열리지 않는다(스압)

작년에 이어 올해도 별을 보기 위해 은하수를 찍기 위해 4번의 도전을 했습니다.
그 중 세 번은 8월 한여름에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왜 적재가 찬바람이 불기 시작할 때 별을 보러 가자 하는 지 알 수 있었고,
저는 왜 덕(德)이 없는가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5월에 보러 갔을 때에도 새벽 3시가 되자 구름이 몰리며 밤 하늘을 가렸었었는데.... 여름에도....

페르세우스 유성이 보인다는 8월 13일의 밤
칠갑산천문대스타파크를 처음으로 방문했습니다.

uZXngm9.jpg

저를 맞이한 건 고양이었습니다.

N8yhniL.jpg

안녕 고양아,
놀랐잖아.
새벽 1시에 뭐하는 거니

URK76zL.jpg

유성우가 뜬다는 데 왜 사람이 없을까요?
천문대로 가는 저 관문을 저는 통과할 수 없었습니다.
왜냐
혼자였어요.
무서웠어요.
저 칠흑으로 걸어 들어갈 용기가 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뜻밖의 불빛이 보였고, 차 한대가 지나갔습니다.
그제야 저는 천문대로 향했습니다.

0uHtp7I.jpg

아.... 이래서 사람이 없었구나
분명 낮이었나 저녁이었나 날씨 확인할 때 구름은 없었는데...
사람들이 없는 것도 구름 때문에 철수해서;;

VzqA4FU.jpg

눈에 보이는 하늘도 뿌옇고, 사진에 찍힌 하늘도 뿌옇고

그렇지만 가끔씩 하늘이 열리기도 했습니다.
혼자였으면 저도 갔을 거 같은데 아까의 차량을 타고 오신 커플(?)분들께
너무 무서운 나머지 용기 내어 말을 걸었고,(어둠 속이라 끝까지 얼굴은 못 봤습니다만)
기다림 끝에 유성도 몇 개 보았습니다.

9d4qkq7.jpg

유성우를 찍은 사진을 찍은 사진

QnD3jrg.mp4

그런데 사실상 2초 짜리 하이퍼랩스라 망한 건 줄 알았는데
유성이 찍혔습니다.
(짤이 안나오신다면 https://i.imgur.com/QnD3jrg.mp4  링크를 보시면 됩니다.)

보이시나요 유성이?
에게? 설마 저게? 하실 수 있겠는데
실제로 유성을 보면 저렇습니다.
남들 다 위로 올라갈 때 가로로 잠깐 빛이 사라지는 것이 있습니다.
가운데 아래 가장 빛나는 별(아마 시리우스 아니면 목성이었을  듯합니다.)의 11시와 12시 방향으로 위쪽을 보시면
움직임이 보이실 겁니다.

uyaKxe9.jpg

그리고 8월 20일에는 보령에 있는 옥마산으로 향했습니다.

R8sxnBI.jpg

노을 예쁘지 않나요?

19vgCFN.jpg

역시 좀 서둘러 일몰 보러 올라오길 잘했다 생각했습니다.

hyh02AM.jpg

달이 있지만 힘을 못 내는 그믐달이어서
앗싸 별이다 라고 생각했죠.
다만 옥마산도 근처에 광해가 많아서 은하수는 못 보거나 못 찍을 수 있다고 했는데

MB7qNM7.jpg

아놔 구름....

I4v2PK4.jpg

중학교 과학시간에 집중을 안 해서인지 이유를 잘 모르지만
여름이라 습기 차서 그런지 바닷가라 그런지 아니면 제가 싫어서 그런지
예쁘던 야경도 뿌해집니다.

7pARL3L.jpg

그나마 갤럭시 expert raw 천체모드로 찍으면 이런데 제 눈이 이렇게 못 보니 참....
뿌연게 느껴지십니까?

lvXDg5h.jpg

저녁이나 먹고 철수....


그리고 슈퍼블루문의 8월 31일
재방문의 옥마산 전망대

oYrZAvY.jpg

응 구름이야

ImU0sgx.jpg

구름 싫다....

Pr10k3f.jpg

달의 딜레마는 눈으로는 정말 예쁘게 보이는데
줌 아웃을 하면 태양과도 비슷한 밝기를 보여주는 것이죠.
아, 참고로 우측 상단은 토성일 겁니다.

pXGVRoN.jpg

이게 달이야 해야

dfqPhUM.jpg

가랏 달고리즘!

9LiQ1Oj.jpg

이것은 전망대 망원경으로 달을 본 걸 찍은 사진입니다.
별 보러 다니면서 알았는데 망원경을 카메라로 찍더군요


NJ1nh4k.jpg

이것이 진정 블루문이죠.

bJYUMkv.jpg

이렇게 8월 세 번의 별보기(달보기) 도전은 구름과 함께했습니다.

5월 천문대에서 구름이 몰려와 주변 사람들도 사라지고,
천문대 관계자에게 '덕을 더 쌓아야겠죠'라고 들었는데
제가 부덕했습니다.

IunFEMV.jpg

낮에 보면 정말 구름 예뻐서 하늘을 몇 번이고 쳐다보는데
밤에는 달과 함께 그렇게 웬수일 수가 없습니다.

8qHNiHL.jpg
Nq05R7u.jpg
wP6RbBs.jpg

구름과 함께 별 볼때의 양대 웬수로 꼽히는 오늘의 달입니다.




언젠간 몽골 가서 별과 은하수를 눈으로 보고 싶습니다.
그나마 저렴하게 갈 수 있는 곳일테니까요
달이야 천문달력 등으로 피할 수 있는데
밤의 웬수 구름을 피하기 위해
덕을 쌓아야 겠습니다.

그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sterios
23/09/30 14:37
수정 아이콘
ㅠㅠ 다음에 가실 땐 꼭 맑은 하늘에서 별들을 보실 수 있으면 좋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931 [일반] [2023여름] 부덕(不德)한 나에게 여름 밤하늘은 열리지 않는다(스압) [1] 판을흔들어라4611 23/09/29 4611 10
97737 [일반] (스포)플라네테스 2003 감상, 여기가 아닌 어딘가로...? (+ 빈란드 사가 주절주절) [26] 그때가언제라도8512 23/01/19 8512 1
96591 [일반] 조경철 천문대와 소이산 철원평야(사진용량 주의) [15] 판을흔들어라10361 22/09/17 10361 11
96345 [일반] (스포) 헌트 리뷰입니다 [3] 패스파인더6560 22/08/14 6560 2
93260 [일반] Faster Than Light! 우주를 가로지르는 스페이스 오페라 애니송 모음 [29] 라쇼17409 21/09/04 17409 4
91601 [일반] 유로파의 바다에 열수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44] 우주전쟁13207 21/05/03 13207 17
89466 [일반] 허무와 열혈 - 가이낙스 단상 [11] UMC6846 20/12/22 6846 7
88120 [일반] 금성의 대기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을까? [67] cheme17003 20/09/16 17003 37
87413 [일반] [우주] 2020` 7월, NASA 오늘의 사진 모음 [17] AraTa_Justice9379 20/07/29 9379 38
82796 [일반] [스포주의] AD ASTRA 보고왔습니다. [18] 중년의 럴커7798 19/09/20 7798 1
78187 [일반] 지구를 통일할 미국제국, 독립할 타이탄 식민지 [62] Bulbasaur10992 18/09/11 10992 19
73495 [일반] 갈릴레오 vs 카시니-하위헌스... [19] Neanderthal7523 17/08/29 7523 14
72598 [일반] 달걀노른자 아닙니다. 베텔게우스입니다... [19] Neanderthal8207 17/06/28 8207 11
72474 [일반] 오늘도 열일하고 있는 NASA... [33] Neanderthal8332 17/06/20 8332 11
72452 [일반] 태양계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13] Neanderthal7540 17/06/18 7540 20
72260 [일반] 지구온난화라는 말을 쓰기가 미안해지네요... [41] Neanderthal10850 17/06/06 10850 9
72094 [일반] 신비로운 목성의 대기 사진들... [36] Neanderthal10045 17/05/28 10045 19
71271 [일반] 영-프-독 이과 스쿼드 대결 (발퀄주의) [40] 열역학제2법칙8065 17/03/29 8065 14
71123 [일반] 달에서 발견한 미생물 (Moon bugs) [32] Neanderthal12223 17/03/16 12223 7
70784 [일반] 지구 같은 행성 일곱 개를 가진 항성계 발견... [38] Neanderthal10120 17/02/23 10120 10
70389 [일반] 우주의 몬스터들 – R136a1 그리고 UY Scuti [8] Neanderthal8535 17/02/05 8535 8
70362 [일반] 별을 먹어치운 무서운 별, 그러나 곧 죽을 베텔기우스 [44] Neanderthal10908 17/02/03 10908 13
66255 [일반] 태양계의 아홉 번째 행성은 명왕성이었으면... [14] Neanderthal9689 16/07/10 9689 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