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05/03/03 21:37:31
Name 한빛짱
Subject [유머] [영상]타블로-스타골든벨에서 활약
[05.02.13]-goldenbell.asf type=video/x-ms-asf showstatusbar="1">




데뷔초에 나온 신문기사

[신문기사] '힙합時人' 이선웅씨★
[경인일보 2002년 7.14일]

   미국의 명문대 스탠퍼드에서 학사와 석사를 3년 반만에, 그것도 수석으로 졸업한 수재가 힙합을 하겠다고?  누구라도 궁금증을 가질 이야기다.  계속 공부하라는 교수들의 권유도, 같이 일해보자는 여러 제의도 떨쳐버리고 더욱이 자신의 교육을 위해 '맹모 삼천지교(孟母 三遷之敎)'까지 감행했던 부모의 실망마저 무릅썼다.  

   궁금증의 주인공 이선웅(22)씨가 약속장소인 수원 나혜석거리의 한 카페로 들어왔다.  힙합에 대한 공감대가 넓어 같이 작업을 하고 있다는 최진(19)씨가 동행이었다.  취재진을 확인하자 허리를 거의 90도 각도로 꺾어 인사를 한 이 청년은 중키에 마른 체격으로 평범한 외모였다.  먼저 덥지 않느냐고 물었다.  모직 베레모를 쓰고 있었기 때문이다.  “머리가 엉망이라서요. 뭐라도 써야겠는데 이것밖에 없었어요.”   공부는 어떻게 했는지, 대학생활은 어땠는지, 부모의 교육방식은 무엇인지, 왜 대중문화에 관심을 갖게 됐는지 궁금한 게 한 두 가지가 아니었지만 먼저 '힙합'이 무엇인지를 물어봤다.  

   “어렸을 때부터 글쓰기를 좋아했고, 단편소설을 써왔습니다.  유색인에게 불리한 스탠퍼드대에 입학할 수 있었던 것도 제가 써온 글이 좋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랩에 매력을 느낀 것은 말과 글, 춤과 음악이 공존하고 있어서죠.  힙합이 시작된 뉴욕의 할렘은, 제가 한동안 거주한 적이 있는데 랭스턴 휴즈라는 유명한 흑인시인이 살았던 곳이에요.  처음 힙합이 시작됐을 때 랩은 흑인들의 억눌린 감정을 읊은 '시(詩)'였어요.  저는 여전히 랩을 시라고 생각합니다.  라임(rhyme·운)도 잘 살아있구요.  미국에서도 랩이 현대에 죽어버린 '시 문화'를 부활시키고 있다는 평가가 크게 호응을 얻고 있지요.  ”힙합은 '거리문화'이고 '토론문화'이며 그 표현수단인 랩은 사회모순에 대한 고발이자 시적 승화일 뿐만 아니라 어떤 정치·사회적인 운동보다 자연스럽게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힙합은 대중과 함께하는 첨예한 문화운동이기도 하다.  그는 지금 우리나라의 힙합은 “90년대 초반 인기였던 갱스터랩이 들어온 뒤 굳어져버려 랩이 거칠고 욕설이 난무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생겼다”고 덧붙였다.  

   이선웅씨는 서울에서 태어났다. 어린시절은 아버지의 근무지를 따라 사우디아라비아, 홍콩,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보냈다고 한다. 그보다 7, 8살 위인 형과 누나 역시 미국 아이비리그 명문대 출신. 지금 용인에 살고 있는 부모는 자녀 뒷바라지를 위해 그가 초등학교 2학년때 캐나다 이민을 강행했다. 모범생인 형과 누나에 비해 막내아들은 공부는 제껴두고 늘 콘서트장과 영화관을 돌아다니자 그의 부모는 이번에는 막내의 교육을 위해 한국으로 되돌아왔다. 성남에 있는 서울외국어고등학교에 다니면서도 그는 여전히 음악과 영화, 문학에 심취해 2학년때는 김건모의 노래 가사(5집앨범에 'Rainy Christmas')를 쓰기도 하고 조안리의 소설을 번역하기도 하면서 보냈다고 한다. “대학가고 싶은 생각이 별로 없었어요. 항상 '네가 잘 하는 것을 하라'고 말씀하시던 아버지가 그런 저를 보고 '대학이나 다녀보고 다른 것을 해보라'고 하시기에 영문학(English)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었죠. 대학시절 정말 열심히 살았습니다. ”부모는 한국에 남고 혼자 건너가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대학에 다녔는데 스스로도 “고생 많이 했다”고 말했다. 아르바이트를 해서 생활했고 빨리 학업을 마치고 싶어 필수 이수과목을 전략적으로 수강했다. 책과 글쓰기를 좋아했기 때문에 마음먹은 대로 공부가 진행돼 2년 반 만에 필수학점을 이수했는데 평점은 4.0만점에 4.0으로 수석을 차지했다.

   하지만 그가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은 학점이 아니라 교수인 토비아스 울프(Tobias Woolf)씨로부터 받은 창작문학상이다. 울프는 자전적 소설 '디스 보이스 라이프(This Boy's Life)'(레오나드로 디카프리오 주연으로 영화화됨)로 우리나라에 잘 알려져 있는 유명작가. 상장에 적힌 이씨의 수상작은 'The Rat'(쥐)이었다. 내용을 물어보니 자신의 소설은 대부분 도시생활에서의 가족관계를 다룬 것이고, 영화적인 글이라고 소개했다.미국이 좋았던 것은 소설가인 교수가 직접 가르치는데 학생의 재능을 키워주는 것을 가장 중시, 학년에 얽매이지 않고 재능에 따라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배려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졸업 뒤 음악을 하려고 했으나 아버지가 반대해 카운슬러의 조언에 따라 바로 석사과정을 시작해 1년만인 올해 졸업을 했다. 남보다 학업을 빨리 마치고 나니 아버지가 더이상 말리지 못했다며 웃는다. 그의 학창시절은 마치 한편의 전쟁 같았다. 접시닦이, 서빙 등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면서 공부는 공부대로 빠듯하게 진행하고 음악공부도 열심히 해나갔다. 인터넷을 통해 여러 힙합 뮤지션과 교분도 쌓았다. 영화를 공부하기 위해 뉴욕대에 가려고 한 적도 있었기 때문에 우연히 미국에서 활동하는 영화감독 진원석씨를 만나 4개월간 조감독 생활을 하기도 했다.

   왜 그리 열심이었을까?  “같이 영화를 좋아했던 고등학교 친구를 대학때 잃었어요. 그때 참 많은 생각을 했는데…. 세상에 대한 생각도 많이 바뀌었고, 무엇보다 '시간이 많지 않구나' 하는 것을 절실히 깨달았죠. 미국생활은 여러 유혹이 널려 있고, 저도 때론 유혹을 받았어요. 그때마다 '오늘 술을 마시면 내일 할 일을 못하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 때문에 접곤 했지요. 술마신 뒷날은 매사 천천히 하게 되잖아요?”  그가 본 한국 유학생의 모습은 문제였다. 부모 돈을 흥청망청 쓰면서 인사불성이 되도록 술을 퍼마시는 것도 문제지만 가장 큰 문제는 상당수가 '꿈이 없다'는 것이라고 한다. “왜 공부하는 지를 모르는 것 같아요. 부모가 시켜서 공부하고 잘 하니까 유학을 왔는데 꿈이 없어요. 사회에 대한 책임감도 없구요.” 그래서 외국인 유학생들과 어울리다 보니 중국어와 불어도 능통해졌다고 한다.  

   "음악은 지금 아니면 영원히 못할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지난 3월 귀국했지요. 미국에서 알게된 힙합 프로듀서 최재유 형, 최진씨, CB MASS와 같은 좋은 사람들과 함께 힙합문화를 제대로 알리고 수준을 끌어올리고 싶습니다. 대중문화의 수준이 높아져야 사회 전반적인 문화수준도 높아지는 것 아닙니까.”  눈을 빛내며 자신의 선택을 설명하는 그에게 인생은 어떤 것일까 궁금했다. 질문을 해놓고 인생은 모험이나 도전이라는 답변을 기대했는지 모르겠다. 그런데 답은 의외였다.  “아직 22년밖에 살지 않았는데…. 낭만적인 생각은 없어요. 삶 자체가 결국에는 의미없는 것을 쫓아다니는 것 아닐까요? 기쁨을 주는 것도 많지만 최후의 답은 '믿음'인 것 같아요. 인생이 짧기 때문에 열심히 살아야 하지만 열심히 하다 지칠 때는 늘 신앙이 힘이 되지요. 하는 일과 믿음이 합치되면 목표를 이루는 것이 보다 쉬워지구요. 신앙과 배치되지 않는다면 여러 가지 다 해보고 싶습니다.”  

   인터뷰를 마치자 이선웅이라는 이 '문화적 여행자'에게 기대를 걸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의 존재가 이미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상징하는 하나의 아이콘이므로.

- 유주선 기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03/03 21:45
수정 아이콘
저 낭랑십(팔)세부분 제가 제일좋아하는 부분 ^^;;
05/03/03 22:30
수정 아이콘
역시 학벌위주의 우리나라에서 연예인마저도 명문대 출신이라는 이유에서 화제가 된다는게 씁쓸하네요...(머 물론 타블로가 스스로 방송에서 매력을 발산하기도 하고..물론 MC로써의 랩메이킹능력도 우리나라에서 손에 꼽을정도이기는 하지만...)이러한 기사에 관심을 갖는 것보다는 순수하게 에픽의 음악을 들어보고 좋아하는게 에픽그들한테도 좋을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swflying
05/03/03 22:43
수정 아이콘
jaiun//
타블로...음악인이기도 하지만, 연예인이기도 하죠.
애초에 음악만 할것이었다면 저런 프로 안나왔겠죠.
연예인으로서 명문대 출신은 또하나의 매력입니다.
티비에서 비칠때 누가 똑똑하고 지적인지 판단할 잣대가 없습니다.
명문대라는 건 그들이 왠만큼 똑똑하다는 것을 어느정도 증명하는 것입니다.
멍청한 것보단 똑똑한게 매력이니깐, 화제가 될 수도 있겠죠.

그리고 솔직히 스탠포트 대학을 수석으로 조기졸업하는 건
연예인이아니라
일반인이라도
화제집중 이런데 나와서 화제가 됐을것 같군요..

너무 학벌 위주의 사회도 문제지만
학벌을 아예 뭉개버릴려는 것도 문제입니다.
임성춘향
05/03/03 22:49
수정 아이콘
저는 미스라씨 보고파요.................
타블로씨 쇼프로나와도 에픽하이 음반사서 들어보면 힙합이니깐 그럴수도 있지만 리듬보다는 가사가 너무 좋다는.
TheInferno [FAS]
05/03/03 23:13
수정 아이콘
같이 일해보자는 제의라 -_-;;
막상 좋은거 하나 만들어 놓으면 성과급 몇십만원 달랑 던져주고 끝내는 주제에 인재욕심은 많네요 기업들은. -_-;;
완전갈치그분
05/03/03 23:38
수정 아이콘
낭랑십-8-세~ 푸하하ㅠㅠ
이블낙서
05/03/04 00:18
수정 아이콘
타블로씨가 힙플 라디오(힙합에 관련된 라디오 입니다 ) 팬에대해서 말씀해주셨는데요 음악이 좋아 자신을 좋아하는 사람과 방송인으로써 자신을 좋아 하는 사람 모두 팬으로써 무척 고맙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방송의 모습이 좋아 음악을 듣게 되면서 힙합 혹은 에픽하이의 노래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알수 있는 계기가 되어 무척 뿌듯 하시다고도 했습니다
신의 왼손 Reach.
05/03/04 11:32
수정 아이콘
'힙합 프로듀서 최재유'는 가리온의 JU인가요? 미국 가셨나
핏빛프토...
05/03/04 16:20
수정 아이콘
맞을껍니다 최재유라는 이름의 프로듀서가 JU 밖에 없긴한데
가리온에서 탈퇴하셧을꺼에요
그리고 저는 투컷이 보고싶어요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649 [유머] 명장 본프레레 감독님의 어록 [34] 처제테란 이윤7284 05/06/08 7284
13644 [유머] 자, 오늘도 맞춰BoA요... 최종예선 쿠웨이트전 결과는?? [114] 저녁달빛5967 05/06/08 5967
13487 [유머] 내일 월드컵 최종예선 우즈벡전의 스코어를 예상해Boa요~~! [44] 저녁달빛6239 05/06/02 6239
11323 [유머] [영상]타블로-스타골든벨에서 활약 [9] 한빛짱9513 05/03/03 9513
9621 [유머] 독일 축구팬이 말아는 이번 독일의 패배 이유... [22] 볼드모트5614 04/12/24 5614
9323 [유머] 2006독일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a조 한국 경기일정 [18] Ace of Base3131 04/12/09 3131
6971 [유머] [펌] 축구 너무 빠지면 바보됩니다. [8] LowTemplar4796 04/07/22 4796
6529 [유머] 한국 공군 F-15K Strike Eagle [13] BaekGomToss4284 04/06/29 4284
6412 [유머] 펠레의 본명은 "펠레 노스트라다무스" ㅡㅡ; [12] 드림레오4231 04/06/25 4231
6405 [유머] [정보] 잊혀진 역사 - 2000대 10만의 라이프니쯔 싸움 [13] 구라도리5630 04/06/24 5630
4821 [유머] [펌] 어느 교실에서..*^^* [10] 벌레저그★3619 04/04/20 3619
4773 [유머] 사우디 여성앵커, 남편 폭력으로 망가진 얼굴 공개 [3] 나를찾아서4738 04/04/18 4738
2802 [유머] [펌]71단계 세계 정세 변화 시나리오 - naver 지식인 [23] LowTemplar5610 03/12/22 5610
441 [유머] [펌] 월드컵 끝나고 생긴 속담 [8] 파~4380 02/07/01 43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