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3/06 18:35:51
Name TWICE쯔위
출처 엠팍
Subject [기타] [펌] 인간이 만든 최초의 인공생명체 [데이터]

C. elegans


8Fl8e8K.jpg



바로 이것.. 

Caenorhabditis elegans라는 건 이렇게 생긴 벌레로, 선형동물이다. 한국어로는 예쁜꼬마선충. 
자기네 나라 말로 된 이름이 별로 없는 동물인데 특이하게 한국어로는 있다.

익숙하지 않겠지만 우리에게 좀더 익숙한 선형동물로는 기생충인 편충이 있음. 

(연가시는 '유선형동물'이라는 다른 문에 들어있다)

여튼 이녀석은 흙 속에서 미생물을 먹고 사는, 몸길이가 1밀리 정도에 두께가 0.1밀리쯤 되는 세포수 1000개 가량의 벌레다. 색은 투명해서 눈에는 잘보이지 않는다.
화단 속의 흙에 넣으면 잘 번식하고 사는데, 의외로 자연 내에서의 생태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얘가 중요한 이유가 뭐냐면...

7bcpIhw.jpg




인류가 모든 뉴런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는 첫 동물이자, 현재까지는 유일한 동물이기 때문이다.



뉴런이 몇 개 있고, 어떤 뉴런이 어디에 있는지, 다른 어떤 뉴런들과 어떻게 연결됐는지, 감각기 및 근육과 어떻게 연결됐는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이런 뉴런의 연결성 정보 그 자체를 '커넥텀(Connectome)'이라고 함.





이것은 두 가지의 영향인데,

첫째로, 뉴런 숫자가 아주 적다. 자웅동체와 수컷 두 가지 성별이 있는데, 자웅동체 기준 302개의 뉴런을 갖고 있다고 함.(참고로 수컷은 383개) 뉴런을 연구하는 데 사용하는 또다른 모델동물인 군소(aplysia)는 20000개의 뉴런을 가졌는데 엄청 큰 차이가 있음. 

0ylBhBf.jpg



(위 사진은 군소 중 한 종의 모습. 군소가 신경연구에 많이 쓰이는 이유는 단일 뉴런이 엄청 크기 때문이다.)


둘째로는, 이 뉴런의 연결성 전부를 1986년에 John Graham White라는 훌륭한 과학자가 모조리 전자현미경으로 찍어냈기 때문임. 이게 왜 굉장하냐면,

63yyWIn.jpg



벌레 한마리를 이렇게 단면으로 얇은 포를 떠서(다시 말하지만 얘 길이는 1mm, 두께는 0.1mm다),

7EW8Jr4.jpg




모든 뉴런이 어떤 강도로 어떻게 연결됐는지 전부 알아냈다
이걸 30년 전, 86년도에 해냈다

(상상만해도 엄청난 노가다다... 하다가 손 삐끗하면 다시 해야 하는..)

어쨋든 이 자료들을 우린 오랫동안 손에 쥐고 있었다. 
하지만 다음 영상이 완성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음

g1gCoDV.gif





위 영상은 실제의 이 벌레가 OP50이라는 대장균종(이녀석의 통상적인 먹이)이 
깔린 배지 위에서 헤엄쳐다니는 모습이다. 뭐 이건 중요한 게 아님

60VYmyY.gif



바로 이것. 이것이 뭐냐면.

rIhe2Us.jpg



벌레의 뉴런과 근육, 감각기관을 이런 식으로 프로그램화한 뒤 얕은 물속에 담가둔 모습임.

벌레가 모든 신경과 그 신경의 연결정보를 다 가진 채로 컴퓨터 안에 살아있는 것임.
진짜로 살아있는 생물이라 보면된다


이것으로 별로 감흥이 오지 않는다면, 좀더 감명깊은 영상이 아래에 있다.



감각신경은 '입력'을 받고, 여러 뉴런들을 거쳐 운동신경에 도착하면 그게 근육 역할을 하는 모터쪽으로 '출력'을 내보낸다.

이런 간단한 구조의 프로그램에 단순히 각 뉴런들의 연결정보와 연결강도를 넣고, 그걸 로봇에다가 탑재해서 그저 전원을 켯을뿐이다. 근육 대신 모터가, 감각기 대신 소나 기반의 센서가 달려있을 뿐임.

벽을 만나서 돌아나오는 것이 보이지만 사람이 의도를 갖고 집어넣은 어떤 알고리즘도 없다. 이 로봇에는 단 하나, 이 벌레의 뉴런 연결정보만 들어가 있음.

1분 30초부터는 지금 모든 뉴런들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녹색으로 불이 들어오면 그 뉴런이 지금 활동중이란 거고, 녹색이 짙고 입력란의 숫자가 클수록 그 뉴런이 강력하게 자극받는 중이라는 거. 처음 감각기가 자극을 받으면 여기저기 뉴런들이 바쁘게 활성화되는 모습을 볼수있음.

각각 뉴런이 받고 주는 신호에는 어떤 의미도 없다. 그저 받아서, 받은 강도에 따라 다음 뉴런들에 전달하는 것임. 하지만 그게 모여서 의미를 만들어낸다.
'앞에 장애물이 있으니 돌아가라.'

사람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할 때는 결국 기계어로 번역되건 말건 애초에 알고리즘 자체를 사람이 만든 것이고, 사람이 만들었으니 사람이 보기에 해석할 수 있는 구조를 지녔음. 하지만 이건 아니다.

그러니까 이건 인공지능이 아니다. 그냥 세상에 존재하는 지능을 그대로 컴퓨터 속에 넣은 것임. 단순히 신경이 어떻게 연결되었는가, 오로지 그 정보만을 넣었는데 저렇게 장애물을 회피하고 꾸물거리며 전진하는 것임(!)

이것이 불과 작년의 일이다.




​ 
만일, 302개의 뉴런을 가진 벌레가 아니라 30억 2천만 개의 뉴런을 이렇게 시뮬레이션했다면(사람 피질이 100억개쯤), 어쩌면 이동을 멈추고 스피커를 켜서 이런 음성을 내보낼지도 모른다.

"주인님, 제게도 영혼이 있습니까?"

그렇다면 만든 사람은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HQtYXOs.jpg



"물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삼비운
18/03/06 18:38
수정 아이콘
어라.. 이거 pgr 추게에서 봤던 글인데... 혹시 어디서 구하셨나요? 출처가 엠팍이군요,. 글쓴이가 두군데 다 쓰신건가 싶네요.
18/03/06 18:39
수정 아이콘
https://pgrer.net/pb/pb.php?id=freedom&no=57174&page=2&divpage=15&ss=on&sc=on&keyword=%EC%84%A0%ED%98%95

이 글인데 이거도 맨 밑에보면 네이버 블로그 출처가 있더라구요
삼비운
18/03/06 18:41
수정 아이콘
이렇군요. 추게가 아니라 자게에 있었군요.. 찾고 있었는데.. 빠르시네요.
18/03/06 18:41
수정 아이콘
저도 PGR 출처글인줄 알고 바로 찾아봤었거든요 크크
TWICE쯔위
18/03/06 18:43
수정 아이콘
헐 3년전 자게에도 올라와있었네요...크크크크
난 왜 몰랐지?
18/03/06 18:48
수정 아이콘
그땐 관심없던 내용이었나봐요
고란고란
18/03/06 20:33
수정 아이콘
어쩐지 어디서 본 것 같더라니.
러블리맨
18/03/06 18:39
수정 아이콘
지적설계론자들이 진화론을 거부할때 자주쓰는 표현들이 좀 보이네요.
저 작은 생명체가 저렇게 말도 안되게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다니 자연은 참 오묘합니다.
티모대위
18/03/06 19:32
수정 아이콘
저게 인간이 분석하는 모든 동물 중 가장 단순한데도 저리 복잡한 것이죠..
노련한곰탱이
18/03/06 18:44
수정 아이콘
갓파고님 충성충성충성....이게 아닌가??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8/03/06 18:44
수정 아이콘
영혼은 있지만 너는 내 소유물^^
MissNothing
18/03/06 18:45
수정 아이콘
이게 시초가되서 인공신경망 딮러닝이나오고 알파고님이 등장하셧습니다.
미나사나모모
18/03/06 18:51
수정 아이콘
알파고님 충성충성!!
Rorschach
18/03/06 19:1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영혼이 없다고 믿어서 저 예쁜꼬마선충의 프로그램화가 상당히 재밌게 다가오더군요.
18/03/06 19:17
수정 아이콘
생명의 에뮬레이터
한쓰우와와
18/03/06 20:05
수정 아이콘
나무위키에서는 저 시뮬레이션도 완벽한 것은 아니라고 써 있네요.
아직 연결 강도에 대한 정보가 없다고
출처가 출처긴 합니다만....
18/03/06 20:41
수정 아이콘
인공지능과 대비되는 자연지능을 기술로 재현했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7317 [기타] 드라마 미생 주요인물들 스펙.TXT [23] 비타에듀13653 19/07/10 13653
356870 [기타] 기계스밍은 명함도 못내밀던 시절.jpg [44] 매일푸쉬업10427 19/07/05 10427
355465 [기타] 쓸데없지만 멋있는 기계 [4] OrBef9549 19/06/18 9549
353816 [기타] 기계 의수를 처음으로 착용해보는 12살 소년 [27] 검은우산11303 19/05/26 11303
347391 [기타] 50년대의 기계식 계산기 [4] Lord Be Goja8756 19/03/10 8756
340443 [기타] 세계 최고의 스턴트맨 [10] 치토스11174 18/12/01 11174
337406 [기타] 증기기관차의 원리 [36] OrBef11894 18/10/24 11894
335518 [기타] 뚝딱뚝딱 귀르가즘 [13] 서린언니8818 18/09/30 8818
330073 [기타] 200년 전 어떤 나라의 기술 [29] Neo17394 18/07/03 17394
329092 [기타] 대륙의 파리잡는 기계.swf [25] TWICE쯔위11500 18/06/16 11500
328570 [기타] 헤드폰 쓸 관상 봐주는 기계 [10] Lord Be Goja8370 18/06/07 8370
328481 [기타] 이것은 성 갈등 유발 글이 아닙니다 [38] 콜드플레이12903 18/06/05 12903
327891 [기타] 국내 팬이 작성한 어벤져스4 시나리오 (스압/스포) [34] swear16460 18/05/24 16460
327172 [기타] 오랫만에 다시 보는 '그 광고' 풀버전 [41] Lord Be Goja13995 18/05/10 13995
323076 [기타] [펌] 인간이 만든 최초의 인공생명체 [데이터] [17] TWICE쯔위10056 18/03/06 10056
322088 [기타] ms 윈도우즈 폰 기술지원포기 [3] Lord Be Goja6349 18/02/19 6349
321017 [기타] 품격있는 자취하는 남성분들을 위한 미래 아이템.5mb [9] Lord Be Goja8136 18/02/02 8136
320711 [기타] 살면서 흔히 볼 수 없는 장면 [28] 한박10916 18/01/29 10916
317904 [기타] AI로 유명인의 얼굴을 빌려 가짜 포르노 영상을 만드는 기술 개발 중 [84] 유진호19042 17/12/12 19042
315948 [기타] 휴게소 간식 2대장 [47] mumuban11517 17/11/10 11517
315797 [기타] 기계 덕후 이건희 [57] Remastered18058 17/11/08 18058
312458 [기타] 키보드계의 롤스로이스.jpg [62] eosdtghjl14275 17/09/11 14275
308109 [기타] [원시기술] 인류 최초의 자동기계는 어쩌면 이런 모습이었을지도... [5] 홍승식6442 17/06/28 64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