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7/22 10:39:10
Name 길갈
File #1 164bf9746d547f450.png (69.8 KB), Download : 23
출처 공식
Link #2 http://m.ruliweb.com/news/board/1003/read/2160666
Subject [게임] 오버워치 리그 결승 대진 완성


알고보니 5,  6위가 힘을 숨긴 거임!


각 라운드를 지배하던 1234위가 모두 떨어지고
준준결승전부터 암벽등반을 한 56위가 결국 갑니다.

결승전은 뉴욕팀 없는 뉴욕에서 짜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생각안나
18/07/22 10:41
수정 아이콘
힘숨찐
18/07/22 10:44
수정 아이콘
뉴욕이 이렇게 탈락할 줄이야,
옵드컵 대표위원회 멘붕할듯 크크크크
바다표범
18/07/22 10:49
수정 아이콘
뉴욕이 졌다니 크크크
손나이쁜손나은
18/07/22 10:50
수정 아이콘
야 결국 대리가..
게섯거라
18/07/22 10:53
수정 아이콘
대리 정의구현 가야할듯
Mephisto
18/07/22 10:55
수정 아이콘
오늘 경기보면서 참 아쉬웠던게 파도우가 긁히는 날인데 조합 맞춘다고 파인을 빼버리고 파인이 있어도 위도우를 빼는 식으로 팀합만 생각하는 운영을 보여주더군요.
심지어 쪼낙에게 로드호그를 들려주는 모습까지.....
우리나라 Esports 무대를 보면서 항상 아쉬워했던 부분입니다.
팀보다 위대한 선수는 없다는 표현을 틀리다고는 생각안하지만 그 팀을 위대하게 만들어주는 선수는 분명히 있습니다. 그리고 우린 그걸 크랙이라고 부르죠.
우리나라 Esports 씬은 이 크랙이라는 요소가 경기에 끼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너무 무시해요.
아무리 메타가 변해도 크랙이라고 불릴만한 월클급 플래이어라면 그 메타마져 씹어먹는 플래이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숫자상의 불리함조차 클러치플래이로 씹어먹는데 메타차이 정도는 그에 비하면 훨씬 쉽죠.
심지어 오버워치는 저격밴같은걸로 끊지도 못함에도 자신들이 자진해서 그걸 봉인해주는건 정말 어리석은 운영이라고 생각합니다.
BloodDarkFire
18/07/22 18:25
수정 아이콘
쪼낙에게 로드호그는 나름 일리있는 밴픽이었습니다. (2탱/3딜/1힐)
선수들의 피지컬이 올라감에 따라, 최근 각 팀 사이에서 젠야타 대신 자힐이 가능한 캐릭터를 대신 넣는 조합이 유행이라 하더군요.
손금불산입
18/07/22 22:50
수정 아이콘
요즘메타에서 젠야타가 할 일이 별로 없죠. 저격 한방 위주가 포커싱을 하는 것도 아니고 앞에는 오리사 방벽뿐이니
Mephisto
18/07/22 23:01
수정 아이콘
그 젠야타가 클러치를 몇번을 했습니다....
젠야타가 메타에서 할일이 별로 없는건 틀린말이 아니지만 애초에 쪼낙은 젠야타를 젠야타스럽게 잘해서 엠브이피 받은게 아니에요.
파인의 위도우도, 쪼낙의 젠야타도 메타를 거슬러 경기를 터뜨릴 수 있는 힘을 몇번을 보여줬습니다.
크랙이 뭔지를 보여줄 수 있는 상황에서 그 크랙을 자신들이 봉인시켰죠.
손금불산입
18/07/22 23:31
수정 아이콘
브리기테 때문에 겐지 트레이서가 반봉인되고 윈디로 포커싱하는 대신에 부조화도 못붙이는 오리사 방벽 뒤나 단독포지션을 선점하고 멀리서 스나이퍼 싸움에 크게 기대는 상황에서 결국 젠야타가 이전만큼 변수를 만들어내기가 힘들수 밖에 없죠. 난전속에서 쪼낙의 딜링과 에임이 빛나긴 합니다만 일반적인 대치 공격 상황에서 쪼낙이 뭘 해내긴 어려웠습니다. 쪼낙뿐 아니라 붐박스마저도 한타를 이기는 장면에서조차 궁게이지가 거의 안차는 상황이 여럿 있었어요. 이건 실력 이야기 할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준결승부터 4팀이 그냥 서브힐러를 아예 플랙스화 시켜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비도신이 대박나서 준결승 역스윕한게 런던이죠. 그냥 뉴욕으로써는 운이 없었다고 밖에...
compromise
18/07/22 11:00
수정 아이콘
뉴욕은 딜러진들의 영웅폭이 발목을 잡아버리네요. 유연하게 조합을 못바꾼 게 컸어요.
Mephisto
18/07/22 11:08
수정 아이콘
전 그 반대로 생각합니다.
파인은 경기내내 나왔어야하고 파도우도 경기내내 나왔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18/07/22 11:15
수정 아이콘
오늘은 파인 아나모가 쭉 갔었으면 정말 몰랐을지도. 파인 한조도 잘 긁혔는데 아쉽아쉽
compromise
18/07/22 11:31
수정 아이콘
전 위도우만 쓸 수 있는 파인이 패배의 큰 원인이라고 생각해요. 생각은 다르니까요 사람마다.
레가르
18/07/22 11:47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파인은 1세트에서 경기력을 봤다면 무조건 계속 썼어야 했죠. 보면 플옵 필라를 상대하던 보스턴이냐 뉴욕이 아마도 스크림의 영향일수도 있지만, 필라와 2스나 싸움 가는걸 무조건 피하더군요.
오늘 같은 날은 그냥 2스나 싸움 해야 한다면 하는게 맞았다고 봅니다. 파인이 1세트 카르페와 비교했을때 밀리지도 않고 오히려 앞서 나갔으니까요. 이러면 준비한 전략이 있었더라도 파인을 계속 기용했어야 한다고 봅니다.
18/07/22 11:03
수정 아이콘
오버워치나 롤이나 요즘 트렌드는 완성도 보단 조합인가...
18/07/22 11:14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좋은 장면은 많았지만 아쉽네요.
뉴욕이 엘덥했어요. 시즌 중반에 좀 유연해졌나했더니 예전의 친숙하고 답답한 그 향기가 풀풀... 흑흑
젠야타
18/07/22 23:39
수정 아이콘
여기에 한표
늘 우승후보로 손꼽혀왔지만...정작 그 때가 오면 ㅠㅠ
Ethereum
18/07/22 11:14
수정 아이콘
근데 이게 리그기간이 기니까, 롱텀 기간동안 아무리 잘해봤자 6위안에 들고 플레이오프 짧은기간에 컨디션 좋은팀이 우승할 수 있는 구조인거같네요.
좋은건지, 나쁜건지..
18/07/22 11:16
수정 아이콘
그 사이에 메타가 바뀌어버렸는데 그게 상위권 팀들한테 상대적으로 안맞아버린 상황이 되버렸네요. 그래도 진건 진거지만.
정인호 해설도 오늘 언급했다시피 이스포츠는 업데이트의 영향을 너무 크게 받습니다.
Ethereum
18/07/22 11:26
수정 아이콘
제가 스타크래프트를 볼때 가장 좋았던게, 게임내적으로 변경되는게 없어도
상당히 다양한 종류의 전략들이 그래도 많이 나왔었기 때문인데
롤이나 오버워치나.. 요즘 e스포츠 게임들을 보면 너무 빠르게 게임이 바뀌어버리니까
보기만 하는 게임들이 너무 크게 바뀌어버리면 시청하는데 의문이 드는게 많아지고 굉장히 꺼려지게 되더라고요.
VrynsProgidy
18/07/22 11:23
수정 아이콘
몇달동안 시즌 내내 붙은 팀들끼리 또 붙는데 마지막에 붙었을때 모든게 걸려있는 구조가 좀 기형적이긴 합니다. 크보랑 똑같은건데 크보에서도 맨날 정규시즌 우승도 존중해달라는 말 나오는거 보면 디비전을 빨리 나누는게 답임
18/07/22 11:40
수정 아이콘
뭐 전형적인 미국식 프로스포츠 아니겠습니까..흥행 요소를 넣어줘야 사무국입장에서 좋겠죠.
물론 준결승 직행이라는 좋은 메리트야 있지만 체력적 부담이 덜한 이스포츠다 보니 오히려 실전감각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더 크게 느껴지네요.
깜짝 전략 같은것도 어차피 일회성이고, 기본이 다전제인데다가 같은 전장 내에서도 점령 이후, 거점 구간별 아예 새로 스타트하는 느낌이니 준비기간이 길다는 이점도 희석되는 데다가 메타 자체도 빠른 픽변경이 대세라서 진득하게 스노우볼링 굴리기고 쉽지 않고 거기에 플레이오프 시작과 동시에 패치적용이라는 변수까지...!
스테4에서는 부진했다고는 해도 시즌 전체로 보면 압도적인 최강자였는데 많이 아쉽네요. 그나마도 오늘 파인이 바이오리듬 최상이 아니었으면 비벼지지도 않았을 준결승.
18/07/22 11:48
수정 아이콘
뭐 최소한 한국식은 '정규 우승팀은 결승 직행' 이라는 확고한건 주는데.....


그리고 야구의 경우 웃프게도 체력안배등의 메리트가 크다보니 사실 정규시즌 우승팀이 실제 최종 우승을 보통 해버려서 못한 경우가 2000년대 와선 드문..
오타니
18/07/22 11:51
수정 아이콘
기형적이라기엔 축구빼고 대부분 스포츠가 그렇죠.
VrynsProgidy
18/07/22 11:58
수정 아이콘
그래도 미국 스포츠나 일본 야구 같은 경우 디비전이 나뉘어 있어서 인터리그 경기는 몇경기 안되기 떄문에 각 디비전 별 강팀을 모아 진짜 챔피언을 가린다는 최소한의 명분은 있으니까요.

옵치리그도 사실 디비전이 나뉘어 있기는 한데 지금은 거의 풀리그 수준이라..
오타니
18/07/22 13:10
수정 아이콘
컨퍼런스나 디비전이 존재안하는 대부분의 유럽 스포츠 리그에서도 마찬가지에요. 단일리그에서 투닥거리다 플레이오프 나가서 잘하는 팀이 그해 우승팀입니다. 플레이오프에 명분이랄게 필요한지 모르겠어요. 최강팀을 가리는 방식 중 하나일뿐인데요.
VrynsProgidy
18/07/22 14:39
수정 아이콘
유럽 스포츠 어떤 리그가 컨퍼런스도 디비전도 없는데 풀리그에 플옵을 돌리나요?? 저는 어지간한 구기종목들 다 구분하는걸로 아는데
오타니
18/07/22 15:53
수정 아이콘
[농구]
독일 https://en.wikipedia.org/wiki/2017–18_Basketball_Bundesliga
러시아 https://en.wikipedia.org/wiki/2017–18_VTB_United_League
스페인 https://en.wikipedia.org/wiki/2017–18_ACB_season
호주 https://en.wikipedia.org/wiki/2016–17_NBL_season

[럭비 리그]
잉글랜드 https://en.wikipedia.org/wiki/Super_League_XXII
호주 https://en.wikipedia.org/wiki/2017_NRL_season#Ladder

[럭비 유니언]
잉글랜드 https://en.wikipedia.org/wiki/2017–18_Premiership_Rugby
프랑스 https://en.wikipedia.org/wiki/2017–18_Top_14_season

[배구]
러시아 https://ru.wikipedia.org/wiki/Чемпионат_России_по_волейболу_среди_мужчин_2017/2018
이탈리아 https://en.wikipedia.org/wiki/2017–18_SuperLega

[아이스하키]
독일 https://en.wikipedia.org/wiki/2017–18_DEL_season
스웨덴 https://en.wikipedia.org/wiki/2017–18_SHL_season
스위스 https://en.wikipedia.org/wiki/2016–17_NLA_season
러시아(+기타 유럽) 리그는 양대 컨퍼런스

[크리켓]
인도 https://en.wikipedia.org/wiki/2018_Indian_Premier_League
파키스탄 https://en.wikipedia.org/wiki/2018_Pakistan_Super_League
호주 https://en.wikipedia.org/wiki/2017–18_Big_Bash_League_season
잉글랜드 리그는 양대 디비전

[호주풋볼]
https://en.wikipedia.org/wiki/2017_AFL_season

핸드볼 정도만이 플레이오프가 없이 정규시즌으로 순위를 결정합니다. NHL의 프레지던츠 트로피처럼 정규시즌 1위팀에게 따로 트로피를 주는 경우도 있지만 권위에서 플레이오프 우승 트로피에 밀리죠.
나를찾아서
18/07/22 11:37
수정 아이콘
지금 트위치에서 하는 경기는 녹화경기인가요? 뉴욕 대 필라델피아 경기요.
레가르
18/07/22 11:44
수정 아이콘
네. 녹화경기입니다. 모든 경기 끝난상태이고, 현재 재방송 보여주고 있죠
18/07/22 11:48
수정 아이콘
생방은 한국시간 아침8시부터 진행했습니다
레가르
18/07/22 11:39
수정 아이콘
필라야 뭐 이코+카르페는 시즌 동안에도 인정받는 딜러였고, 이 딜러들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메타라서 기대해봄직 했는데 런던은 정말... 플옵 3:0으로 질때만 해도 끝인줄 알았더니 그 이후로 완전 다른팀이 되더니 결승까지...
뉴욕이 숨긴 힘을 런던이 찾아서 써버렸네요 크크..
무튼 결승 북미 vs 유럽 대진이 완성되었네요. 그리고 뉴욕없는 뉴욕경기장에서 경기 흐흐.. 결승전날 뉴욕팀 홈커밍 데이인것도 크크
Mephisto
18/07/22 12:14
수정 아이콘
런던은 오히려 메타에 익숙해지기보다 자신의 컬러를 메타에 덮어씌우면서 떡상했다고 생각합니다.
부산시절부터 보여줬던 완벽한 팀웍을 기반으로한 전격전을 잘 보여줬죠.
시즌 말에 들어서면서 다국적 팀의 팀합 역시 잘 맞는 모습을 보여주기는 했지만 런던의 한명이 플래이하는 듯한 수준의 팀웍으로 순간적으로 치고들어오는 한타를 받아내는건 팀적인 움직임으론 힘들다고 생각하기에 런던과 필라델피아의 결승은 결승 진출의 주역인 이큐오와 카르페의 클러치 플래이가 얼마나 터지느냐에 따라 승부가 갈릴거라고 생각합니다.
화이트데이
18/07/22 11:47
수정 아이콘
뉴욕 당연히 이긴줄알고 안봤는데 헐...
Mephisto
18/07/22 12:17
수정 아이콘
사실 목요일 1차전에 뉴욕이 떡실신 당한 수준이라...
오히려 3:2로 분패한게 더 놀라웠어요.
NㅏRㅏ
18/07/22 12:3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오버워치에서 전혀 힘을못쓰나요...? 출전을 안한것인가...
18/07/22 12:43
수정 아이콘
주전 선수 절반 이상이 한국인입니다.
NㅏRㅏ
18/07/22 12:48
수정 아이콘
아 그런거였군요
레가르
18/07/22 12:53
수정 아이콘
지역 연고로 진행되는 대회다보니.. 한국지역 연고는 서울팀 하나뿐인데.. 이번시즌 성적이 좋지 못했고, 저기 보이는 뉴욕과 런던은 모두 한국인으로만 구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팀에도 한국인이 많이 있구요. 전체리그를 기준으로 참가 선수중 절반이 한국선수입니다.
My Poor Brain
18/07/22 18:53
수정 아이콘
런던 이기길 바라면 되는건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6808 [게임] 완전히 곱창나버린 롤체 9.5 초반 밸런스 [22] 만찐두빵8817 23/09/15 8817
482642 [게임] [철권] 네이션스 컵 결승 결과 [21] 시린비6547 23/07/10 6547
468270 [게임] 스크림이 잘되어서 신난듯한 발로란트 T1 선수 [7] Valorant7197 22/11/30 7197
361855 [게임] [오버워치] 오랜만에 경기 본 사람들 혼란에 빠지는 장면 [11] 손금불산입6271 19/09/01 6271
360964 [게임] T1 도타 팀 창단? [26] 이호철7302 19/08/22 7302
356206 [게임] 결국 오버워치가 스테4부터 2/2/2를 강제합니다 [77] DewRas8618 19/06/27 8618
340274 [게임] 해변김 : 프로게이머의 시작은 임요환부터.jpg [88] 손금불산입13260 18/11/29 13260
331519 [게임] [하스] SKT T1 Xixo! [17] 은하7203 18/07/29 7203
331469 [게임] [OWL] 그랜드파이널 1차전 4set 클립 (스포일러 포함) [15] 손나이쁜손나은3935 18/07/28 3935
331124 [게임] 대한민국 고인물들 근황 [33] msu11273 18/07/22 11273
331113 [게임] 오버워치 리그 결승 대진 완성 [41] 길갈6366 18/07/22 6366
324990 [게임] [배그]방금 나온 극적인 상황 [24] 배틀그라운드9519 18/04/03 9519
322742 [게임] [배그] PWM 최종 자기장.. [27] 배틀그라운드9614 18/03/01 9614
321653 [게임] '사신' 오승주, 배그 해설 대뷔.jpg [22] 자전거도둑7827 18/02/11 7827
320063 [게임] 프로게이머 대뷔하는 정준영의 전적을 알아보자.jpg [63] 자전거도둑17896 18/01/18 17896
319809 [게임] [베그] NTT 새로운 맴버 현황.avi [7] Archer5666 18/01/14 5666
319585 [게임] [배그][거피셜] KSV_NTT 새맴버는 주원 [4] Archer7389 18/01/11 7389
319416 [게임] [배그] C9 현황 [14] Archer10751 18/01/08 10751
319413 [게임] [배그] 3쿼드 NTT의 어제까지 현황 [10] Archer5644 18/01/08 5644
319410 [게임] [옵치&베그] 팩트라서 반박을 못하겠네..(욕설 주의) [17] Archer8287 18/01/08 8287
318876 [게임] 해외유명게임단 C9, 한국배그스폰팀 확정.jpg [33] 자전거도둑8526 17/12/29 8526
318862 [게임] OGN+아프리카 배틀그라운드선수 징계 내용 [43] 자전거도둑9134 17/12/29 9134
318371 [게임] [베그] G9: 스크림 안가리고 다 참여하겠다 [11] Archer7604 17/12/21 76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