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11/02 09:30:24
Name 다크템플러
출처 2차 레딧
Link #2 https://www.famulei.com/share_dynamic?dynamic_id=962552
Subject [LOL] LMS 해설자가 푸는 스크림 썰 (수정됨)
RNG는 대회전 팀간 스크림 과정에서 원딜보호전략으로 성공함 - 40경기 무패 기록
아마 이게 자만심을 불러왔을것

RNG는 대부분의 아시아팀들, 가령 FW-KT 등과 같은 스크림그룹 꾸림
결국 다같이 집에감

탈락팀들 사이에선 만장일치로 IG가 우승할거라고 꼽히는 중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루트에리노
18/11/02 09:34
수정 아이콘
스크림도르는 항상 역배네요
딜이너무쎄다
18/11/02 09:43
수정 아이콘
삼성화이트, 15 skt의 사례가 있지 않습니까...
루트에리노
18/11/02 10:25
수정 아이콘
최근엔 항상 역배다보니 스크림도르 우승=광탈이라는 이미지가 생긴거같아요
곽철용
18/11/02 10:15
수정 아이콘
역배가 기억에 남는거죠
루트에리노
18/11/02 10:26
수정 아이콘
흠 아무래도 그렇겠죠
킹존이 msi 스크림도르 우승이었던게 이미지가 강하게 박히네요
불굴의토스
18/11/02 11:00
수정 아이콘
13슼이랑 로얄 스크림할때

타베가 계속 졌다고 너무 세다고 했었는데

TPA에 너무데인 한국팬들은 각 안풀었던기억이
마그너스
18/11/02 11:42
수정 아이콘
거기에 조별 예선 첫경기에서 무너지기도 했었죠 그래서 시작전까지 은근 불안했습니다
파이몬
18/11/02 09:34
수정 아이콘
40경기 무패 크크크
18/11/02 09:35
수정 아이콘
크크크
캐간지볼러
18/11/02 09:37
수정 아이콘
탈락팀들 사이에서 IG가 꼽힌다면... 프나틱이 우승 아닐까요???
18/11/02 09:40
수정 아이콘
최고 레벨 팀들끼리 팟을 짰다고 생각했는데 결과적으로는 8강두천....ㅠ 크크
코우사카 호노카
18/11/02 09:44
수정 아이콘
8강따리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ㅠㅠ
비익조
18/11/02 09:46
수정 아이콘
어휴 밥들이 모여서 연습을 했으니 원.
18/11/02 09:48
수정 아이콘
뭔가 익숙한데... 마치 작년 skt kt 스크림썰을 보는거 같은...
18/11/02 10:03
수정 아이콘
이판 최악의 파트너십..
파이몬
18/11/02 12:19
수정 아이콘
대체 뭘 배워온거냐..는 말이 결승 보면서 절로 터져나왔던..
그런데 똑같은 대사를 선발전 보면서 하게 될 줄은 상상도 못 함
18/11/02 09:49
수정 아이콘
시즌2때랑 비슷한 양상이죠
한국이 Tpa상대할때 레퍼드가 해설로나와 스크림에서 한판도안졌다 뭘해도 압살했다했죠
당시 tpa가 우승할거라 예상한사람은 제가 기억하기로 세비말고 없었습니다
세비는 녹턴발사시절의 tpa때부터 세계최강팀으로
M5,we가아닌 tpa를 뽑았죠
핫포비진
18/11/02 09:51
수정 아이콘
8강따리 조별따리끼리 스크림했으니 당연한 결과입니다만? ㅜㅜㅜ
Faker Senpai
18/11/02 10:42
수정 아이콘
북미나 유럽에서 안끼워줬군요 ㅠ.ㅠ
허저비
18/11/02 09:53
수정 아이콘
40경기 무패인데 그 상대에 KT도 있었다는건 ...
정은비
18/11/02 09:53
수정 아이콘
레퍼드도 대화중간에 미친정글러들때문에 메타가 바꼈다고 그랬으니 이해가 갑니다.
pppppppppp
18/11/02 09:55
수정 아이콘
RNG는 진짜 한 편으로는 안타깝네요 크크 운이 없는듯
메가트롤
18/11/02 10:00
수정 아이콘
프나틱 우승이네
대관람차
18/11/02 10:01
수정 아이콘
이런걸 보면 스크림 성적이 중요하긴 하지만 누구랑 하느냐가 더 중요한 것 같아요
18/11/02 10:02
수정 아이콘
이래서 다양한 팀들과 스크림하는 게 중요한데...
하하맨
18/11/02 10:12
수정 아이콘
스크림도르와 현실은 정말 다르네요. Rng가 40승 무패라니..
지니쏠
18/11/02 10:15
수정 아이콘
대회전 스크림이니 대회중에 메타가 바뀐건 반영이 안됐다고 봐야겠죠. 실제로 kt와 스크림팀을 꾸린건 대회 시작 이후이니, 그뒤 전적은 어땠을지 모릅니다.
달콤한휴식
18/11/02 10:17
수정 아이콘
음??? 팀 이야기가 있네요?? 복한규는 개인방송에서 자기는 절대로 결승 예측 안할거라고 했는데.... 연습해주는팀이 코멘트하는순간 그 팀들 전략에 영향이 가서 말 안한다고 하더라구요
아지르
18/11/02 10:31
수정 아이콘
한팀이 압승할거라고 했는데 그게 어디라고는 말을 안한..
복슬이남친동동이
18/11/02 10:22
수정 아이콘
8강따리 중국팀 : 역시 날 위협할만한건 케이티뿐이군...
8강따리 한국팀 : 하늘 아래 두 태양이 있을 수 없다... 만만치않은데..?
내일은해가뜬다
18/11/02 10: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RNG: 와 너희 kt의 미드는 과거 페이커 전성기를 보는듯 하는군~ 신인이라지만 정말 만만치 않은 상대야
KT: 후... 너희 역시 세체팀 미드!! 우지보다 바로 너 샤오후가 더 팀의 기둥인거 같군.... 정말이지 우리가 만나면 역대 최고의 명승부가 되겠어!

그리고 8강에서 루키와 퍽즈 장군님을 만나게 되는데..
18/11/02 10:27
수정 아이콘
지들끼리는 얼마나 좋아했을꺼야 크크크
18/11/02 10:42
수정 아이콘
다른건 잘모르겠는대 rng의 방식이 잘못된거같네요.. 걍 원딜 지키기 조합 하나로 롤드컵 우승할려고 들다니..무빙 한걸음 한걸음에 죽고 사는기 결정 되는조합은 리스크가 너무 큰게 팩튼대.. 우지 때문에 어쩔수없이 저렇기 짜인걸까요
불굴의토스
18/11/02 10:58
수정 아이콘
MSI때까지만 해도 그걸로 프나틱 압도했고 롤드컵 8강에서도 첫경기에선 완벽히 먹히긴했죠.
결론적으로는 어떻게보면 한국보다 메타파악 잘못한듯..
18/11/02 11:28
수정 아이콘
그것도 결과론적인 이야기인거 같아요. 원딜 지키기 조합으로 결승까지 갔다면 "역시 RNG는 우지 지키기 전략이야!" 했겠지만 8강 G2에게 탈락하고서는 "RNG의 우지 지키기 전략은 실패다" 이런말도 나올수 있는거죠.

그런데 반대로 생각하면 "야 우리가 이걸로 자국리그에서 정점 찍었고 국제전이라 할 수 있는 MSI에서도 킹존 누르고 우승에 롤드컵 직전 스크림에서도 본인들의 전략이 통했고 조별리그에서도 먹히네?" 이러는데 이걸 버리고 간다? 라는걸 택할 사람이 있을까도 싶네요.
곽철용
18/11/02 11:32
수정 아이콘
결과가 나오고나서야 그렇게 말할 수 있지만
그걸로 일년 내내 해먹은데다 스크림도 계속 이기는데 막판와서 바꾸는 것도 쉽지 않은 판단이죠. 그게 틀린 결정이 될 수도 있구요.
끝없이 혁신해서 계속 성공한 사람들이 대단한거죠.
사운드커튼
18/11/02 13:33
수정 아이콘
그 리스크를 짊어지고 한 해 동안, 심지어 연습 때조차 진 적이 없다면 걸어볼만 하죠.
애플주식좀살걸
18/11/02 10:48
수정 아이콘
답은 정글이다
쿼터파운더치즈
18/11/02 10:52
수정 아이콘
루시안픽이 에러였다고 생각합니다 루시안 싫다고 꼴픽하던 예전 우지 성향이나 성격상 본인이 자청해서 루시안 뽑았을 확률은 제로에 가깝다 보고 아마 코칭스태프나 전체적인 조율 통해 뽑았던거 같은데..애초에 우지밍은 라인전 최약캐 골라도 항상 역상성 뒤집고 팼었죠 미드에 힘을 딱 실어줬어야 했는데 스크림때 저런식으로 준비했다는거 보면 루시안으로 초반에 기세잡고 그거로 스노우볼 굴리려했나보네요
이비군
18/11/02 11:06
수정 아이콘
Rng도 1년내내 똑같은 방법으로 모든 대회우승했는데 롤드컵 들어와서 전략 바꾸는건 불가능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긴 하네요
곽철용
18/11/02 11:37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그 분 말투로)
어느 분야든 지속된 성공이 보장되는 것으로 보이는 전략을 갑자기 버리고 새 시대에 발맞추는 사람들은 천재중에 천재입니다.
계속 정답만 얘기할 수 있는건 결과가 나오고 말하면 되는 팬들과 평론가 밖에는 없습니다. 지도자가 오답을 내게 되는건 승부가 계속되는 현대 스포츠에서 필연이죠.
불굴의토스
18/11/02 15:14
수정 아이콘
그렇죠. 한국팀들이 바꾸기 힘들었던것과 같은 이치죠.
RNG는 MSI때 기억으로 프나틱이나 서양팀은 상대로 생각도 안했을것같은데..
18/11/02 11:24
수정 아이콘
저걸로 LPL 정상에도 올랐고 MSI도 먹었으면 메타를 바꾸기가 쉽지 않았을걸로 생각합니다. 뭐 마지막 세트때 우지가 랜턴 2번만 제대로 탔으면 어찌 됐을지 모르겠지만 말이죠..
유자농원
18/11/02 11:50
수정 아이콘
IG가 압도적인가보네요 김새네...
랜슬롯
18/11/02 12:06
수정 아이콘
RNG가 이겼으면 그게 정답이였고 졌으니 그게 실패한 전략이 됬던 거죠. 우지의 기량을 생각하면 사실 선택자체가 잘못됬다고 보긴 힘들기도 한것같습니다. 그냥 운이 없었던 것뿐... 그리고 스크림에서 지나치게 이겨서 어느정도는 과신하지 않았나 싶기도 한데 근데 이것도 결과론적인 이야기죠. 사실 충분히 자신감 있을만했고 G2 상대로 질거라고 예상한 사람 거의 없었다는 걸 감안한다면 방심하지 말았어야지 라는 결과론 적인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지만 뭐 -_-; 방심할만했죠.

아무튼 근데 하나 명심해야할건 스크림 결과를 맹신하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그게 좋은 결과든 나쁜 결과든요.
시네라스
18/11/02 12: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스크림 결과에 팀들이 진심으로 방심했을 것 같진 않고(스크림도르가 이전에도 없던건 아니었으니) 준비방향의 문제인것 같아요
한국팀들의 경우 그동안 롤드컵 우승팀들을 배출하고 운영과 시야싸움을 갈고 닦으면서 리스크 플레이에 대한 훈련을 하질 못했고
RNG의 경우에는 1년 내내 성공한 방식을 지금와서 쉽게 바꾸긴 힘든건 이해하는데 아시아팀들 위주로만 스크림을 준비한건 결국 패착
이번에 유독 심해보이는건 결국 롤드컵 대회 도중 메타가 급변했고, 이에 대해서 처음부터 캐치한 팀들이 얼마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처음부터 탑카드 2장과 루키를 통해 폭넓은 선택이 가능했던 IG를 제외하면 아시아 팀들이 죽쑨게 이해가 갑니다.
우리는 하나의 빛
18/11/02 13:02
수정 아이콘
마지막 문장이....
라이츄백만볼트
18/11/02 14:54
수정 아이콘
탈락팀들 사이에서 IG 우승썰 나온다는거 보니까 갑자기 프나틱이 유리해보이는 이 기현상은 대체...
딱총새우
18/11/02 17:59
수정 아이콘
바르셀로나 트리플했는데 곧바로 빅쌤 선임해서 뻥축구하라면 잘할까요.
18/11/03 06:28
수정 아이콘
거의 모든 관계자들이 압도적으로 IG우승을 점치는 분위기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9585 [LOL] 경기 전 손 푸는 퍽즈 [3] iwyh6479 20/06/21 6479
378026 [LOL] 울프가 푸는 SKT 개족보썰.jpg [18]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살인자들의섬10987 20/02/22 10987
370596 [LOL] 2014년 로얄클럽 썰을 푸는 인섹 [14] 키모이맨14301 19/11/29 14301
370182 [게임] 배틀그라운드에서 한을 푸는 동준좌 [27] 가스불을깜빡했다12024 19/11/25 12024
366777 [동물&귀욤] 몸 푸는 인절미.GIF [11] 강박관념8105 19/10/20 8105
365159 [유머] 인자강이 푸는 인자강이 만난 인자강에 대한 썰 [8] 에리_915938 19/10/04 15938
359287 [유머] 역사문제 푸는 스트리머 [23] 옥토패스11346 19/08/03 11346
358729 [스포츠] 예상문제까지 완벽하게 푸는 아르헨티나 김메시씨 [13]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살인자들의섬9109 19/07/27 9109
357414 [유머] 공부만 하면 못 푸는 문제 [24] 카루오스9015 19/07/11 9015
349655 [방송] 옛날 썰 푸는 머법관님 [24] 나와 같다면12318 19/04/08 12318
347384 [유머] 암바 한 손으로 푸는 방법 [11] 길갈9882 19/03/10 9882
344284 [기타] 목통증 20초만에 푸는 방법.jpg [10] 김치찌개10670 19/01/25 10670
338033 [LOL] LMS 해설자가 푸는 스크림 썰 [50] 다크템플러9596 18/11/02 9596
330809 [방송] 뭉친 목,어깨 30초 안에 푸는 방법.jpg(스압) [22] 홍승식11263 18/07/16 11263
320646 [연예인] 미션임파서블6 촬영중 골절당한 썰 푸는 탐형.avi [15] 자전거도둑7506 18/01/27 7506
312258 [유머] 95% 이상은 못 푸는 문제 [23] 플라스틱12080 17/09/08 12080
305954 [게임] 두뇌풀가동해도 못 푸는 난제 [20] 오즈s8084 17/05/18 8084
300892 [연예인] 서현 긴장 푸는 방법 [20] 그아탱15488 17/02/13 15488
294078 [서브컬쳐] 신카이 마코토가 스트레스를 푸는 [9] 마스터충달7407 16/10/17 7407
293403 [LOL] 롤러와에서 북미가서 고통 받은 썰 푸는 갱맘 [3] sand9186 16/10/08 9186
288974 [게임] [오버워치] 문제를 낸 놈보다 푸는 놈이 더 이상해 [13] 에버그린6708 16/08/23 6708
278424 [유머] 떡국을 푸는 사진에서 왠지 위기감이 느껴진다 [10] 소야테6056 16/06/03 6056
276112 [유머] 유치원생들이 푸는 속담 및 고사성어문제.jpg [16] 김치찌개8220 16/05/17 82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