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9/08/25 16:27:19
Name 달달합니다
출처 도탁스
Subject [게임] 역사상 가장 위대한 프로게이머 TOP10 (데일리닷 선정)
fcdc4a15e5da6f7d40aceac9749fead4.png
역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8/25 16:28
수정 아이콘
덧글란 점화까지

3...

2...

1...
이호철
19/08/25 16:28
수정 아이콘
도타 선수가 너무 없는 것 같은데.
valewalker
19/08/25 16:29
수정 아이콘
아 이거 뜨겁다..
19/08/25 16:29
수정 아이콘
오지네
인생은이지선다
19/08/25 16:30
수정 아이콘
좀 더 최신버전에선 박서는 더 아래로..
요슈아
19/08/25 16:31
수정 아이콘
왜 때문에 연봉 1조원 넘는 카스 선수가 1위가 아니죠??
19/08/25 16:31
수정 아이콘
아직 포트나이트의 페이커는 안나왔나보군요 크크
홍승식
19/08/25 16:32
수정 아이콘
조단위 연봉을 버는 카스가 왜 9위 밖에 안되죠?
김티모
19/08/25 16:32
수정 아이콘
도타는 댄디가 올라가야 하는거 아닌가...
19/08/25 16:32
수정 아이콘
사실 [임]이 누구보다 준우승도 많이 했....
다크템플러
19/08/25 16:32
수정 아이콘
이거아마 16년쯤에 나온거로 기억하는데 크크크 매년 한번씩은 떡밥되는듯
시나브로
19/08/25 16:33
수정 아이콘
스,워,롤 말고 모르던 전설들 접하는 재미가 있네요
19/08/25 16:35
수정 아이콘
뭐..임도 너무 오래전 인물이긴 하죠..현세대 입장에서 보면...
2위인게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하나..
19/08/25 16:37
수정 아이콘
한국인에겐 아직도 임요환이 1위라 생각하시는 분도 있을테고... 반면 외국인 입장에선 임요환을 페이탈리티보다 높게 쳐주는 것도 나름 잘쳐주는 건가 싶기도 합니다. 롤은 롤드컵 우승이 명실상부한 세계최강 느낌이 난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롤판에서의 업적이 다른 게임판보다 좀더 큰물에서 이룬게 아닌가 하는 느낌이 있구요. 시즌2 시즌3때만 해도 이렇게 될줄은 몰랐는데 이젠 전세계적으로 시스템을 갖춘 리그가 돌아가는 판이니..
19/08/25 16: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퀘이크는 살짝 해본게 단데

페이탈리티는 압니다
졸린주술사
19/08/25 16:39
수정 아이콘
스타 2명은 적절한 것 같지만 롤 1명은 너무 적네요. 최소 3명은 돼야 할 듯.
위원장
19/08/25 16:43
수정 아이콘
SKT의 위엄이랄까...
19/08/25 16:44
수정 아이콘
크 페이탈리티
삼겹살에김치
19/08/25 16:4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기준이라면 문호준도 다섯손가락안에들어갈까요?
카트넘재밌음,,
아마데
19/08/25 16:4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기준이면 문호준 1위 아닐까요?
19/08/25 16:51
수정 아이콘
단순히 우승횟수만 많다고 1위는 조금....
버스를잡자
19/08/25 16:53
수정 아이콘
단순 우승 숫자로 따지면 피파선수 시절 이지훈 감독이 단연 원탑일겁니다
아마데
19/08/25 16:54
수정 아이콘
앗 그분을 잊고 있었군요
19/08/25 16:55
수정 아이콘
종목 안보고 단순 우승회수만 보면 1위겠지만 아무래도 종목 가중치를 무시할수 없죠
19/08/25 16:5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카트라이더 리그는 세계는 물론이고 한국한정으로 생각해도 이런 줄세우기에 끼기는 판이 너무 협소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번외로 두는게 맞다고 봐요. 억지로라도 넣게된다면 스1, 워크3, 롤, 스2 이런 메이저 종목들의 상위권 선수들 목록 한참 내려간다음에나 나와야죠.
코비 브라이언트
19/08/25 16:48
수정 아이콘
뭐 스타가 국내한정이니 하지만서도 면면을 살펴보면 진정한 글로벌 이스포츠라는 칭호에 부합하는건 롤을 제외하면 딱히...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정도면 나름 합리적인 순위가 아닌가싶네요.
19/08/25 16:52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매긴 순위에서 1위는 당연히 임요환이겠지만
외국에서 매긴 순위에서 1위가 페이커 인것도 당연해보여서...
스덕이지만 반론 없습니다.
눈물고기
19/08/25 16:54
수정 아이콘
1,2위가 같은팀 선후배인거 외국사람들도 알려나요...

동양오리온부터 팬이었던지라 괜히 뿌듯하네요
루카와
19/08/25 16:55
수정 아이콘
내맘속 영원한 1위는 임. 그분뿐. 데헷
트윈스
19/08/25 16:55
수정 아이콘
북미에서는 페이탈리티고 한국에서는 임요환이고.. 뭐 그런거죠. 전세계를 아우르는게 페이커인거고
19/08/25 16:56
수정 아이콘
이건 2년전~3년전에 나온거 아닌가요 지금 다시조사하면 저가 봤을땐 빠질사람 꽤 될거같네요. 일단 evo가 워낙 떡상해서 무릎은 들어갈꺼같고 도타2랑 오버워치선수들 도 좀 들어가야할거같고요
리콜한방
19/08/25 16:57
수정 아이콘
무릎은 꼭 이런 리스트에 빠지네요.
루트에리노
19/08/25 17:31
수정 아이콘
무릎은 인지도가 높지 않죠
19/08/25 17:51
수정 아이콘
종목때문이죠.
무릎이 들어가면 위에 카트 프로들도 넣어야 할테고
킹오파,피파,던파 같은것도 넣어야할거구요.
불타는로마
19/08/25 18:25
수정 아이콘
철권은 이제 들어와서 스파 넘을랑 말랑하고 있죠
돼지도살자
19/08/25 16:59
수정 아이콘
화이야 파 파이야
박찬호
19/08/25 17:04
수정 아이콘
스타2 한명정돈 들어가야죠
19/08/25 17:05
수정 아이콘
오래된 리스트네요 이상혁은 1위수성중이겠지만요 흐
폰지스캠매니아
19/08/25 17:10
수정 아이콘
스꼴이라서 좀 씁쓸하네요. 선수 한명만 믿고 팀을 창단하기도 하고, 보수적인 병역제도까지 살살 녹여 공군팀 만들어 후배들까지 혜택받게 하고. 대회규정까지 바꾸게 만드는 선수.
아저게안죽네
19/08/25 17:49
수정 아이콘
스타가 롤만큼 흥했으면 박서가 여전히 페이커보다 위였겠죠.
반니스텔루이
19/08/25 17:10
수정 아이콘
최신 자료인가 싶었는데 이미 PGR에서 몇번 파이어난 자료였네..
초짜장
19/08/25 17:43
수정 아이콘
업적은 감가상각하기 마련이죠 당연한 일입니다
19/08/25 17:57
수정 아이콘
스타는 우리나라가 너무 민속놀이급으로 월등히 잘해서 인기가 없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외국인들에게는 진입장벽이 너무 높으니
미카엘
19/08/25 17:58
수정 아이콘
무릎은 11위에는 들어갈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게중요한가
19/08/25 18:05
수정 아이콘
스파가 있는데 철권이 없다니 해외인지도 무엇...
그래도 외국도 철권파이가 커지고 있더라구요
아모르
19/08/25 18:11
수정 아이콘
99 pko 부터 지금 롤 까지 본 이렇게 말하면 꼰대 같겠지만
순위라 명명했으니 페이커가 위 인건 맞는듯요
페이커가 이룬 커리어는 이스포츠에서 원 어보브 올..
크르르르
19/08/25 18:25
수정 아이콘
최근 기준이면 맞는 것 같습니다.
첸 스톰스타우트
19/08/25 19:11
수정 아이콘
굴비말고 스카이가 들어가면 어떨까 싶기도 하네요
19/08/25 19:16
수정 아이콘
역시
Dena harten
19/08/25 20:15
수정 아이콘
스타가 롤만큼 흥행했으면 요환이형 1위해도 이상하진 않은데 해외랭킹이라...
Placentapede
19/08/25 20:18
수정 아이콘
파이어는 날만큼 나서 이제 무신경한 느낌이고
국내선수 10명 뽑으라면 누가 추가될지
19/08/26 00:10
수정 아이콘
저는 저 순위도 높다고 생각하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1217 [게임] 역사상 가장 위대한 프로게이머 TOP10 (데일리닷 선정) [52] 달달합니다8046 19/08/25 8046
360755 [게임] [스1] 크크크 추억돋네요 [13] Cand4992 19/08/20 4992
359063 [게임] 삼국지 개발팀의 위엄 [10] Leeka8560 19/07/31 8560
356262 [게임] [스타2] 역사속 오늘 [8] MiracleKid4878 19/06/28 4878
354640 [게임] [삼탈워] 상용런은 약하다, 대세는 장제스런 [10] 류지나9432 19/06/06 9432
354165 [게임] 전설의 RPG 드디어 한국 상륙 [32] 이호철11816 19/05/30 11816
353643 [게임] 삼탈워.근황 말고 현황. [13] Lord Be Goja12563 19/05/23 12563
353016 [게임] 삼탈워 메타크리틱 등재 시작 [33] 인간흑인대머리남캐8689 19/05/16 8689
351156 [게임] 역사를 잊은 한국 게임에는 미래가 없다 [25] 톰슨가젤연탄구이8661 19/04/25 8661
349781 [게임] [스타2] 단 3명 뿐이라고? [8] MiracleKid5962 19/04/09 5962
349779 [게임] E스포츠 역사상 단 3명에게만 허락된 오프닝.gfy [37] 손금불산입8706 19/04/09 8706
349362 [게임] [스타2] GSL 역사탐방 [6] MiracleKid6905 19/04/04 6905
347367 [게임] FPS 게임 역사상 핵, 매크로가 없는 게임 甲 [15] 야부키 나코8464 19/03/10 8464
347304 [게임] 토탈워 잘 아는 사람들.마갤 [3] Lord Be Goja5384 19/03/09 5384
346640 [게임] 일본에서 수라의 나라라고, 너무나도 높은 벽이라고 하는 나라가 있다? [34] 시린비13523 19/03/01 13523
346446 [게임] 난 잘 몰랐는데 알고 보니 엄청나게 인기 있었던 게임.JPG [20] 신불해12115 19/02/26 12115
344309 [게임] Knee 무릎 배재민, 철권의 역사를 쓰다. [37] 옥토패스9100 19/01/25 9100
343368 [게임] 근래 갑자기 인기가 역주행중인 14년차 게임.jpg [46] 신불해14901 19/01/12 14901
339676 [게임] 밑의 글 보고 대전게임역사상 최악의 보스(feat 케인) [5] 초록8368 18/11/21 8368
339634 [게임] 게임 역사상 최악의 난이도를 가진 보스 [68] 돈도니10935 18/11/21 10935
339323 [게임] 역사 인물 성전환 게임 [5] 이호철8646 18/11/17 8646
338379 [게임] (스포)게임 역사상 다시 나오기 힘든 역대급 VS [16] 꿈꾸는드래곤9373 18/11/05 9373
337913 [게임] 테사기가 아닌 둠사기 [9] 레이지5935 18/10/31 59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